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더불어민주당의 싱크탱크 민주연구원이 2016년 12월 29일 작성한 ‘개헌 검토 프로젝트’ 보고서의 표지
 더불어민주당의 싱크탱크 민주연구원이 2016년 12월 29일 작성한 ‘개헌 검토 프로젝트’ 보고서의 표지
ⓒ 더불어민주당

관련사진보기


[기사보강: 3일 낮 12시 4분]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원장 김용익)이 '개헌 보고서' 언론보도에 대해 3일 정정보도를 요청하기로 했다.

동아일보는 이날 1면 머리기사로 "더불어민주당의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이 정치권의 개헌 논의를 사실상 저지하기 위한 방어 전략을 담은 보고서를 당내의 일부 친문(친문재인) 인사들에게만 친전(親展) 형태로 전달한 사실이 2일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당은 개헌의 시기보다 개헌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논리를 적극 전개할 필요가 있다"는 대목 등을 들어 "이는 '개헌에 찬성하지만 지금은 아니다'라는 문재인 전 대표의 주장과 비슷한 맥락이다", "문 전 대표를 사실상 당 대선 후보로 규정하는 듯한 대목도 들어 있었다"고 전했다. 또한 신문은 "보고서가 지난해 12월 29일 작성돼 일부 친문 인사에게만 친전으로 전달됐다"고 전했다.

보도가 나오자 개헌파 등 민주당 비주류에서 격앙된 반응이 나왔다. 개헌론자 김종인 전 대표와 가까운 박용진 의원이 페이스북에 "민주당은 개헌반대를 당론으로 정한 바 없다. 그런데 '개헌저지'라니. 어디서 어떻게 결정된 이 입장이 당 공식기관에서 작성된 것인가"라며 "이것이 사실이라면 광장에서 들던 촛불을 당 안에서도 들어야 할 판"이라고 쓰기도 했다.

민주연구원 "개헌 이슈로 당 흔들려는 의도 담은 보도"

민주연구원은 '사실관계를 왜곡한 오보'라며 정정보도를 요청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연구원은 해당 보고서가 당 지도부  뿐만 아니라 '대선주자 5인' 문재인·안희정·이재명·김부겸·박원순에게도 배포됐음을 들어 "친문끼리 돌려봤다는 제목으로 사실을 왜곡한 것은 민주당의 분열을 노린 불순한 의도가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연구원의 관계자는 "33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보면 '개헌 저지' 같은 표현은 나오지도 않는다. 개헌 이슈로 당을 흔들려는 의도를 담은 보도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보고서를 쓴 문병주 박사(정책연구실 수석연구위원)는 국회에서 기자를 만나 "열린우리당 시절 들어와 중앙위원을 한 적은 있지만, 정치적으로는 무계파"라고 강조했다.

'개헌' 입장이 엇갈리는 대선주자 캠프에서는 보고서와 관련해 상이한 반응이 나왔다.

안희정 충남지사 캠프는 "아직 내용을 모두 검토한 것은 아니지만, 언론에 보도된 내용과 다소 차이가 있어 보인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반면, 김부겸 의원 캠프는 "당의 공식기구인 민주연구원이 벌써 대선후보가 확정된 것처럼 편향된 전략보고서를 작성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볼 수밖에 없다"며 김용익 원장의 공식적인 해명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 당이 결론에서 당이 개헌논의를 수용해야한다는 입장을 건의했지만, 당론을 정해야하는 민감한 개헌 이슈에 대한 보고서가 몇몇 사람에게만 회람되는 것은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 ▲ 개헌 논의를 '정략적' 차원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도 문제다라며 "민주연구원은 특정 후보가 아니라, 당의 집권을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민주연구원의 본분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되돌아보아달라. 특정 후보 편향의 활동은 당의 단결과 통합을 해치는 해당행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개헌 논의에 적극적인 일부 비주류 의원들도 오후 회동을 통해 입장을 정리하기로 했다.



태그:#민주연구원, #김용익, #개헌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