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950년대와 60년대 GT 차량에서 영감을 받은 12칠린드리는 우아함과 폭넓은 사용성, 성능의 완벽한 조화를 이뤄낸, 진정한 소수만을 위한 차량이다.
  1950년대와 60년대 GT 차량에서 영감을 받은 12칠린드리는 우아함과 폭넓은 사용성, 성능의 완벽한 조화를 이뤄낸, 진정한 소수만을 위한 차량이다.
ⓒ 김종철

관련사진보기

 
꿈의 자동차, 그들만의 자동차.

이탈리아의 명차로 불리는 페라리를 일컫는 말이다. 1947년 창립자 엔초 페라리는 "우리는 최고속도를 추구하지 않는다. 다만 즉각적인 속도를 추구한다"고 했다. '즉각적인 속도'를 위해 페라리가 70년 넘게 유지해 온 것이 바로 엔진이다. 그것도 12개 실린더로 작동하는 자연흡기 엔진이다. 세계 자동차 시장이 전동화, 전기차로 이동하는 시기에도 페라리는 여전히 자신들만의 방식과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시장 진출 70년을 기념해 내놓은 선보인 페라리 12칠린드리(Ferrari 12Cilindri)가 대표적이다. '칠린드리'는 영어 '실린더'의 이탈리어 표기다. 바로 이 차가 30일 오전 인천 인스파이어 리조트에 선 보였다. 아시아에서는 처음이다. 시장 규모 등에서 한국을 앞선 일본, 중국 등을 제치고 한국에서 페라리 12칠린드리가 공개된 것.
 
 1950년대와 60년대 GT 차량에서 영감을 받은 페라리 12칠린드리.
  1950년대와 60년대 GT 차량에서 영감을 받은 페라리 12칠린드리.
ⓒ FMK

관련사진보기

 
이번 행사를 위해 한국을 처음 방문한 엠마뉴엘레 카란도(Emanuele Carando) 페라리 글로벌 프로덕트 마케팅 총괄은 "12칠린드리는 페라리의 현재뿐 아니라 미래를 대표하는 자동차"라며 "1947년 12기통 엔진을 선보인 이후 7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페라리의 DNA와 전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엔초 페라리 "우린 '최고 속도'를 추구하지 않는다, '즉각적인 속도'를 추구"

그는 이날 연설 도중에 페라리 창립자인 엔초 페라리의 영상을 소개하면서, "12칠린드리는 최고 수준의 편안함, 혁신기술로 탄생한 뛰어난 성능 그리고 순수한 운전의 스릴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는 차량"이라며 "스포츠카와 레이싱 드라이버 모두를 만족시키는 페라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갖는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페라리 DNA를 담아낸 12기통 엔진은 1947년 브랜드 설립 이래 현재까지 끊임없는 혁신을 거듭해 왔다. 12칠린드리의 자연흡기 12기통 엔진. ‘칠린드리(Cilindri)’는 ‘실린더(Cylinder)’의 이탈리아어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차량의 특징과 페라리의 타협없는 파워트레인 철학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페라리 DNA를 담아낸 12기통 엔진은 1947년 브랜드 설립 이래 현재까지 끊임없는 혁신을 거듭해 왔다. 12칠린드리의 자연흡기 12기통 엔진. ‘칠린드리(Cilindri)’는 ‘실린더(Cylinder)’의 이탈리아어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차량의 특징과 페라리의 타협없는 파워트레인 철학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 김종철

관련사진보기

 
앞유리에서 후면까지 이어지는 글라스루프와 대칭 구조의 듀얼 콕핏은 12칠린드리 실내에 개방감과 몰입감을 동시에 선사한다.
 앞유리에서 후면까지 이어지는 글라스루프와 대칭 구조의 듀얼 콕핏은 12칠린드리 실내에 개방감과 몰입감을 동시에 선사한다.
ⓒ FMK

관련사진보기

 
페라리 국내 수입을 맡고있는 김광철 FMK 대표는 "12칠린드리는 지난해 미국 마이애미에서 처음 선보인 후, 1년이 채 되지 않은 시점에 한국에 소개하게 됐다"면서 "그만큼 페라리가 아시아에서 한국 시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그는 "12기통 자연흡기 엔진은 페라리의 자동차에 대한 의지와 사랑이 담겨있다"면서 "830마력의 힘과 9500 엔진회전수에 나오는 즉각적인 반응은 말그대로 페라리의 상징"고 덧붙였다.

