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남 완도 전복 양식장.
▲ 전복 양식장 전남 완도 전복 양식장.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전라남도는 2022년 기준 연 1억 원 이상 소득을 올린 어가는 2501 어가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527어가(26.7%)가 늘어난 것이라고 전남도는 덧붙였다.

1인 가구 증가 추세에 따른 '바로 요리 세트'(밀키트)와 가정간편식 제품 개발 등 소비유형 맞춤 전략을 추진하고 수산물 판로 차별화와 양식시설 현대화·규모화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전남도는 분석했다.

어가 소득 규모별로 1억 원 이상 2억 원 미만 어가는 1259어가(50.3%)로 나타났다. 2억 원 이상 5억 원 미만은 817어가(32.6%)였다. 5억 원 이상은 425어가(17.1%)로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전복, 굴, 꼬막 등 패류 양식이 721어가(28.8%)로 가장 많았다. 김·미역 등 해조류 양식 622어가(24.9%), 굴비 등 가공·유통 483어가(19.3%), 넙치·우럭 등 어류양식 293어가(11.8%), 어선어업 237어가(9.5%) 순이었다.

기후변화 영향으로 참조기, 갈치 등 어획량 감소에 따라 어선어업 분야 고소득 어가 수는 다소 줄었으나 양식시설 현대화 등에 따른 고품질 수산물생산으로 어패류 양식과 가공·유통 분야에서 큰 증가세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1064어가(42.5%)로 가장 많았다. 50대 749어가(29.9%), 40대 465어가(18.6%), 20·30대 청장년층 223어가(9%)였다.

시군별로는 완도가 669어가(26.7%)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흥 412어가(16.5%), 진도 371어가(14.8%), 영광 283어가(11.3%), 신안 282어가(11.2%) 순이었다. 이 가운데 영광은 참조기를 활용한 굴비 산업 규모화로 고소득 어가 수가 지난해보다 204어가 늘어 가장 많이 늘었다.

김현미 전남도 해운항만과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3고 현상 등에 따른 경기침체에도 1억 원 이상 고소득 어가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안전하고 친환경적 수산물 생산 여건을 조성해 안심하고 전남 수산물을 소비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라남도 1억 원 이상 고소득 어가 업종별 분포 및 연도별 현황
 전라남도 1억 원 이상 고소득 어가 업종별 분포 및 연도별 현황
ⓒ 전라남도

관련사진보기

 
 

태그:#어가소득, #어가, #전남, #양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광주·전라본부 상근기자. 제보 및 기사에 대한 의견은 ssal1981@daum.net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