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시장 취임 이후 시민들이 느끼는 시정의 투명도는 향상되었으며, 예산을 절감하여 부채를 줄이려는 노력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약자들에게 혜택이 갈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와 헌신이 요구되고 있다. 시민들이 진주시에 바라는 것은 시민과의 원활한 소통이다."

새누리당 소속 이창희 진주시장이 받은 평가다. 8일 진주참여연대는 임기 절반을 지낸 이 시장에 대한 시정활동 중간평가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창희 진주시장.
 이창희 진주시장.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진주시가 추진해 논란을 빚었던 '원로회의'와 '선학산 전망대' 사업과 관련해 이 단체는 "진주시가 시민들과 소통없이 일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며 "앞으로 보다 많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 토론회·공청회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단체는 "진주시장과 공무원들은 시민의 공적 재산인 예산을 집행하는데 있어 보다 심사숙고해야 하며, 시한에 맞춰 졸속으로 집행하기보다는, 차라리 시한을 놓치더라도 의회를 비롯한 각계각층의 여론을 신중하게 수렴하여, 다시는 전임 시장 때처럼 사업 의결과 예산 집행에 무리수를 두지 않기"를 촉구했다.

'부실한 진주시의 정보공개 시정' 등 제시

이창희 진주시장이 지난 2010년 6월 지방선거 때 제시했던 공약(24건) 추진상황에 대해, 진주참여연대는 '완료' 1건, '시행중' 5건, '추진중' 9건, '변경' 6건, '보류' 3건으로 분류했다.

이 시장의 공약에 대해, 이 단체는 "진주 발전을 위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포함하는 공약이 없다"며 "'대기업 유치'와 같은 거대공약이 들어있기는 하지만, 어떤 대기업을 유치하겠다는 것인지 알 수 없으며, 또 대기업 유치로 인해서 진주시의 특성이 어떻게 바뀔 것인지에 대한 전망도 제시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이 단체는 "진주시의 고유한 발전을 위한 공약이 없고, 교육․문화·예술분야 공약이 없다"면서 "진주시는 관련 공약 수행을 위해 '진주중심 남해안 관광허브 구축 로드맵 수립' 용역을 했다고 하지만 이 용역 보고서는 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내용은 거의 없으며 토목개발 중심의 내용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대기업 유치'와 '아파트형 공장' 공약에 대해, 이 단체는 '비현실적'이라 지적했다. 진주참여연대는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대기업유치를 위해 힘을 쏟고 있고 진주의 지리적 여건이나 산업 인프라를 생각해보면 실현성이 그렇게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진주시정 전반에 대해, 이 단체는 "재정건전화와 채무상환은 긍정적이나 예산확보를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고, 진주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더욱 가시화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또 이 단체는 "진주발전을 위한 쳬계적이고 계획적인 사업이 진행되어야 하고, 진주시의 고유한 특성이 시정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며 "재정자립도가 낮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보지만, 재정 탓만 해서는 진주시를 교육, 문화예술의 도시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수의계약 철저한 관리와 제도개선', '부실한 진주시의 정보공개 시정' 등도 이 단체는 언급했다. 또 진주참여연대는 "30억원의 포괄사업비 예산은 주민참여조례에 의거 공모할 것"을 제안했다.


태그:#이창희 진주시장, #진주참여연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