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남해가 낳은 대학자 정병욱 선생을 아십니까? 정병욱 선생은 1922년 설천 문항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정병욱 선생의 부친 정남섭 지사는 3·1독립운동에 참가한 애국지사입니다. 그의 가족은 정병욱 선생이 7세 때인 1927년, 부친 정남섭 지사가 하동으로 교원 발령이 나자 하동으로 이사를 했습니다. 그 뒤 1934년 부친이 양조사업을 하기 위해 광양 진월면 망덕포구로 집을 옮기자 또 한 번 터를 옮겼습니다.

정병욱 선생은 민족시인 윤동주의 벗이었습니다. 윤동주 시인이 건네준 시집 원고를 간직하다 1948년 지인들과 함께 윤동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펴냈습니다. 정병욱 선생이 없었다면 우리는 주옥같은 윤동주의 시를 만나지 못했을 수도 있었습니다.

윤동주 시 원고를 숨겨 두었던 광양 망덕포구의 정병욱 선생의 가옥은 2007년 국가등록문화유산이 됐으며,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반면 그가 태어난 설천 문항마을에는 정병욱 선생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고두현 시인, 지역문학인, 유족 등 정병욱 선생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① 윤동주의 벗 정병욱
② 학자 정병욱 선생
③ 망덕포구와 설천 문항
④ 정병욱을 기리는 사람들

 
지난달 17일 송홍주(오른쪽 두번째) 남해문학회장과 함께 광양 진월 망덕포구에 있는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을 방문했다. 그곳에서 정병욱 선생의 작은 아들 정학성 교수(맨 오른쪽)와 윤동주 시인의 큰 조카 윤인석 교수(맨 왼쪽), 이 가옥의 소유주인 정병욱 선생의 외조카 박춘식(왼쪽 두 번째) 씨를 만났다. 정 교수와 윤 교수는 매월 혹은 분기별로 한 차례씩 이곳을 찾는 사람들을 위해 서울에서 와 현장해설을 한다.
 지난달 17일 송홍주(오른쪽 두번째) 남해문학회장과 함께 광양 진월 망덕포구에 있는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을 방문했다. 그곳에서 정병욱 선생의 작은 아들 정학성 교수(맨 오른쪽)와 윤동주 시인의 큰 조카 윤인석 교수(맨 왼쪽), 이 가옥의 소유주인 정병욱 선생의 외조카 박춘식(왼쪽 두 번째) 씨를 만났다. 정 교수와 윤 교수는 매월 혹은 분기별로 한 차례씩 이곳을 찾는 사람들을 위해 서울에서 와 현장해설을 한다.
ⓒ 남해시대

관련사진보기


이처기 시인은 2020년 5월 <다시 읽는 이처기의 남해이야기 - 정병욱 교수와 윤동주 시인>에서 "민족시인 윤동주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와 절친했던 남해사람 정병욱 교수는 그리 회자되지 않았다(...)민족시인 윤동주와 같이 수학했고 그의 문학유고와 자취를 잘 관리해 그를 알리게 한 숨은 공로자가 정병욱 선생이다(...)정병욱 선생의 시조문학사전은 2376수의 시조를 엮고 작품별로 작가와 출전을 밝혀 우리문학의 원류인 시조의 현대화에 기여했다"고 남겼다. 

동국대 국어국문학과 출신 임종욱 박사도 2013년 12월 남해시대신문에 연재한 남해일기에 "선생은 책에서 어려운 전문용어나 미사여구를 늘어놓지 않고 우리 고전의 가치와 재미에 대해 친절하게 풀어놓았다. 왜 고전을 읽어야 하는지, 고전도 얼마든지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는 사실을 선생의 저서를 통해 깨달았다. 내가 대학원에서 고전문학을 전공하게 된 것도 선생의 영향이 컸다"고 회고했다.

아울러 임 박사는 "최근까지도 나는 선생이 남해 태생임을 몰랐다. 어떤 분이 선생이 남해 사람이라는 사실을 알려주자 30년 전 밤을 밝히던 기억이 새록새록 되살아났다. 지금도 선생의 저서들은 고전문학을 배우는 학도들의 소중한 나침반으로 읽혀지고 있다"고 전했다.

본지에 정병욱 선생이 있음을 알려주고, 광양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을 함께 답사한 송홍주 남해문학회장은 <광양 망덕포구 정병옥의 가옥에서> 시에 고향 사람들에게 잊혀진 선생에 대한 그리움을 담았다.  
 
