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구역 상행선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열차가 서는 플랫폼(자료사진)
 대구역 상행선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열차가 서는 플랫폼(자료사진)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코레일이 폐차 직전의 노후열차를 호남·전라선에만 집중 배차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김광진 민주당 의원이 27일 공개한 '주요노선별 열차 제작년도 현황'(코레일 자료)에 따르면 원래의 상태대로 사용할 수 있는 기간(25년)이 1~3년 밖에 남지 않은 일반열차(무궁화·새마을호등) 가운데 1989~1991년에 제작된 객차의 70.6%가 호남·전라선에 집중 배차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1989년~1991년에 제작된 객차 중 수명이 3년도 남지 않은 노후 객차는 총 75량이다. 이 중 호남·전라선에 53량(70.6%)이 집중 배차됐다. 경부선 14량(18.6%), 중앙선 6량(0.8%), 장항선 2량(0.2%) 등으로 확인됐다.

반면 2001~2003년에 제작한 최근 객차는 상대적으로 경부선에 많이 편성된 것으로 드러났다. 코레일은 이 기간 제작된 차량 총 117량 중에 69량을 경부선에 집중 배차했다. 나머지는 전라선 45량, 호남선 37량, 장항선 24량, 중앙선 3량 순이다.

이같은 사실이 일부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었다. 한마디로 대표적인 기간교통망인 철도에서 코레일이 호남 지역을 차별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열차 구간별 요금 등에서도 호남지역이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의혹까지 일면서 논란은 더 확산됐다.

이에 코레일 쪽은 오후에 별도 자료를 통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최삼일 코레일 홍보팀 차장은 "KTX가 아닌 일반열차는 호남, 전라 관계없이 순환 사용 한다"며 "일부 언론보도는 새마을호와 무궁화호의 편성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코레일은 또 "무궁화호 열차는 호남·전라·경부선을 노선·일자별로 순환하며 운행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노선에 편중되어 운행될 수 없는 구조"라며 "하지만 새마을호 열차가 노선별로 차이 나 보이는 이유는 차량형식에 따라 사용연한이 차이 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코레일의 설명에 따르면 현재 경부선 새마을호 객차는 원래의 상태대로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20년짜리 위주이다. 반면 호남·전라에는 25년짜리 객차 위주라고 말한다. 즉, 수명이 20년인 경부선 객차는 이미 폐차 되어 새 대체차량이 들어왔다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수명이 남은 호남·전라선의 객차가 노후 된 것이라는 게 코레일 쪽 주장이다.

결국 열차 본래의 수명을 다하는 기간과 관계없이 단순히 열차의 제작연도만 비교하는 건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내년 초부터 운행되는 ITX-새마을호가 편성되면 논란이 종식될 것"이라며 "호남·전라선에서 운영 중인 일반열차가 먼저 차례대로 ITX-새마을호 신규 열차로 교체되니 그 때가 되면 오히려 경부선에 배치되는 객차가 오래된 것이 된다"고 설명했다.


태그:#코레일
댓글1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