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4일 "(내년 총선에서) 전략 공천은 단 한 명도 하지 않겠다"라며 당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비관론을 정면 반박했다. 오픈프라이머리를 흔들고 있는 친박(박근혜)계를 향해 공개적인 '경고'를 보낸 셈이다.

김 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당 대표 입장에서 전략 공천은 단 한 명도 하지 않겠다"라며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여러 번 당 소속 의원들의 의사를 확인했는데 그 취지에 반하는 건 전혀 없었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의원총회를 통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당론을 재확인하겠다는 의지도 보였다. 그는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다른 주장이 나오기 시작해 다음 주 의원총회에서 토론해 봐야 한다, 하지만 큰 변동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은 오는 30일 오후 선거구 개편 등 총선 룰 논의를 위해 의원총회를 소집한 상태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 앞서 열린 '국민공천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도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주는 게 정치 개혁"이라며 거듭 오픈프라이머리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오픈프라이머리 실시가 사실상 힘들어졌다며 '플랜B'(대안)를 내놓으라는 친박계의 요구에 대해서 김 대표는 "하다 하다 안 될 때 필요에 의해 디테일을 바꿔 '플랜B'로 가게 되더라도, 기본적인 국민공천제 원칙은 지킨다. 그게 이미 결정된 당론"이라고 반박했다.

오픈프라이머리 사수 의지 밝힌 김무성... 친박에 공개 반박

사실 김 대표의 이날 발언은 그동안 여러 차례 반복돼 온 내용이다. 김 대표는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에서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기 위해 당 대표가 되려 한다"라고 공약했고, 당 대표 당선 후에는 "어떤 경우에라도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겠다"라고 입버릇처럼 말해왔다.

하지만 이날 발언은 특별한 정치적 의미가 읽힌다. 시점 때문이다. 현재 여권에서는 청와대 참모들의 총선 출마 준비가 가시화되고 청와대발 '총선 물갈이설'이 불거진 상태다. 특히 박 대통령의 지난 7일 대구 방문 행사에 유승민 전 원내대표를 포함한 지역구 의원들이 모두 배제되면서 '현역 물갈이설'로 번지기도 했다.

또 친박 핵심이자 청와대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은 '김무성 불가론'을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친박 대선후보' 가능성을 언급했다. 모두 '박심(박 대통령 의중)이 배제된 총선과 대선은 불가능하다'는 친박의 속내가 드러난 발언들로 해석됐다.

이런 시점에 김 대표가 '전략 공천 불가론'을 재차 언급한 것은 도리어 '총선 공천권'을 둘러싼 친박 대 비박의 힘겨루기에서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오픈프라이머리를 흔드는 친박계의 의도를 공천 지분 확보로 보고 청와대의 총선 공천 개입도 막겠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내비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사람 바꾸기는 반대편 숙청에 악용"... '청와대발 물갈이설' 겨냥?

이는 김 대표가 이날 '인위적인 물갈이'에도 반대한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김 대표는 "소위 사람을 바꾼다는 개혁은 권력의 힘으로 반대편을 숙청하는 데 악용되는 도구로 전락한 지 오래됐다"라며 "개혁이라는 칼날로 사람을 정리하는 것은 오로지 국민의 힘으로만 가능하며, 모든 판단은 국민이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물론 이 발언은 중진 용퇴를 포함한 공천혁신안을 마련한 야당을 겨냥한 것이다. 하지만 김 대표의 공천 탈락 전력을 보면 본인의 심경 고백으로도 읽힌다. 김 대표는 박 대통령이 공천권을 휘두른 지난 2012년 총선 등 이미 두 번이나 공천에서 탈락한 적이 있다. 

이 때문에 김 대표가 야당 비판을 통해 동시에 청와대의 공천 개입 및 인위적 물갈이 가능성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친박의 공세에 정면대응을 피해온 김 대표가 공개적 반박에 나서면서 양측 간 불신은 더 커질 수밖에 없게 됐다. 총선 공천권을 둘러싼 여당 내 갈등도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태그:#김무성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