광양 망덕포구 정병옥의 가옥에서

송홍주      

섬진강 굽이굽이 흘러온 하구에는
한적한 망덕포구, 바다와 잇닿은 곳
일찍이 별헤던 시심 
스치고 간 바람길
남해섬 떠나온 뒤 봄날을 기다리던
정병옥 가옥 한 채 주인은 어디가고
세상에 나온 유고(遺稿)만 
낯선 객을 맞는가

 

유족들 이야기

광양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에서는 매달 또는 분기별로 특별한 현장 해설이 펼쳐진다. 지난해 3월부터 정병욱 교수 차남인 정학성 인하대 명예교수와 윤동주 시인의 큰 조카인 윤인석 성균관대 명예교수의 현장 해설이 그것이다. 

정학성 교수는 현장 해설을 통해 "선친은 윤동주 시인의 막후에서 별빛을 전하고, 민족예술의 꽃으로 남은 판소리에 판 뒤에서 재력과 광대를 동원해 소리를 재생시켜 오늘에 전하는 데 눈에 보이지 않는 그림자 역할을 했다"고 강조한다. 

윤인석 교수는 지난달 17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정병욱 선생은 훌륭한 학자로 우리나라 국문학과 전통을 살리는 데 앞장섰던 분"이라며 "윤동주에 가려져 백영 선생은 드러나지 못하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을 지키고 있는 선생의 외조카 박춘식 씨는 "정병욱 교수는 윤동주의 벗이자 한 시대를 풍미한 위대한 학자이자 문학인"이라며 "광양의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생가`가 있듯 남해도 이를 기록하고 남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두현 시(詩) 속 정병욱

남해 출신 고두현 시인은 올 3월 낸 <오래된 길이 돌아서서 나를 바라볼 때>(여우난골, 2024) 시집에서 <망덕포구에 그가 산다 - 윤동주 유고 지킨 정병욱의 전언>와 <신발이 지나간 자리 - 정병욱의 이력(履歷)> 두 편의 시로 동향(同鄕)의 대학자 정병욱 교수를 기렸다.
 
망덕포구에 그가 산다
- 윤동주 유고 지킨 정병욱의 전언 -

고두현

섬진강 물굽이가 남해로 몸을 트는
망덕포구 나루터에 어릴 적 내 집이 있네.
강물이 몸을 한껏 구부렸다 펼 때마다
마루 아래 웅웅대며 입 벌리는 질항아리
그 속에 그가 사네.
강폭을 거슬러 올라 서울 가던 그해
압록강 먼저 건너 손잡아준 북간도 친구
함께 헤던 별무리처럼 그가 지금 살고 있네.
시집 원고 건네주며 밤새워 뒤척이다
참회록 몰래 쓰고 바다 건너 떠난 그를
학병에 징집되어 뒤따라가던 그날 저녁
어머니 이 원고를 목숨처럼 간직해 주오
우리 둘 다 돌아오지 못하거든
조국이 독립할 때 세상에 알려주오

그는 죽고 나는 살아
캄캄한 바닷길을 미친 듯이 달려온 날
어머니 마룻장 뜯고 항아리에서 꺼낸 유고
순사들 구두 소리 공출미 찾는 소리
철컥대는 칼자루 밑에 숨죽이고 견딘 별빛
행여나 습기 찰까 물안개에 몸 눅을까
볏짚 더미로 살과 뼈를 말리던 밤이
만조의 물비늘 위로 달빛보다 희디희네.
후쿠오카 창살 벽에 하얗게 기대서서
간조의 뻘에 갇혀 오가지 못하던 그
오사카 방공포대서 살아남은 나를 두고
남의 땅 육첩방에 숨어 쓴 모국어가
밤마다 우웅우웅 소리 내며 몸을 트네.
하루 두 번 물때 맞춰 아직도 잘 있는지
마룻장 다시 뜯고 항아리에 제 입을 맞추는
그가 거기 살고 있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남해시대에도 실렸습니다.


태그:#국어국문학자 정병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6년 4월 17일 창간한 남해시대는 경남 남해를 대표하는 풀뿌리언론으로 남해가 보다 더 열린사회로, 존중하는 사회로, 존중받는 사회로 한 발 더 나아가기 위해 남해시대의 힘을 보태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