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사 보강 : 14일 오전 2시 13분]

통합진보당의 최대 지지기반인 민주노총이 통합진보당과의 결별을 결정했다.

민주노총은 13일 오후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13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13차 중앙집행위원회(이하 중집)에서 10시간을 넘긴 마라톤 회의 끝에 통합진보당에 대한 입장을 '조건부 지지철회'에서 '지지철회'로 정리했다. 이날 회의는 8월 총파업 세부계획과 위원장 직선제 안건 등이 논의됐으며 지지철회 결정은 회의 막판 격론을 통해 14일 오전 1시에야 결정이 나왔다.

회의 직후 민주노총은 보도자료를 내 이번 결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민주노총은 "5월 11일 제 8차, 5월 17일 제9차 중앙집행위원회 결정에 의거해 보면, 통합진보당은 '노동중심성 확보와 1차 중앙위 결의 혁신안이 조합원과 국민적 열망에 부응하는 수준으로 실현해야 한다'는 조건이 성립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며 지지 철회 이유를 밝혔다.

"조합원과 국민적 열망에 부응하는 수준 안 됐다"

민주노총은 이어 "이번 결정은 당내의 어떤 세력이나 정파 간의 이해와 무관한 민주노총의 독자적이고 주체적인 결정"이라고 밝혔다. 지지철회가 통합진보당의 혁신파에 무게를 실어 준다는 평가를 빗겨간 입장 표명이었다.

또 "향후 민주노총 정치방침 수립은 새정치특위(새로운 노동자 정치세력화 특별위원회)를 비롯한 조직 내의 의사결정 구조 속에서 토론하고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집단탈당이나 당내 특정 정파에 대한 지지는 결정하지는 않았다. 민주노총이 통합진보당 조합원들을 강제적으로 가입시킨 것도 아니고 개인 선택이었기 때문에 탈당 관련 결정 여부는 애초 논의할 사안이 아니었다. 이날 밝힌 바 있듯이 민주노총은 정치 관련 문제를 '새정치특위'에서 장기적으로 논의할 예정이어서 당분간은 정치 개입은 하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5월 기준으로 통합진보당 진성당원 7만5000여 명 가운데 민주노총 조합원은 3만5000여 명에 달해 민주노총은 통합진보당의 최대 지지기반이었다. 민주노총은 지난 4.11 총선 때 정당비례대표 투표에서 통합진보당에 대한 집중 투표 방침을 결정한 바 있다.

민주노총이 지난 5월 16일 오후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통합진보당 사태와 관련해 지지철회 여부 등을 결정하는 중앙집행위원를 진행하기 직전 강기갑 통합진보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이 김영훈 위원장을 만나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민주노총이 지난 5월 16일 오후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통합진보당 사태와 관련해 지지철회 여부 등을 결정하는 중앙집행위원를 진행하기 직전 강기갑 통합진보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이 김영훈 위원장을 만나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통합진보당이 총선 이후 중앙위원회 폭력사태와 비례대표 부정 의혹으로 내분에 이르자 민주노총은 지난 5월 17일 중집에서 '조건부 지지철회' 결정을 내렸다. '조건부'는 당 분란을 일으킨 이석기·김재연 의원의 제명을 염두에 둔 것이지만 지난달 26일 통합진보당은 의원총회에서 두 의원의 제명안을 부결시켰다. 이후 첫 중집에서 민주노총은 이같은 수순을 밟은 것이다.

이같은 민주노총의 결정은 통합진보당의 분열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통합진보당 혁신파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진보정치 혁신모임을 갖고 신당 창당 논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심상전 전 원내대표, 유시민 전 공동대표, 조준호 전 공동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9월 안으로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이날 중집 시작 전 모두 발언에서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은 "통합진보당 문제로 동지 여러분께 실망과 심려를 끼쳤다"며 "이 자리를 통해 통합진보당 지지를 호소했던 위원장으로서 무거운 책임감과 함께 깊은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오늘 통합진보당을 논의함에 있어 지난 2년 8개월 동안 민주노총 최고지도부로서 중집 성원들의 높은 책임감과 현명한 판단력을 일관되게 유지해 나갈 것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태그:#민주노총, #통합진보당, #지지철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