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3일 오전 11시, KBS노동조합 대전지부와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대전지부 등 양대 노동조합이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파업을 벌이는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3일 오전 11시, KBS노동조합 대전지부와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대전지부 등 양대 노동조합이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파업을 벌이는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지만 대전충남권에서는 KBS에서 지역 뉴스를 볼 수 없다. KBS노동조합 대전지부와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대전지부 등 양대 노동조합이 동시파업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파업에 참여한 기자와 PD 등 노조원들이 3일 길거리로 나섰다. 이들은 손에 방송 마이크와 카메라 대신 'KBS는 국민의 방송'이라고 쓴 손 피켓을 들었다.

양대 노조는 이날 오전 11시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선거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해 죄송할 따름"이라며 "하지만 수신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 KBS가 침몰하는 상황을 지켜볼 수 없었다"고 파업참여 이유를 밝혔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서도 "세월호 희생자 가족의 목소리,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사건 등 정권이 불편해 하는 기사는 KBS에서 제대로 보도되지 못했다"며 "더 이상 지역뉴스나 잘하자고 애써 눈을 감을 수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청와대와 길환영 KBS 사장의 보도에 사사건건 개입했다는 내용은 충격이었다"며 "정치독립적인 사장 선임을 위한 장치마련과 공정한 보도를 위한 장치 마련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덧붙였다.

대전충남민언련-대전 MBC 노조-TJB 대전방송노조-대전일보·금강일보 노조 연대

KBS노동조합 대전지부와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대전지부 등 양대 노동조합이 3일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파업을 벌이는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KBS노동조합 대전지부와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대전지부 등 양대 노동조합이 3일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파업을 벌이는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이들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싸우겠다"며 "반드시 승리해 진정한 국민의 방송 KBS로 돌아가겠다"고 강조했다.

강우식 KBS노동조합 대전지부장은 "KBS가 전 국민의 문제임을 새삼 깨우쳤다"며 "KBS를 망가뜨린 길 사장의 퇴진'을 거듭 촉구했다. 김웅식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대전지부장도 "2010년, 2012년에 이어 또다시 파업에 나섰다"며 "매번 공정방송 쟁취를 약속하고도 또 다시 같은 약속을 하게 돼 부끄럽고 반성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 명령으로 알고 끝까지 싸우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기동 대전충남민언련 사무국장과 대전 MBC 노조 윤성희 위원장, TJB 대전방송노조 안재석 지부장, 대전일보 노조 장길문 지부장, 금강일보 노조 이기준 지부장도 각각 연대사를 통해 "언론자유가 쟁취될 때까지 끝까지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길거리 기자회견장에는 30여명의 KBS 양대 노조원을 비롯 대전참여자치연대, 대전충남녹색연합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함께 참여했다.


태그:#KBS대전, #파업, #지방선거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