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구중궁궐 깊은 곳에 있는 왕비의 침전으로 장렬왕후가 거처했던 곳이다
▲ 통명전. 구중궁궐 깊은 곳에 있는 왕비의 침전으로 장렬왕후가 거처했던 곳이다
ⓒ 이정근

관련사진보기


드라마 '추노'가 떴다. 시청률 고공행진을 벌이며 상종가를 치고 있다. 당시 정치 기상도는 이렇다. 권력 상층부에는 임금 인조가 있고 계비 장렬왕후와 후궁 소용조씨가 구중궁궐 깊은 곳을 지키고 있었다.

내명부의 수장은 분명 왕후이지만 임금의 총애를 받는 조소용이 내전을 쥐락펴락했다. 질투심이 강했던 소용조씨는 자신보다 열 살이나 아래인 왕비의 침전에 임금이 찾는 꼴을 보지 못했다. 결국 왕비가 몹쓸 돌림병에 걸렸으니 옥체가 가까이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를 내세워 경덕궁(경희궁)으로 유폐했다.

이 유폐작전에는 영의정 겸 약방제조 김자점과 의원 이형익이 동원되었다. 병자호란 개전 초기, 서북방면군 도원수에 있으면서 적의 침공을 방어하지 못한 죄를 물어 군율에 따라 처형되었어야 할 김자점은 조소용의 구명으로 1년 만에 강화유배가 풀림과 동시에 강화유수, 호위대장, 좌의정, 영의정에 고속승진하면서 소용조씨의 수족이 되었다.

이형익은 또 어떤 인물인가? 조소용의 당진 친정집에 드나들던 시골의원이 어느 날 갑자기 조소용의 부름을 받고 어의가 되어 궁궐을 무시로 드나들었다. 8년간의 인질생활을 마치고 청나라에서 돌아온 소현세자는 이형익에게 침을 맞고 귀국 2개월 만에 숨졌다. 그의 시신 아홉 군데에서 피가 흘렀다고 기록은 전한다.

소현세자 귀국과 함께 내명부 서열 2위로 컴백했던 세자빈은 세자 죽음 후, 조소용의 모함에 사약을 받았다. 세자의 세 아들은 제주도로 유배되어 하나, 둘 죽어갔다. 자신의 아들 숭선군을 김자점의 손자와 혼인시킨 조소용은 김자점을 좌의정에서 영의정으로 돌려 앉히면서 조정을 장악했다. 그야말로 소용조씨 천하였다.

병자호란 당시 왕실을 호종하여 강화도에 들어갔던 김상용은 강화도에서 순절했다. 그가 살았던 장동 집(오늘날 청운동)후원 암벽에 새겨져 있다. 처음에는 대명일월백세청풍이라 새겨져 있었으나 일제시대 대명일월은 훼손되고 백세청풍만 남아있다. 대명일월백세청풍은 '명나라 세월로 돌아가는 그날까지 의리를 지키자'는 뜻이다.
▲ 백세청풍. 병자호란 당시 왕실을 호종하여 강화도에 들어갔던 김상용은 강화도에서 순절했다. 그가 살았던 장동 집(오늘날 청운동)후원 암벽에 새겨져 있다. 처음에는 대명일월백세청풍이라 새겨져 있었으나 일제시대 대명일월은 훼손되고 백세청풍만 남아있다. 대명일월백세청풍은 '명나라 세월로 돌아가는 그날까지 의리를 지키자'는 뜻이다.
ⓒ 이정근

관련사진보기


시대상황은 이렇다. 명나라가 패망하고 청나라가 대륙의 패권을 거머쥐었다. 조선의 사대부들은 임금이 청태종에게 치욕을 당하는 것보다도 명나라가 망하는 것을 더 가슴 아프게 생각했다.

사대부들에게 명나라는 아버지의 나라였고 영원불멸의 나라였다. 그런데 그 나라가 오랑캐라 멸시하던 청나라에게 패망했다는 것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고 있을 수 없는 일이라 생각되었다. 명나라는 다시 일어설 나라였고 조선은 그 날을 기다려야 했고 사대부들은 그 날을 위하여 신명을 바치는 것을 충성과 의리로 생각했다.

책표지
▲ 소현세자 책표지
ⓒ 이정근

관련사진보기

'소현세자'는 2008년 2월 11일부터 연재하기 시작해  2008년 11월 18일 121회로 끝났다. 연재를 종료할 당시 그 후속 부분을 쓸 자료는 충분히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소현세자 서거 후 중심인물로 떠오른 민회빈이라는 인물 하나로도 충분히 작품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연재를 종료하면서 '민회빈을 가지고 독자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라는 약속을 했다.

잠시 숨고르기를 하고 글을 올릴 수 있었으나 그동안 2권의 책을 내느라 약간 지연되었다. 이제 다음 주부터 그 약속을 지키려 한다. 연재기사로 독자 여러분과 만나게 될 [역사소설 민회빈강]은 공교롭게도 드라마 '추노'와 스토리와 배경인물이 겹친다. 하지만 드라마는 드라마고 소설은 소설이다.

'추노'는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근육질 남자 주인공을 내세워 눈요기로 이야기를 끌어갈 것이고 다음 주부터 연재되는 [역사소설 민회빈강]은 '사실'에 치중할 것이다. 독자 여러분에게 보는 즐거움과 함께 역사적인 사실에 접근하는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라 믿는다.


태그:#소현세자, #민회빈, #원손, #추노, #인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事實)과 사실(史實)의 행간에서 진실(眞實)을 캐는 광원. 그동안 <이방원전> <수양대군>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 <소현세자> <조선 건국지> <뜻밖의 조선역사> <간신의 민낯> <진령군> <하루> 대하역사소설<압록강>을 펴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