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6.13 06:12최종 업데이트 24.06.13 07:35
  • 본문듣기

이원석 검찰총장과 오동운 공수처장 ⓒ 연합뉴스/오마이뉴스 남소연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와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을 밝히려는 공수처 수사가 대통령실 앞에서 멈춰섰습니다. 조만간 진행될 걸로 예상됐던 김 여사 소환은 불투명해졌고, 속도감 있게 진행되던 채 상병 수사는 제자리걸음만 하는 양상입니다. 법조계에선 검찰과 공수처의 수사 의지 부족과 대통령실의 비협조로 수사가 장기화할 공산이 크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김 여사 명품백 수사는 내우외환에 빠진 형국입니다. 우선 안으로는 이원석 검찰총장과 서울중앙지검의 견해차가 뚜렷합니다. 이 총장은 11일 국민권익위원회의 명품백 무혐의 결론에 "일선 검찰청에서 다른 일체의 고려 없이 증거와 법리대로만 제대로 수사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얼마 전 엄정한 수사를 강조했던 것과는 달리 '수사팀에 기대한다'며 한발 물러서긴 했지만, 어쨌든 수사 의지를 내보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서울중앙지검은 김 여사 수사에 소극적인 모습입니다. 서울중앙지검은 이 총장 언급 직후 "권익위의 종결 이유를 확인할 방침"이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권익위의 결정이 검찰 수사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에서 서울중앙지검의 이런 태도는 검찰이 권익위에 편승하려 한다는 우려를 낳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앞서 서울중앙지검은 이 총장의 김 여사 소환 시사에 "정해진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은 지난달 '찐윤'으로 분류되는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임명 때부터 예견됐습니다.

윤 대통령, 김 여사 소환 시사에 대노설

용산 대통령실의 김 여사 수사에 대한 거부감도 상당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여권 주변에선 이 총장이 김 여사 소환을 언급하자 윤 대통령이 크게 화를 냈다는 얘기가 돕니다. 지난달부터 김 여사가 공개 활동 행보를 재개하고, 명품백 의혹 관련 인물로 지목된 대통령실 행정관들이 윤 대통령 해외순방에 동행한 것 등이 이와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검찰 수사에 개의치 않는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검찰 수사는 대통령실에 근접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검찰은 최재영 목사와 서울의소리 등 '선물'을 건넨 쪽에 대한 수사는 마친 상태입니다. 수사 단계로 보면 대통령실 관계자와 김 여사 소환 조사가 뒤따라야 하지만 그런 움직임은 없습니다. 증거 확보를 위한 압수수색이나 임의제출 등을 시도했다는 얘기도 들리지 않습니다. 법조계에선 서울중앙지검이 검찰총장 물러날 때만 기다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옵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과 달리 명품백은 이 총장이 지휘를 할 수 있으니 그때까지만 버티자는 계산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을 파헤칠 공수처 수사도 답보 상태이긴 마찬가지입니다. 윤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통화 내역이 드러나 급물살을 타는 것처럼 보였지만, 대통령실에 대해선 소극적입니다. 공수처는 여전히 해병대와 국방부 인사들 수사에 집중하는 양상입니다. 오동운 공수처장은 수사가 너무 늘어진다는 지적에 "제한된 인력으로 열심히 수사하고 있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법조계에선 윗선 개입 정황 및 은폐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만큼 신속한 수사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곧 기한이 만료되는 통화기록 확보와 대통령실 관계자 조사를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일각에선 공수처가 야권이 속도를 높이는 '채 상병 특검법'이 통과될 때까지 시간을 끄는 것 아니냐는 의심도 나옵니다. 이런 의구심을 불식시키려면 대통령실을 정면돌파하는 결기를 보여줘야 한다는 여론이 높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독자의견


다시 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