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도시농업대회에 강연을 듣고 있는 참가자 150여 명의 참가자들이 강연을 듣고 있다.
도시농업대회에 강연을 듣고 있는 참가자150여 명의 참가자들이 강연을 듣고 있다. ⓒ 대전환경운동연합 이경호

도시에서 귀농을 꿈꾸는 사람들이 점차 늘면서, 2012년 도시농업은 핫한 아이콘이 되었다. 도시에서 농사를 짓는 꿈(?)을 이루기 위한 여러단위의 노력들이 더해지면서 전국에 지자체별로 앞다투어 조례를 제정하고, 텃밭을 만들고 있다. 이런 도시농업에 대한 고민을 일찍 시작하면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전국에 많은 단체들이 모여 서로의 고민을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다.

20일 12시 대구팔공산맥섬석유스호스텔에서 제 1회 도시농부 전국대회를 개최한 것이다. 이번 도시농부 전국대회는 도시농업시민협의회가 주관하여 도시농부 전국대회 준비위원회와 대구도시농업네트워크가 주관하였다. 전국에서 도시농업에 관련된 활동을 열심히 진행해온 활동가와 도시농부 약 150여 명이 이번 대회에 참가하였다.

소네하라 농촌파트너쉽연구소 LLC대표(이하 소네하라 대표)의 초청특강을 시작으로 도시농업대회는 시작했다. 소네하라씨는 <일본의 농촌은 보물산>(2013년 한국출간 예정)과 <농촌기업가가 되자>의 저자이다. 소네하라 대표는 야마나시현에서 도농교류활동을 17년 동안 진행한 내용을 소개했다. 지금 일본에는 고령화, 노동력부족, 유휴지 증가(경작포기지 증가 40만ha), 농촌경제의 정체현상, 식량자급율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의 농촌현실은 어둡지만 이런 현실을 비관만 할 수 없었다고 한다.

반대로 일본의 농촌을 보물산 이라고 생각하면서 활동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도쿄인근에 위치한 지역적 특징을 바탕으로 도쿄와 연계하고자 생각했다고 한다. 20년 전 야마시나현은 65세 이상 인구가 2/3나 되는 초고령 사회였다고 한다.

20년 전 소네하라 대표는 경영컨설턴트로 활동을 하며 버블경제가 붕괴되면서 채무국가가 될 것이고, 중국의 경제성장이 높아질 것, 산업과 고용이 공동화 현상이 발생할 것을 직감했다고 한다. 그래서 시각을 돌린 것이 농촌의 자원이라고 설명했다. 자원은 충분한데 노동력이 부족한 것을 파악하고, 도시와 농촌을 연계한 활동을 준비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강연중인 소네하라 대표 농촌을 보물산으로 소개하는 소네하라 대표의 모습
강연중인 소네하라 대표농촌을 보물산으로 소개하는 소네하라 대표의 모습 ⓒ 대전환경운동연합

소네하라 대표는 처음에는 유휴 농경지를 지속적으로 살릴 수 있도록 경작활동(2ha)을 처음 가족끼리 시작했다고 한다. 장작난로를 사용하여 실제 생활을 진행하면서, 일본의 별장 1만채에 장작난로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장작이 없어서 난로가 가동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이런 이유에서 임업을 시행하면서, 장작을 팔았다고 한다.

이런 경험을 좀 더 확장하여 도농교류를 통해 농촌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방안들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하여 공동으로 법인을 만들고, 직접 농사를 짓지 않고,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 힘쓰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도시에 젊은 사람들이 농촌을 동경한다는 통계를 확인하면서 젊은 사람들(자원봉사형태)을 농지개간에 끌어들이기 시작했고, 이런 활동을 통해 초기 3ha를 개간했다고 한다. 이런 자원활동들이 지속되면서 농촌의 이주하는 젊은이들이 이주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런 활동들이 누적되면서 지금은 거대한 농장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제 고령화된 야마나시현이 젊은이들이 넘쳐나는 야마시나현이 되고 있었지만, 경제성이 부족한 것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 10년 이상 유지하기 위해서 경제성 확보를 위해서 기업들을 연계한 사업을 고민했다고 한다. 기업들의 자원봉사를 통한 개간활동이나 생산물을 통한 가공품을 만들어 진행하면서 경제성을 확보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런 활동들은 지금 성공적인 농촌으로 일본에서 조명되고 있다고 한다. 소네하라 대표는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이런 활동들을 활성화 시킨다면, 약 50조원의 경제적 이익과 3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분석을 했다고 설명하면서 강연을 마쳤다.

초청특강이 끝나고 도시농부 전국대회의 가장 메인행사인 각 지역 사례발표로 정말 다양한 도시농업 접근방식을 알 수 있었다. 환경교육, 마을공동체, 도농교류, 도시재상지역순환, 도시농업거버넌스, 농민만사 6개의 분야로 나누어 발표를 진행하였다. 도시농부활동이 이렇게 다양한 분야로 나누어져 발표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놀라움이었다.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생태텃밭양성자교육을 통한 다양하고 폭넓은 인프라는 놀라기에 충분했다. 이렇게 구축된 지역의 인프라들이 도시농업의 리더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지역의 인력풀은 부족하다는 게 실무자의 한결같은 주장이였다.

동국대학교와 경북대학고 대학생 캠퍼스 텃밭과 고등학생 텃밭 조성을 통한 로컬푸드의 활성화 사례는 도시농업의 미래를 밝게 전망할 수 있는 발표였다. 또한, 다양한 환경교육 사례와 공동체를 복원하는 주체가 도시농업이 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과거의 품앗이와 두레 등의 복원이 가능성까지도 생각해 볼 수 있을 정도였다. 

도시에 과도하게 집중화된 사회로 변하면서 도시에서 농사짓는 것 자체가 녹록지 않은 일이다. 도시화로 인한 농업부지 부족과 농사에 대한 천대적 시각들, 절대적인 일손의 부족, 재원이 부족 등 제약된 조건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도시농업대회를 통해 도시농부의 확장 가능성을 점칠 수 있었다. 앞으로 부족한 식량자급률과 농촌인구감소, 로컬푸드 등의 여러가지 농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도시농업의 발전가능성은 더 높아 보였다. 앞으로 도시농업의 밝은 미래를 위한 도시농업시민협의회 등의 다양한 활동을 기대해 본다.


#도시농업 전국대회#소네하라#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날로 파괴되어지는 강산을 보며 눈물만 흘리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자연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대전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되시면 함께 눈물을 흘리고 치유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기! https://online.mrm.or.kr/FZeRvcn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