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충청북도 보은 일대는 삼국시대의 각축장으로, 특히 신라와 백제간의 싸움이 그치지 않던 곳이다.

뿐만 아니라 통일신라 헌덕왕 14년(882)에 있었던 '김헌창의 난' 당시 반란군은 왕의 진압군이 출동하자 곳곳에 휘하 병력을 배치하고 항전했는데 그 중 가장 많은 병력을 배치시켰던 곳이 바로 이곳 삼년산성이며, 고려 태조 왕건이 태조 1년(918) 고려 영토를 넘어 진격한 후백제 견훤군을 치려다가 실패하고 청주까지 물러나게 되는 계기가 된 곳이, 바로 이곳 삼년산성이다.

실제로 삼년산성에 올라 성벽을 따라 산성을 한 바퀴 밟아보면 알겠지만, 삼년산성은 그야말로 난공불락의 요새 중 으뜸에 속할 것만 같다.

산성이 있는 지대가 주변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은 아니지만 분지의 한쪽에 자리잡았기 때문인지 주변 지역이 한눈에 들어오는 이점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성벽 자체가 두텁고 견고하게 서 있다.

또한 당시 성 안에는 다섯 개의 우물과 아미지(蛾眉池)라 불리는 연못이 있었다고 전하니, 유사시에도 심각한 물 부족을 겪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제 천천히 산성에 올라보자. 보은상고를 끼고 마을길을 오르면 작은 마을을 지나 바로 삼년산성의 서문에 이르게 된다. 그런데 복원된 부분이 많아서인지 세월의 이끼가 덜 탄 듯하다. 현재 문루는 복원되지 않았는데, 문이 있던 자리를 유심히 살펴보면 크고 작은 돌덩이들을 찾을 수 있다.

그 중 1980년 7월에 근 4시간 동안 337mm의 폭우가 내렸을 때 발견된 기둥 받침돌은 여러 가지 사실을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 보통 성의 큰 문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열도록 만들어진 것이 많다. 그러나 이곳 서문 자리에서 발견된 기둥 받침돌들을 유심히 살펴보면, 그게 아니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열도록 설치되어 있었다.

왜 그랬을까. 지난 번의 운현궁처럼 누구를 감금할 필요로 인해 그렇게 만들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삼년산성이 군사요충지에 있다는 사실에 유념해 상상을 해보자. 아마도 신속한 성 밖 돌격을 감행하는 데 그러한 형태의 문이 더 유용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그저 상상을 해볼 따름이다.

문이 없는 서문을 들어서면 이내 버드나무가 보이는 늪지를 맞닥뜨리게 된다. 늪 주변의 암벽엔 앞서 말한 '아미지'라는 글자가 음각 되어 있어 이곳이 보통 늪지는 아님을 말해준다.

이제 슬슬 성벽에 올라 걸어보자. 먼저 성벽에 올라 주위 경관을 조망한 후 남쪽으로 발걸음을 옮기면 이내 곳곳이 무너져 내린 부분을 만나게 된다.

특히 무너져 너덜을 이룬 부분을 유심히 들여다보면 점판암 계의 넓적한 판돌을 한 층은 가로 방향으로, 한 층은 세로 방향으로 쌓음으로써 성벽의 견고함을 더한 것으로 보인다.

그 중 동쪽과 서쪽의 성벽은 남쪽이나 북쪽 성벽과 달리 바깥 부분은 돌을 쌓고 안 쪽에는 흙을 촘촘히 채워넣었다.

동문을 향해 계속 걷다 보면 성 안의 물을 밖으로 보내는 데 이용되던 수구를 찾을 수 있다. 물론 그저 걷기만 해선 찾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성 안쪽은 이미 무너져 버린 지 오래고, 수구는 성 바깥쪽에 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답사 전에 수구가 어디쯤 있다는 것을 미리 조사해 가면 편할 것이다. 아무튼 수구는 성벽이 지표면과 만나는 곳에서 약 1m 높이에 성벽에서 약간 돌출된 채로 남아 있으며, 그 동쪽에서는 가로 45cm, 세로 65cm의 크기의 오각형 수문도 볼 수 있다.

나아가 북쪽의 성벽에서는 무너져내려 너덜을 이룬 부분을 많이 볼 수 있는데, 특히 굴곡이 심한 데다 걷기 힘들 정도로 가파른 곳이 많아 답사하는데 자칫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을 듯하다.

하지만 이곳에선 중요한 것을 하나 발견할 수 있다. 곡성의 흔적이 바로 그것이다. 곡성의 위치를 곰곰이 따져 보면 곡성이 있는 부분은 능선과 연결이 되어 있어 적의 접근이 다른 곳보다 용이했을 것이란 생각이 드는 곳이다. 즉 곡성이라는 것은 성벽 가까이 접근한 적을 공격하기 위해 반달형으로 내쌓은 것으로, 수원 화성의 옹성이나 치가 갖는 역할과 비슷한 구실을 한다.

삼년산성은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자비왕 13년인 470년에 처음 쌓았는데, 특히 이 성을 다 쌓는데 3년이라는 시간이 걸려 '삼년산성'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www.SNUnow.com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들 기억 저편에 존재하는 근현대 문화유산을 찾아 발걸음을 떼고 있습니다. 저서로 <서울을 거닐며 사라져가는 역사를 만나다>(알마, 2008), <다시, 서울을 걷다>(알마, 2012), <권기봉의 도시산책>(알마, 2015) 등이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