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일으켰던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한반도가 동쪽으로 최소 1.6cm에서 최대 3.32cm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진의 진앙지와 가까운 독도는 4.64cm, 울릉도는 5.57cm 동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지진에 의한 우리나라 지역별 지각변동 현황 (화살표의 크기는 변동량, 지역명은 위성기준점 위치) <자료=국토지리정보원>
 일본지진에 의한 우리나라 지역별 지각변동 현황 (화살표의 크기는 변동량, 지역명은 위성기준점 위치) <자료=국토지리정보원>
ⓒ 국토지리정보원

관련사진보기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임주빈)은 2011년 4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축적된 위성 데이터로 지진 전·후 한반도 위치를 비교한 결과 한반도가 동쪽으로 평균 2.16cm 이동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21일 발표했다. 독도와 울릉도는 지진이 일어난 동일본과 가까워 지각 변동이 육지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정보원 관계자는 "일본 대진지의 영향으로 우리나라가 전국적으로 동쪽으로 일관성 있게 이동했지만 그 크기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며 "육지는 평균 2.16㎝, 최소 1.6cm, 최대 3.32㎝의 변화가 발생 했고 진앙에서 가장 가까운 울릉도와 독도는 각각 4.64㎝, 5.57㎝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어 "지진 후 7개월은 지각 안정화가 완전히 이루어 지지 않아 대지진 이후에도 규모 5.0 이상의 여진이 수십 차례 발생했었다"고 덧붙였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일본 지진의 영향을 반영해 새로 계산한 국가기준점(위성기준점 79점, 통합기준점 1200점) 위치 값을 오는 27일 고시할 방침이다. 새로 변경고시 될 국가기준점 위치 값은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http://www.ngii.go.kr)를 통해 제공된다.

지진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국가기준점 좌표를 변경고시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같은 사실은 국토지리정보원이 동일본 대지진 영향으로 변동된 국가기준점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우리나라 국가기준점 현황 <자료=국토지리정보원>
 우리나라 국가기준점 현황 <자료=국토지리정보원>
ⓒ 국토지리정보원

관련사진보기


국가기준점이란 국토부 장관이 전 국토를 대상으로 주요 지점마다 설치한 측량이 되는 기준점(위성기준점·통합기준점)으로 주요 건설공사나 지도 및 지적도 제작·공간정보 구축 등 모든 측량에 기준이 된다.

국가기준점이 부정확할 경우 공간정보 활용에 따른 오류로 부실공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에 따르면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은 기본적으로 1∼2m 정도의 오차가 있어 이번에 바뀐 국가기준점의 영향을 받지 않을 전망이다.

국토지리정보원 관계자는 "이번 국가기준점 변경은 지적 등 정밀측량과 공간정보의 정확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지진으로 인한 위치 값 변경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전국 79개소에 설치된 GPS신호 수신기(위성기준점)를 상시 모니터링 하는 등 전반적인 지진 대응체계를 수립·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 박선주(parkseon@onkweather.com) 기자는 온케이웨더 기자입니다. 이 뉴스는 날씨 전문 뉴스매체 <온케이웨더(www.onkweather.com)>에도 동시 게재됩니다.



태그:#지진, #일본 지진 , #한반도 이동, #국가기준점, #재난재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국내최초 날씨전문 매체 <온케이웨더>: 기상뉴스,기후변화,녹색성장,환경·에너지,재난·재해,날씨경영 관련 뉴스·정보를 제공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