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이재환

관련사진보기


ⓒ 이재환

관련사진보기


ⓒ 이재환

관련사진보기


설날의 풍경은 이제 더 이상 풍경이 아니라 마치 흔적처럼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흔적을 찾아 26일, 충남 홍성군 광천읍 전통재래시장을 찾았습니다. 광천장날(4, 9일)이 아니라서 그런지 이날은 시장이 비교적 한산했습니다.

설날에 먹는 대표 음식은 뭐니뭐니해도 떡국입니다. 떡국의 재료는 흰떡, 즉 하얀 가래떡입니다.

광천 전통시장의 한 방앗간에서는 기계로 가래떡을 뽑고 있습니다. 시골에는 지금도 직접 재배한 쌀을 도정해 그 쌀로 가래떡을 만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풍경도 점차 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은 시골의 전통시장에서조차 미리 썰어 놓은 떡국용 떡(흰떡)을 팔고 있네요.

떡꾹 떡을 팔고 계신 방앗간 주인 아주머니에게 장사가 잘 되는지를 물었습니다.

주인 아주머니는 "큰 봉지는 1만 원, 작은 봉지는 4천 원에 판다"며 "요 며칠간 하루에 40kg 정도씩 팔려 나간다"고 말했습니다.

아주머니는 또 "요즘은 떡을 한두 봉지씩 사서 먹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습니다.

▶ 해당 기사는 모바일 앱 모이(moi)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모이(moi)란? 일상의 이야기를 쉽게 기사화 할 수 있는 SNS 입니다.
더 많은 모이 보러가기


태그:#모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유주의자. 개인주의자. 이성애자. 윤회론자. 사색가. 타고난 반골. 충남 예산, 홍성, 당진, 아산, 보령 등을 주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