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일요일 달콤한 휴일의 늦잠이란 말이 우리 집에선 통하질 않는다.

새벽 3시, 모두가 단잠에 빠진 시간에 일어난 치매할머니는 오늘도 "왜 이렇게 깜깜해? 해가 왜 안 떠"라며 방방마다 휘젓고 다녔다.

늘 상 있는 일이니 이제 딱히 더 놀랄 일도 없건만 그러나 이건 또 웬 날벼락. 일요일 그렇게 새벽잠을 설친 엄마는 끝내 아침이 되자마자 다시 한 번 아찔한 고함을 지르고야 말았다.

"아이구, 어머니 요강을 왜 세면대에 부셔요. 거긴 아범이랑 애들 세수하고 양치질 하는 데란 말예요."

한 달에도 20만원이 넘는 수도세가 나오자 급기야 한동안 화장실 문을 잠가 버렸던 우리 엄마. 하지만 엄마에 뒤질세라 급기야 요강을 들고 부엌 싱크대로 돌진했던 할머니에 두 손 두 발 다 들어버린 엄마는 이제 문을 잠그는 일 조차 포기하고 말았는데.

"쪼금인데 뭐, 내가 저 아래까지 내려가 버릴 힘이 없어."

할머니는 하루에도 세 번씩 엄마조차 마다한 채 당신 손으로만 요강 씻기를 고집했다. 그러려니 했지만 설마 욕조옆 빨래터대신 변기에 요강을 비운 뒤 곧바로 세면대로 요강을 들이대 헹궈 낼 줄이야. 게다가 변기에서 욕조까진 불과 두세 걸음에 불과하거늘.

"애꿎은 변기만 씻었지 뭐냐. 그런데도 왜 자꾸 냄새가 나나 했더니 세면대에 턱하니 요강을 들이대실 줄 누가 알았겠냐. 그러니 어제도 니 작은엄마가 서울서 전화해선 난 죽어도 못 모셔요 했지."

추석 쉬러 온 지난 며칠 고작 이틀을 머물며 그것도 말로만 할머니의 치매스토리를 귀동냥 했던 작은엄마는 기염을 토했나 보다. 하기야 어느 집인들 우리 집 같지 않을까.

"치매는 모셔본 사람이나 알지 아무도 몰라"라며 묵묵히 혼잣말을 잇던 아버지의 모습에 그저 아침 밥상이 깔깔할 뿐인 휴일 아침이었다.

(계속)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