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5일 청와대 새 대변인에 임명된 민경욱 KBS 전 앵커가 춘추관에서 소감을 말하고 있다. 왼쪽 사진은 KBS 앵커 시절의 모습.
▲ 민경욱 앵커의 변신 5일 청와대 새 대변인에 임명된 민경욱 KBS 전 앵커가 춘추관에서 소감을 말하고 있다. 왼쪽 사진은 KBS 앵커 시절의 모습.
ⓒ KBS화면/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KBS 27기 기자들이 '민경욱 대변인 임명 반대' 성명서를 발표했다.

5일 청와대가 민경욱 전 앵커를 청와대 대변인으로 임명 내정하자 27기 기자들은 "마지막 남은 KBS 저널리즘의 자존심을 쓰레기통에 처박은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성명서에는 현직 언론인을 청와대 대변인으로 임명한 박근혜 정부를 비판하고, 그의 임명이 언론의 독립성을 훼손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들은 "KBS 앵커를 청와대 대변인으로 앉히겠다는 발상이 참으로 경악스럽다"라며 "KBS를 정권의 일개 부속기관으로 여기고, 정권의 입맛대로 움직이는 하수인 집단으로 여기고 있음을 대내외에 천명한 것에 다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날 사내게시판에 발표된 성명서에는 지난 2000년에 입사한 27기 기자 14명이 참여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 내정자는 지난 1991년 18기 기자로 KBS에 입사했다.

다음은 이들이 발표한 성명서 전문이다.

음력 정초부터 날아든 참담한 소식에 수많은 KBS 기자들은 뒤통수를 한 대 맞은 듯한 충격에 휩싸였다. 민경욱 전 KBS 앵커, 현 문화부장, 청와대 대변인 내정. KBS 뉴스 간판으로서 시청자들에게 KBS 보도의 상징으로 각인된 인물이 정권의 품에 안겼다는 쓰라린 소식이었다.

언론사 뉴스 핵심 인물이 이토록 노골적으로 정권과 손을 잡은 사례는 한국 언론사를 통틀어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다. 민경욱 전 앵커가 KBS 9시 뉴스 앵커 직에서 내려온 지 고작 석 달 남짓 지났다. 대변인 직 내정 소식이 공개되기 불과 하루 전인 어젯밤 KBS 9시 뉴스에서는 데스크 분석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1분 남짓 화면에 현직 보도국 부장으로써 출연까지 했다.

묻고 싶다. 박근혜 정권은 언론사 KBS가 권력의 영향으로부터 독립된 기관이어야 한다는 대전제 따위는 안중에도 없는가? KBS 앵커를 청와대 대변인으로 앉히겠다는 발상이 참으로 경악스럽다. 권력과 거리를 두고 감시와 견제에 매진해야 할 현직 언론인, 그것도 KBS 메인 뉴스 앵커라는 상징을 지닌 인물을 권력의 대변자 자리에 임명한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 KBS를 정권의 일개 부속기관으로 여기고, 정권의 입맛대로 움직이는 하수인 집단으로 여기고 있음을 대내외에 천명한 것에 다름 아니다.

KBS 뉴스를 보는 시청자들의 눈에 이번 대변인 임명이 어떻게 비춰질 지는 명약관화하다. KBS 뉴스를 만드는 이들은 언제든 정권과 한 몸이 될 수 있는 자들이라는 단순한 명제다. 앞으로 어떻게 시청자들에게 우리 뉴스를 믿어달라고 호소하고, 우리 뉴스는 공정하다고 감히 입을 놀릴 수 있겠는가.

민경욱 전 앵커가 청와대 대변인에 임명되는 사건은 마지막 남은 KBS 저널리즘의 자존심을 쓰레기통에 처박은 행위다. 올해 입사 14년차를 맞은 우리 27기 기자들은 그 동안 체득한 언론인의 양심과 사명감에 비춰 이런 비극적 상황을 순순히 용납할 수 없다. 허탈함과 분노에 온 몸이 떨릴 지경이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요구한다. 민경욱 전 KBS 앵커를 청와대 대변인으로 내정한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 아울러 KBS 뉴스를 신뢰해온 시청자들과 KBS 구성원들에게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라.

2014년 2월 5일
민경욱 전 앵커 청와대 대변인 임명 내정에 반대하는 27기 기자 일동

김 석 김귀수 김정환 모은희 이병도 이정화 이진석 이진성 정수영 정영훈 정윤섭 정지주 정홍규 홍희정

덧붙이는 글 | 안형준 기자는 오마이뉴스 19기 인턴기자입니다.



태그:#KBS, #민경욱, #대변인, #청와대
댓글25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