메뉴 건너뛰기

close

재외동포법 개정안 부결에 따른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반대와 기권을 했던 의원들 중 열린우리당 내 개혁 성향으로 분류됐던 의원들에 대한 비난의 화살이 거세지고 있다. 김태년 의원 역시 그 화살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김태년(성남 수정구, 열린우리당) 의원 역시 자신을 지지했던 개혁당 당원들로부터 비난하는 글이 올라와 해명하는 등 곤혹스러워하면서 비난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진땀을 흘리고 있다.

'이수미'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우리 가족 네명 모두가 김 의원을 찍었는데 정말 왕실망했다"며 말하고 "차라리 반대를 할 것이지 왜 기권했냐"며 적대감을 드러냈다. 'sabi358'라고 밝힌 네티즌 역시 "정말 중요한 순간에 가장 비겁했다"며 실망감을 나타내고 "각종 자료를 통해 국민의 95% 이상이 찬성하는 지극히 상식적인 법안 표결에 의사 표현조차 하지 않았다"며 기권을 한 김 의원에 대해 비난을 서슴지 않았다.

다른 네티즌들도 대부분 김 의원의 입장을 명확히 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비난의 칼날을 세웠다. '수정구민'이라는 네티즌은 "기권한 이유가 뭐냐"고 묻고, "군대 가지 않겠다고 국적을 포기한 사람들을 외국인으로 대우하겠다는데 왜 기권했느냐"며 사실상 반대 이유를 묻기도 했다.

이에 대해 김태년 의원은 한 네티즌의 답글을 통해 "이번 재외동포법은 개혁입법과는 별 상관이 없는 법이고 이 법 이외에도 다른 규제를 통해 규제가 가능한 만큼 충분히 부결될 수도 있는 법"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한 해외동포자원 활용의 국가 전략이 위축될 부작용이 농후한 법이 될 수 도 있기 때문이라고 기권에 대한 해명을 덧붙이기도 했다.

김 의원은 이어 네티즌들의 명확한 표현을 하지 않고 기권을 했냐는 질문에도 해명했다. "국회 전자투표기에는 찬성, 반대, 기권을 누를 수 있게 되어 있고 기권도 중요한 의사 표시 중의 하나"라며 실제로 자신은 명확한 표현을 했다는 사실을 상기 시켰다.

그러나 김 의원은 "병역 기피를 목적으로 한 국적 포기에 대해 일반국민들 못지 않게 분노하고 있다고 말하고 이러한 감정은 이 법을 대할 때 제 감정 상태를 말해 주기도 한다며 감정상의 문제와 이성적인 판단은 잘 구분해야 하기 때문에 기권표를 눌렀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회 들어온 지 1년 만에 처음으로 기권을 한것 같다"며 입장을 피력하고 "자신도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려했지만 감정과 이성 사이에서 힘들어 했고 고민이 컸다"며 이해를 구하기도 했다.

덧붙이는 글 | 성남일보에도 실렸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