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하자 11일 부산광역시는 "역차별과 피해가 없도록 같은 수준의 지원대책을 마련할 것", 경남도는 "다른 지역의 기업체 유치에 대해서도 세종시 수준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경남도 "혁신도시 자족기능 강화돼야"

 

경남도는 이날 낸 자료를 통해 "정부에서 세종시를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경제도시로 수정하는 안을 발표하였다"면서 "국가와 국민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충분히 고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한다"며 "더 이상 분열과 대립으로 국력을 낭비하는 일은 옳지 않다, 정부결정을 존중하면서 세종시의 성공적인 추진을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경남도는 "다만,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혁신도시 자족기능 강화를 위한 대책도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면서 "타 지역의 기업체 유치에 대해서도 세종시 수준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 향후 우리 도는 항공산업, 풍력부품산업 등 비교우위에 있는 산업을 적극 발굴, 차별화된 기업유치 전략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제시했다.

 

부산시 "지방 발전에 차질이 있어서는 안돼"

 

부산광역시도 이날 낸 자료를 통해 "세종시 입주기업 등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대책이 다른 지방의 성장 동력을 약화시키고, 지역균형발전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며 "지역의 성장동력을 흡수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정부의 수정안으로 인해 지방의 발전에 차질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산시는 "정부는 국가의 지역균형발전이라는 큰 원칙이 지켜지고 기존의  지역발전정책이 흔들림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부산시는 "세종시의 수정 계획에 다른 지역의 기업이나 예정된 투자가 포함됨으로써 다른 지역의 발전전략에 차질이 있어서는 안되며, 세종시에 대한 파격적인 인센티브로 인한 역차별과 피해가 없도록 같은 수준의 지원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제시했다.

 

부산시는 "현재 추진 중인 혁신도시 건설을 당초 계획대로 차질 없이 조속히 추진하여야 하며, 경제자유구역 등 지역의 투자유치사업이 조기에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지원대책을 제시하여야 하고, 세종시 계획수정이 앞으로 수도권 규제완화로 연결되어 비수도권의 발전을 저해하는 빌미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의 우려가 해소될 수 있도록 정부의 확고한 의지천명과 실현가능한 로드맵을 조속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그:#세종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