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배재대 교수들이 15일 정오 대학 21세기관 앞에서 시국선언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은 한순간도 미룰 수 없다"며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시국선언에는 모두 101명의 교수들이 참여했다.
 배재대 교수들이 15일 정오 대학 21세기관 앞에서 시국선언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은 한순간도 미룰 수 없다"며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시국선언에는 모두 101명의 교수들이 참여했다.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배재대 교수들이 15일 정오 대학 21세기관 앞에서 시국선언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은 한순간도 미룰 수 없다"며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시국선언에는 모두 101명의 교수들이 참여했다.
 배재대 교수들이 15일 정오 대학 21세기관 앞에서 시국선언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은 한순간도 미룰 수 없다"며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시국선언에는 모두 101명의 교수들이 참여했다.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대전 배재대학교 교수들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은 한순간도 미룰 수 없다"며 시국선언에 동참했다. 새누리당에 대해서는 "국정농단의 공범"으로 규정했다. 전체 교수 280여 명 중 101명(36%)이 참여했는데 개교 이래 사상 최대규모의 교수 시국선언이라는 설명이다.

배재대 교수 101명은 15일 정오 대학 21세기관 앞에서 밝힌 시국선언문에서 "이 사태의 본질은 대통령이 스스로 직분을 망각하고, 국민이 위임한 자신의 권한을 송두리째 비선 실세에게 넘겨버린 국정 매도사건"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주권을 부정하고 민주주의와 민주공화국을 파괴한 헌정파괴 범죄"라고 규정했다.

이들은 "대통령은 일방적으로 총리와 부총리, 비서실장을 지명하며 안하무인격인 불통의 모습을 계속하고 있다"며 "이는 박 대통령이 직을 유지하고 있는 한 거국중립내각론이나 책임총리제론이 백지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에 대해서는 "국정농단의 공범"이라며 "뼈를 깎는 각성과 사죄"를 촉구했다.

이들은 "대통령 퇴진이 한 순간도 미룰 수 없는 지점에 이르렀다"며 "대통령 퇴진과 새누리당의 각성을 요구하며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 국민들과 함께 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들은 국회에 대해서는 특검 임명을, 검찰에 대해서는 특검 임명 전 대통령과 비선 실세 등 연루된 자들에 대한 도주와 증거인멸 조처를 할 것을 각각 요구했다.

이 대학의 김종서 공공법학과 교수는 "국민들이 단 하루라도 박 대통령을 용납할 수 없다고 외치고 있다"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탄핵보다는 대통령 스스로 물러나도록 계속 촛불을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교수들의 시국선언을 지켜보던 학생들은 박수로 화답했다.

대전권 대학가는 연일 시국선언 중

대전권 대학교수들이 시국선언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8일 침례신학대 교수들의 시국선언 모습이다. 침신대에서는 전체 52명 교수 중 16명이 시국선언에 참여했다.
 대전권 대학교수들이 시국선언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8일 침례신학대 교수들의 시국선언 모습이다. 침신대에서는 전체 52명 교수 중 16명이 시국선언에 참여했다.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대전 지역 대학교수들의 시국선언은 여전히 확산세다. 지난달 28일 충남대 교수(207명)에 이어 지난 2일에는 한남대 교수(20여 명)가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지난 6일 목원대(66명), 8일 침신대 교수(16명),11일 카이스트 교수(287명)들이 시국선언을 했다. 특히 대전 카이스트 교수들의 시국선언은 개교 44년 만에 처음이다.

한편 충남대와 한밭대, 카이스트, 한남대, 대전대, 목원대, 배재대 학생들도 시국 선언에 참여했다.


태그:#시국선언, #배재대, #박근혜, #대전권, #침신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