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6.28 06:17최종 업데이트 24.06.28 09:20
  • 본문듣기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대표 출마선언을 위해 소통관으로 들어서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한동훈 후보의 머리가 복잡해 보인다. 출마 선언 때는 '반윤'의 기치를 내걸더니 이후 '비윤'에서 '친윤'을 넘나든다. 시시각각 말이 다르고 일관되지 않는 모습이다. 어느 것이 유리한지 계산과 셈법이 수시로 달라지기 때문일 것이다.

한동훈이 당 대표 출마를 앞두고 가장 고심한 건 윤석열 대통령과의 차별화였을 것이다. 비대위원장으로서 총선 참패의 원인이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는 데 실패해서라는 인식이 강렬히 남아있을 터다. 윤 대통령의 아킬레스건인 '채 상병 특검법'에 조건부 수용 카드를 들고 나온 것도 그런 이유로 보인다. 특검을 원하는 다수 국민의 마음을 얻기 위해 고민 끝에 내놓은 그 나름의 '묘수'인 셈이다.


용산에서 거친 반응이 나오고 강성 보수층에서 반발하자 한동훈의 기세는 움츠러드는 기미다. 더불어민주당 특검안을 비판하고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윤 대통령에 대해선 "대단한 직관을 가진 분"이고 "대단히 박력있는 리더"라고 추어올렸다. 윤 대통령의 가장 아픈 구석을 찌르면서 성공한 대통령이길 바란다는 건 형용모순에 가깝다.  

스텝 꼬인 한동훈... 보수 지지층도 잡고, 외연도 확장? 

한동훈의 스텝이 꼬이는 건 양 손에 떡을 쥐겠다는 심산에서다. 당 대표도 되고 싶고, 차기 대선의 꿈도 이루고 싶어서다. 당원들의 마음을 잡으려면 윤 대통령의 심기를 거스려선 안 되고, 대통령이 되려면 윤석열과 척을 져야 하는 묘한 상황에서 줄타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보수 지지층도 잡고, 외연도 확장하겠다는 한동훈의 두 마리 토끼 전략이 뜻대로 굴러갈 수 있을까. 다른 당권 주자들이 일제히 한동훈을 공격하고 대통령실과 친윤계의 반감도 고조되는 상황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의 의도적인 한동훈 '왕따'는 그만의 생각이 아닐 것이다. 한동훈 입장에선 대선은커녕 당 대표 선거에서 좌초할지 모른다는 위기감이 클 수밖에 없다. 그래서 전당대회가 진행될수록 한동훈의 윤 대통령 차별화는 옅어질 공산이 크다.

이런 현실론은 차치하고라도 한동훈이 '반윤'에 선다는 건 자체가 성립할 수 없는 명제다. 한동훈도 말했듯이 검찰에서 오랫동안 교분을 맺은 관계로 법무부 장관도 되고, 여당 비대위원장 자리에 오르지 않았나. 지금의 한동훈을 만든 이가 윤석열인데, '반윤'이 된다는 건 정치적 수사일 뿐이다. 진짜 '반윤'이 되려는 게 아니라 그로 인한 과실을 얻으려는 것이다.

윤석열과 한동훈의 관계가 멀어진다해도 어차피 이들은 '운명공동체'일 수밖에 없다. 한동훈이 아무리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려해도 상당수는 초록은 동색이라는 시각을 갖고 있다. 검사 출신 대통령의 무능과 독선에 질린 유권자들이 두 사람을 얼마나 다르다고 여길지 의문이다. 그들의 '밀당'은 검찰 선후배 간의 감정싸움이자 권력을 차지하려는 치졸한 몸부림일뿐이다.    

두 사람이 한 몸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상황이 있다. '한동훈 특검법'이 국회를 통과했을 때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지를 떠올려 보면 된다. 지금의 두 사람 관계를 보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지만 과연 그럴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한동훈을 배려해서라기보다는 '김건희 특검법' 통과를 걱정해서일 것이다. 한동훈 당 대표가 다른 맘을 먹고 재의결에 찬성하지 말라는 법이 없기 때문이다. 서로를 너무나 잘 알고, 저마다 치명적인 약점을 가진 두 사람이 어떻게 갈라설 수 있겠나.

한동훈은 자신의 노선을 "친국민, 친국가"라고 말했다. 그 말이 진정성을 인정받으려면 그 첫 걸음은 어쭙잖은 윤 대통령과 차별화가 아니라 현 정권의 실정을 낱낱이 밝히고 함께 책임지는 자세를 갖는 것이어야 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독자의견


다시 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