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평화와 통일의 시작점은 청소년입니다. 학교와 교실입니다. 충남의 학교와 교실에서는 분단의 선(線)을 넘어 남북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수업과 토론으로 만나고 있습니다. '2024 충남학교 통일교실'(오마이뉴스-충남도교육청 공동캠페인)로 평화통일 교육 현장을 들여다보았습니다. <기자말>[편집자말]
김하람 KEDI(한국교육개발원)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팀장.
 김하람 KEDI(한국교육개발원)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팀장.
ⓒ 이재환

관련사진보기

    
북한 출신 혹은 부모의 고향이 북한인 학생들은 한국의 언어와 문화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지난 11일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충남도교육청 과학교육원 2층 제1회의실에서는 '탈북학생 교육 방안'을 놓고 담론이 펼쳐졌다.

북한 이탈주민은 북한을 떠나 한국으로 온 '우리 국민'이다. 그들의 자녀는 출생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부른다. 중국 혹은 제3국에서 태어나 입국한 후 학교에 재학 중인 경우 탈북학생으로 칭한다. 부모가 북한 출신이지만 국내에서 출생한 아이들과 국내 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 출신 아이들의 경우, '북한배경학생'으로 통칭해 부르기도 한다. 물론 이같은 명칭은 구분짓고 차별하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다. '지원'을 위해 만든 행정용어일 뿐이다. 

하지만 탈북학생들의 고민은 깊다. 이들의 상당수는 한국의 문화에 적응하는 문제뿐 아니라 북한 출신이라는 '배경'을 공개하는 것조차 꺼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모가 북한 이탈주민인데다, 중국에서 태어나 자란 학생들의 경우 한국어를 습득하지 못한데서 오는 스트레스도 적지 않다. 

실제로 드림학교(천안 소재 탈북학생 대안학교) 윤제희 교사와 같은 일부 '탈북학생 교육'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자란 탈북학생들이 우리말을 습득하는 데는 적어도 1년 6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탈북학생을 담당하는 충남 지역 교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날 연수에서 김하람 KEDI(한국교육개발원)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팀장은 탈북학생들의 트라우마에 대해 언급했다. 김 팀장에 따르면 어린 시절의 탈북 과정을 기억하는 탈북학생들은 알게 모르게 내면에 깊은 상처를 가지고 있다.

"탈북학생들, 탈북 과정서 겪은 트라우마 호소" 

김 팀장은 "탈북학생들은 북한 출신이라는 것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이 많다"라며 탈북 학생들에게는 탈북 과정에서 겪은 상처와 트라우마가 있다는 점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하는 과정에서 만난 어느 고2 (탈북)학생은 초등학교 때 한국으로 왔는데, 친척이 바로 옆에서 총에 맞아 죽었다. 아직도 생각이 난다고 고백했다. 또다른 학생도 '7살 때 엄마 손잡고 강을 건너던 것이 기억이 난다. 그날 있었던 일을 꿈으로도 꾼다'고 말했다. 그만큼 탈북 과정에 대한 트라우마가 크다. 아이들도 그 때의 기억을 지우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잘 안되는 것 같다"

코로나19로 북한과 중국 등이 봉쇄 이후 북한이탈 주민의 숫자가 줄었다. 2008년 2000명 대로 올라섰던 북한이탈 주민들의 숫자가 지난해에는 196명으로 떨어졌다. 때문에 탈북학생들의 숫자도 자연스럽게 감소했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이들 탈북학생들이 한국 적응 과정에서 겪는 문제들이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다.

김 팀장은 "2008년에는 학업 중단률이 10.8%였다. 100명 중 10명이 학업을 중단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교사들의 멘토링이 시작된 이후, 지난해에는 학업 중단률이 1.9%까지 감소했다. 하지만 안심하긴 이른데 탈북학생들의 학업 중단률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여전히 2~3배 정도 높기 때문이다. 학업중단률을 낮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천안 드림학교 윤제희 교사
 천안 드림학교 윤제희 교사
ⓒ 이재환

관련사진보기

 
탈북 학생들의 학업 중단 사유 중 하나는 언어다. 중국에서 태어난 탈북학생들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김 팀장은 "중국에서 출생한 아이(탈북학생)들은 언어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친구도 잘 사귀지 못하고, 학교 수업도 따라가지 못해 학업을 중단하기도 한다. 언어 문제를 우선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제희 드림학교 교사는 "중국에서 온 아이들은 중국어를 사용하곤 한다. 교내에서 시장을 열기도 하는데, 한국어로 시장을 보는 것은 생존에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어를 배우는 데 평균적으로 1년 반 정도 걸린다. 고등학교 1학년부터 한국어를 습득할 경우 곧바로 고3이 된다"라며 "진로를 결정해야 하는 시기가 오는 것이다. 아이들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언어를 습득하고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 (드림학교에서) 체험 위주의 활동을 많이 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북한 배경 숨기는 탈북학생들... 왜?" 
 

교사들이 탈북학생들을 지도할 때 금기시되는 것도 있다. 북한 출신이라는 것을 숨기고 싶어 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관련해서는 문태권 KEDI 연구원이 이야기를 풀어갔다.

문 연구원은 "탈북학생들의 담임이나 담당 교사들이 멘토가 교사가 되어 주어야 한다"라며 "멘토의 자세는 물론 잘 알고 있겠지만, 학생의 이야기나 학생들의 출신에 대한 비밀을 지켜 주어야 한다. 학생의 북한배경(출신) 공개는 해당 학생이 결정 할 수 있도록 존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탈북학생을 도움과 지도를 필요로 하는 보통학생으로 여기는 자세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지난 11일 아산에 위치한 충남교육청 과학교육원에서는 '탈북학생 맞춤형 멘토링 담당 교원 연수'가 진행됐다.
 지난 11일 아산에 위치한 충남교육청 과학교육원에서는 '탈북학생 맞춤형 멘토링 담당 교원 연수'가 진행됐다.
ⓒ 이재환

관련사진보기


태그:#탈북학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유주의자. 개인주의자. 이성애자. 윤회론자. 사색가. 타고난 반골. 충남 예산, 홍성, 당진, 아산, 보령 등을 주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