실제 이날 언론에 공개된 차량만 보더라도, 페라리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회사 쪽에서 공개한 자료를 보면, 12칠린드리는 1950년대와 1960년대의 그랜드투어러에서 영감을 받아 우아함과 함께 성능에서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밝혔다. 12기통 차량의 상징인 2개의 트윈 테일파이프 등을 담은 정밀한 선들은 간결한 차체 형태와 어울려, 스포티함과 품격을 함께 느낄수 있다고 회사 쪽은 설명하고 있다.

엠마뉴엘레 카란도 마케팅 총괄은 "공상과학에서 영감을 받은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이라며 "6.5리터 자연흡기 프론트 미드 12기통 엔진은 830마력의 힘을 발휘하며, 엔진 최대 회전수가 9500까지 올라간다"고 강조했다. 특히 2500 회전수부터 최대 토크 80% 발휘하면서, 매우 즉각적인 반응을 운전자가 느낄수 있다고 전했다.

그들만의 리그, 소수를 위한 자동차... '12칠린드리' 한국서 공개한 이유
 
차량 후면부 전체를 가로지르는 블레이드 형태의 테일라이트는 12칠린드리의 시그니쳐 테마다.
 차량 후면부 전체를 가로지르는 블레이드 형태의 테일라이트는 12칠린드리의 시그니쳐 테마다.
ⓒ FMK

관련사진보기

 
이밖에 페라리 만의 특징인 흡기와 배기 라인을 통해 풍성한 고주파 사운드를 즐길수 있고, 고성능 주행상황에서도 최적화된 공기역학 첨단 기술도 그대로 들어가 있다. 4륜 독립 스티어링(4WS)을 비롯해 이상적인 차량의 전후 무게 배분(48.3:51.7)등을 통해 차량의 반응성과 제어 능력도 크게 향상 됐다는 것이 회사 쪽 설명이다.

페라리 창립자인 엔초 페라리는 이날 현장 영상에서 "우리는 항상 '더 좋다'는 것을 추구하지 않고, '무엇인가 더 다르다'는 것을 추구한다"고 했다. 70년 넘게 페라리가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그들만의 리그를 만들어 가고 있는 배경이기도 하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급속히 전동화로 이동하고 있는 가운데, 12기통 자연흡기 자동차를 자신있게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저력은 페라리니까 가능하다는 의견도 여전하다.

그들만의 리그, 소수를 위한 자동차인 '12칠린드리'. 한국 시장의 그들은 과연 어떤 평가를 내릴까. 
 
페라리 글로벌 프로덕트 마케팅 총괄 엠마뉴엘레 카란도(사진 오른쪽)와 FMK 김광철 대표이사가 오늘 열린 <페라리 12칠린드리 아시아 프리미어>에 참석해 12칠린드리 차량 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페라리 글로벌 프로덕트 마케팅 총괄 엠마뉴엘레 카란도(사진 오른쪽)와 FMK 김광철 대표이사가 오늘 열린 <페라리 12칠린드리 아시아 프리미어>에 참석해 12칠린드리 차량 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FMK

관련사진보기


태그:#페라리, #12칠린드리, #엔초페라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공황의 원인은 대중들이 경제를 너무 몰랐기 때문이다"(故 찰스 킨들버거 MIT경제학교수) 주로 경제 이야기를 다룹니다. 항상 배우고, 듣고, 생각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