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내 희귀조류인 장다리물떼새가 장남평야를 찾아 왔다. 6월 2일 대전환경운동연합에서는 장남평야에서 장다리물떼새를 확인했다. 장남평야는 세종시의 중간에 있는 넓은 평야지대로 세종시 중앙공원으로 개발되고 있는 지역이다.

주지하다시피 세종시는 국내 내륙의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다. 분홍빛의 긴 다리를 가진 장다리물떼새는 보통은 서해안의 농경지에 주로 찾아오는 종이다. 이런 장다리물떼새가 세종시 중앙공원 부지에 농경지로 보전하기로 한 곳에 찾아온 것 자체가 특별한 일이다. 세계적으로 넓게 분포하여 서식하지만 국내에는 도래하는 개체수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장다리물떼새의 먹이 찾는 모습
▲ 농경지에서 먹이를 찾는 장다리물떼새 장다리물떼새의 먹이 찾는 모습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다리가 몸에 비해 비대칭적으로 큰 특징을 가진 장다리물떼새는 매우 약한 모습으로 보여 보호가 필요한 것처럼 느껴진다. 장다리물떼새가 찾아온 장남평야에 보전된 농경지는 이처럼 특별한 나약한 새들을 찾아오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세종시가 개발되면서 장남평야의 2/3는 호수공원과 국가수목원으로 복토 되어 세종시민이 이용하게 된다. 장남평야 면적 자체가 매우 넓기 때문에 이중에 2/3를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녹지공원 형태로 개발되는 것은 참 놀라운 일이다. 세종시민이 큰 혜택을 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중 일부를 과거 그대로 농경지로 보전하기로 한 것은 더욱더 의미 있는 일이다. 장남평야에 환경부 보호종인 금개구리가 확인되면서 보전하기로 한 농경지에는 지금도 많은 새들과 생물이 찾아온다.

아마 농경지가 아닌 공원이 되었다면, 장다리물떼새는 찾아오지 못했을 것이다. 다행이 보전된 농경지는 유기농으로 가꾸고 있으며, 때문인지 지난해 겨울에는 흑두루미까지 찾아와 겨울을 보냈다(관련기사 : '멸종 위기' 흑두루미, 장남 평야에 오래 머물려면)

2008년 경남창녕에서 진행된 국제 습지보호조약인 람사총회에서 논에 대한 습지가치를 인정했다. 농경지가 가지는 중요한 습지의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세종시 장남평야에 일부를 농경지로 유지하기로 한 것은 국제적으로도 매우 인정 받을 만한 일이다.

장다리물떼새
▲ 장남평야를 찾아온 장다리물떼새 장다리물떼새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장다리물떼새는 방문은 이런 의미를 다시 한번 확인해준 것이다. 겨울에 찾아온 흑두루미와 더불어 앞으로 농경지를 찾아온 새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조사를 통해 도심속 철새 서식지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내륙의 철새서식지로 의미를 찾고 세종시민의 탐조지로 활용한다면 더욱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게다. 더불어 농경지의 일부를 시민들의 농촌체험공간으로 활용하면, 자연과 시민이 공존하는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세종시 일부 주민이 농경지를 없애고 공원으로 조성해달라는 요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세종시 호수공원과 수목원 등으로 충분한 공원면적은 이미 확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남겨진 농경지는 농경지의 의미를 살리면서 세종시의 습지보전 정책을 세워가는 것이 미래세대들을 위한 현명한 선택일 것이다. 세종시에서 농경지를 없애고 농경지 조성을 검토한다면, 장다리물떼새는 다리가 길어 슬픈 짐승이 될 것이다.


태그:#장다리물떼새, #농경지, #습지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날로 파괴되어지는 강산을 보며 눈물만 흘리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자연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대전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되시면 함께 눈물을 흘리고 치유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기! https://online.mrm.or.kr/FZeRvcn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