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문운주

5월 8일, 고향을 찾았다. 고향이라고 해봐야 이곳 광주에서 15분 거리다. 아직도 500년 느티나무는 그대로인데 냇가 아이들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건너 밭에는 어머니가 쭈그리고 앉아 김을 매셨다. 옥수수며 고구마를 바리바리 싸 주셨다. 어머니는 그렇게 사셨다. 그렇게 사시는 것이 당연한 줄 알았다.

그리고 거동을 못 하실 때는 느티나무 밑에 앉아서 마냥 기다리셨다. 못난 아들을.

왜 이렇게 멀기만 할까. 내 고향이... 나무는 싱그럽고 날씨도 화창한데...

숙모님 연세가 아흔이 다 되셨다. 다정하고 다감하고 어머니 같으신 분이다. 아버지는 5남매시다. 이제 숙모님 한 분만 살아계신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생전의 모습을 말씀해 주실 수 있는 유일한 분, 우리 집안의 제일 어른이시다. 그런데 자주 찾아뵙지 못했다.

"운주야~~!"

불러주시는 숙모님 허리가 너무 휘었다. 얼굴에 주름이 가득하다. 그 곱던 얼굴이... 골목길 담장도 무너진 채로다. '능주아줌, 봉황 아줌'은 어디로 가셨을까.

▶ 해당 기사는 모바일 앱 모이(moi)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모이(moi)란? 일상의 이야기를 쉽게 기사화 할 수 있는 SNS 입니다.
더 많은 모이 보러가기


#모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이들의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보며 삶의 의욕을 찾습니다. 산과 환경에 대하여도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고 싶지 않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