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기 여주시가 도열병 예방을 위해 지역농협별로 무인헬기, 드론, 광역살포기 등을 활용한 공동방제에 들어간다.
 경기 여주시가 도열병 예방을 위해 지역농협별로 무인헬기, 드론, 광역살포기 등을 활용한 공동방제에 들어간다.
ⓒ 여주시

관련사진보기

 
경기 여주시가 도열병 예방을 위해 지역농협별로 무인헬기, 드론, 광역살포기 등을 활용한 공동방제에 들어간다.

시는 특히 올여름은 평년보다 많은 비가 올 것으로 예보되어 도열병 등 각종 병해충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고품질 여주쌀 재배를 위하여 농업인들에게 철저한 예찰 및 방제를 당부했다.

모내기 후 자주 발생하는 도열병은 벼의 전 생육기에 걸쳐 잎, 목, 이삭, 벼알에 발생하는데, 이 중 잎도열병은 벼의 생육, 출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후 다른 조직으로 전이될 경우 수량에 큰 피해를 주게 된다.

잎도열병은 20~25℃, 다습한 조건에서 쉽게 발생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6월하순에서 7월사이 장마가 시작되면서 비가 많고 일조가 적어져 도열병균 포자의 발아 및 침입이 용이해지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잎도열병뿐만 아니라 출수기 전·후 발병하는 이삭도열병 또한 수량감소, 품질저하 등으로 이어져 농가에 큰 피해를 가져오게 된다.

이삭도열병은 출수기 전·후 비가 자주 오거나 이슬이 오래 맺힐 경우, 병원균이 식물체로 침입이 쉬워 사전에 질소질 비료량을 조절하거나, 예방 약제를 살포하는 등 방제가 중요하다.

도열병에 약한 품종을 재배하는 지역, 병해충이 상습 발생하는 지역, 기상악화로 도열병이 우려되는 경우 필히 침투이행성 전용약제를 이용하여 예방위주 사전방제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에서는 예방차원에서 지역농협별 무인헬기, 드론, 광역살포기 등을 활용하여 이달 18일부터 8월 18일까지 공동방제를 추진한다.

전창현 기술보급과장 "질소비료 과잉시비는 도열병 발생을 조장하므로, 완효성 복비 시용 논은 가지거름과 이삭거름을 생략하고, 맞춤형 비료를 준 논은 중간물떼기 이후 이삭거름으로 NK 복비를 시용할 때 반드시 적정량(10kg/10a 이내)을 준수하여, 도열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여주시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에서는 벼 안정생산을 위하여 관내 현장기술지도를 통해 병해충 진단 및 적기방제를 지도하고 있다.
 

태그:#여주시, #이충우, #사전방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삶은 기록이다" ... 이 세상에 사연없는 삶은 없습니다. 누구나의 삶은 기록이고 그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사람사는 세상 이야기를 사랑합니다. p.s 오마이뉴스로 오세요~ 당신의 삶에서 승리하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