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전시의회 박정현 의원과 대전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공동으로 개최한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 조례 개정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4일 오후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대전시의회 박정현 의원과 대전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공동으로 개최한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 조례 개정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4일 오후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교통 약자의 전반적인 이동권에 대해 고민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입니다."

대전시의회 박정현(새정치민주연합, 서구4) 의원이 대전장애인차별철폐연대와 공동으로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 조례 개정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4일 오후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 박 의원은 교통약자를 위한 편의증진은 단순히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것만이 아닌, 우리 모두의 현재, 그리고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론회에 앞서 취지발언에 나선 박 의원은 "대전시의 현재 저상버스 도입률은 14.1%다, 저상버스를 타야하는 장애인은 버스 10대를 기다려야 겨우 탈 수 있다는 것으로, 사실상 저상버스를 타고 목적지에 가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적어도 50%는 돼야 저상버스를 기다렸다가 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교통약자를 위한 편의시설들은 장애인에게만 좋은 것이 아니"라며 "2016년 장애인, 노인·어린이·임산부 등 교통약자가 전체 인구의 25.7%에 달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라면서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통약자의 전반적인 이동권에 대해 고민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오늘 토론회는 2008년에 제정된 '대전광역시 장애인 등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조례'를 더 현실적이고, 실효적인 내용으로 개정하자는 것"이라며 "오늘 토론회에서 나온 내용을 잘 담아 장애인을 포함한 교통약자 전체의 이동권이 보장되는 조례를 개정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주제발제에 나선 이범규 대전발전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누구나 편리한 무장애 교통환경 조성을 목표로 교통수단과 여객시설, 보행시설의 체계적 연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면서 ▲ 특별교통수단 보급 확대 ▲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설립 ▲ 저상버스 보급 확대 ▲ 여객자동차터미널 시설 개선 ▲ 도시철도 역사시설 개선 ▲ 시내버스 정류장 시설 개선 ▲ 여객시설 주변 보행로 정비 ▲ 간선도로 횡단시설 개선 ▲ 보행우선구역 조성 등의 주요 추진정책을 제시했다.

이어 두 번째 발제에 나선 남가현 노동당대전시당 사무처장은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가 위상을 갖추고 제 역할을 한다면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저상버스와 도시철도, 장애인 콜택시 등의 연계 교통체계를 확립할 수 있다"라면서 "교통약자의 이동권은 단순히 이동 할 수 있는 권리로 끝나지 않고 사회참여와 경제생활에 있어서 필수조건"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의 토론자로는 김선숙 전국장애인부모연대 대전지부 사무국장과 김현기 대전장애인단체총연합회 사무처장, 박정선 대전장애인배움터 한울야학 교장, 송형택 광주시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사무처장, 백영중 대전시 교통정책과장 등이 나서 열띤 토론을 벌였다.


태그:#교통약자, #장애인이동권, #박정현, #대전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