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지 위치와 봉분 형식, 안장 시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천호선 전 청와대 대변인은 26일 저녁 봉하마을 분향소 옆에 있는 기자실을 찾아 "갖가지 추측성 보도가 나오고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면서 장지 위치 등에 대해 설명했다. 유가족들은 고인의 유언에 따라 화장하고, 비석을 세울 예정이다. 화장은 29일 서울에서 영결식을 한 뒤 서울 인근 화장터에서 할 예정이다.

 

노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씨와 형 노건평씨, 지관 구영옥(80, 김해 진영)씨는 이날 아침 봉하마을 몇 군데를 둘러보았다. 언론은 사저 옆에 있는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12번지 일대를 유력한 장지 후보지로 보았다. 그러자 천 전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아직 결정된 게 없다고 밝힌 것.

 

그는 "장지 위치와 봉분 형식, 안장 시기 등은 모두 관련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결정된 것이 없다"면서 "권양숙 여사가 아침에 둘러본 곳은 검토 대상지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사저 옆 위치에 대해, 그는 "그곳은 경호 경계선 안에 들어 있다"면서 "장지 위치는 여러 문제점과 장단점을 따져 결정될 것이며 언론에서 앞서 나가면 보도가 틀리게 된다"고 밝혔다.

 

비석에 대해 그는 "비석은 장지 위치 등과 관련이 있어 같이 할 수도 있고 따로 할 수도 있다"며 "비석은 장소의 문제, 분묘 방식 문제, 시기 모두 연결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비석은 금방 만들 수 있는 게 아니고, 크기와 글 내용 등 아직 시작도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안장 시기에 대해 그는 "삼우제가 될지, 49재가 될지 정해져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정토사에 가안장된 상태에서 바로 안장이 있지 않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장지 위치 등의 결정이 늦어지는 이유에 대해, 그는 "권양숙 여사 등 유가족이 마음에 들어 하는 위치여야 하고, 도굴의 우려도 있어 고민하고 있다"면서 "사저에서 가깝게 하면 경호 문제가 있고, 참배할 수 있는 위치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임시 안장 후 삼우제·49재는 정토사에서 할 수도

 

천 전 대변인은 "장지를 국립묘지로 할 경우 국립묘지 안장식까지가 장의위원회가 주관하는 행사이고, 이번에는 화장하는 것이기에 화장까지만 장의위원회에서 주관하는 행사의 범위가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장례는 매장이 아니고 화장이고, 국립묘지도 아니기에 장의위원회가 주관하는 행사는 화장 시까지다"면서 "전국 각 지역의 분향소도 화장 시점까지만 유지하게 되고, 그 뒤부터는 유가족의 몫으로 남는다"고 밝혔다.

 

그는 "유가족들이 주변의 조언을 들어서 장지 위치와 봉분의 형식, 안장의 시기를 결정하게 된다"면서 "연관성이 있고, 봉하마을 내에서 넓은 공간이 있는 것이 아니기에 장단점을 따져 유가족 내부에서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태그:#노무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