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광안리해수욕장에서 열린 부산불꽃축제 모습.
 지난해 광안리해수욕장에서 열린 부산불꽃축제 모습.
ⓒ 부산광역시

관련사진보기


부산시가 해마다 개최하는 불꽃축제에 유료좌석 도입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올해로 11회를 맞는 부산불꽃축제는 가을철 지역의 대표적 축제로 자리매김해왔다. 그동안 일부 외국인용 좌석을 제외하고는 유료좌석을 설치하지 않았지만, 부산시는 올해부터 대규모 좌석의 유료화를 추진하고 있다.

우선 부산시는 불꽃축제를 가장 잘 관람할 수 있는 광안리해수욕장에만 1만 석의 좌석을 마련해 판매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광안리해수욕장의 유료좌석 판매가는 최대 10만 원에서 5만 원으로 책정했다. 이중 6천 석은 외국인을 위한 좌석으로 정해졌다.

해운대 APEC 누리마루에도 별도의 777석을 만들어 불꽃축제 관람과 한류스타 디너 파티를 진행한다는 계획도 나왔다. 이 디너 파티는 좌석당 100만 원을 받을 예정이다. 부산시는 이를 통해 7억 원 이상의 수입을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불꽃축제를 통해 돈을 벌어들이겠다는 부산시의 계획에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부산시는 한차례 공청회를 거치며 유료화의 당위성을 설명했지만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여전히 고개를 갸웃거리는 여론이 많다.

당장 높은 가격에 시민 누구나가 즐길 수 있는 축제라는 이미지가 퇴색하고 시민들의 위화감만 불러올 것이란 우려가 크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아래 참여연대)는 지난 21일 낸 성명에서 "부산시의 축제에 부산 시민은 없다"고 꼬집었다.

"시민 세금으로 열리는 행사에서 편히 관람할 권리마저 빼앗다니..."

참여연대는 부산시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며 실시한 공청회도 졸속 추진되었다고 비판하고 있다. 지난 14일 불꽃축제 유료화 문제를 다룬 공청회가 지나치게 시의 입장을 대변하는 자리였다는 것이다. 특히 참여연대는 유료화에 비판적인 의견을 가진 시민단체 대신 유료화에 찬성 입장에 선 토론자들이 다수 초청됐다는 점을 문제삼고 있다.

동시에 참여연대는 "부산시가 유료화로 얻는 수익을 어디에 쓸지조차 제대로 정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참여연대는 "공청회 사회자인 축제조직위 집행위원장은 수익금에 대한 용처를 논의하지 않았다고 했다"면서 "공청회와 이전의 회의들이 얼마나 형식적이었는지 알 수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참여연대는 "시민들이 누구나 쉽게 즐기는 불꽃축제를 유료화함으로써 얻는 경제적 효과와 시민들이 느낄 박탈감·위화감 중 어떤 것이 더 우선인가"라 되물으며 "불꽃축제 자체가 시민들의 세금으로 시민들을 위해 열리는 행사인데 편히 관람할 권리마저 빼앗겼다는 느낌이 든다면, 그 자체가 시민들을 위한 행사가 아닌 것"이라고 지적했다.


태그:#부산불꽃축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