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덕산지역 7개 마을 주민들이 변전소 건설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덕산지역 7개 마을 주민들이 변전소 건설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 <무한정보> 황동환

관련사진보기


한국전력공사가 내포변전소 부지를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로 확정해 지역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원점에서 다시 검토하겠다던 약속을 하고선 뒤에서 몰래 마을을 찾아다니며 합의를 종용하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군행정도 환경·재해·민원 등을 우려하며 부적합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전소덕산설치반대주민대책위원회'는 9월 29일 신평리에서 집회를 열어 ▲부지 선정 타당성 부재 ▲주민 설득력 부재 ▲원점 재검토 약속 번복 등을 이유로 들며 "한전이 덕산면에 변전소를 건설해서는 안 된다"고 반대했다. 이날 신평1·2리, 읍내1·2리, 시량1·2리, 둔1리 등 면내 7개 마을 이장과 주민 등 100여 명이 함께했다.

전종수 위원장은 "한전이 원점에서 부지선정을 다시 하겠다고 약속하고선 뒤에서 몰래 마을을 찾아다니며 합의한 뒤, 우리 마을을 조롱·협박하고 거짓행위를 일삼고 있다"고 주장하며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겠다던 약속을 지키고 더 나은 지역에 설치하길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강력하게 항의했다.

김기만 새마을지도자협의회장도 "덕산은 신규 전력수요가 없기 때문에 변전소가 와야 할 이유가 없다"며 "(내포신도시에 필요한 시설이기 때문에) 경제성을 따져도 송수전 거리가 짧은 내포신도시에 설치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신평리 주민 장명수씨는 "천년고찰 수덕사, 충의사, 덕산온천, 보부상촌이 있는 곳에 변전소를 설치하겠다는 발상 자체를 이해할 수 없다. 변전소로 인한 전기 혜택은 보지 못하면서 암 유발 고압전자파를 끼고 살아야하는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며 "죽어도 좋다는 각오로 끝까지 반대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변전소 건설승인권은 산업통상자원부에 있다. '전원개발사업법'에 따라 한전은 승인 신청할 때 군을 통해 전달받은 주민의견서를 반드시 제출해야한다. 군청 에너지팀장은 이와 관련해 "한전에 환경·재해·민원 등을 이유로 부적합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한전은 승인신청을 준비하며 최근 변전소 예정지 인근 마을들과 지원금액 합의를 시도하고 있다. 중부건설본부 관계자는 "변전소 최외곽에서 600미터 이내 마을(덕산 신평2리, 삽교 송산·신리)에서 요청하면 송주법(송변전설비 주변지역 보상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산출식을 근거로 마을별로 지원금을 줄 수 있다. 주민대책위와 군이 추천한 부지 2곳을 검토하면서 협의했지만, 지난해 11월 종합검토 결과 신평리 부지를 최종 확정해 주민대책위에 구두로 전달했다"며 약속을 번복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한편 한전이 지난 2020년 신평리 하수종말처리장 인근 부지를 '154kV 내포 E/C(변전소) 및 분기 송전선로 건설사업' 후보지로 검토하는 사실이 알려지자 덕산·삽교 11개 마을을 중심으로 주민대책위를 구성해 철회를 요구해 왔다. 8대 군의회도 '내포변전소 설치 철회 촉구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지역 사회는 한목소리로 변전소 건설을 반대했다.

2015년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내포변전소 1순위 후보지는 주수요처인 내포신도시 열병합발전소 부지였지만 도가 민원 등을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고, 2순위 홍성군 홍북읍 한 돼지농가 주변은 농장주가 반대했다. 신평리는 3순위였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남 예산군에서 발행되는 <무한정보>에서 취재한 기사입니다.


태그:#내포변전소, #변전소 반대, #예산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예산의 참소리 <무한정보신문>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