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주통합당 손학규 상임고문이 14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대선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민주통합당 손학규 상임고문이 14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대선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안철수 원장은 소중한 사람이다. 그런데 '우리는 힘이 없다, 혼자로는 안 된다'고 할 때가 아니다. '우리 민주당이 나라를 책임지겠다'고 나설 때다."

손학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의 말이다. 그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단일화 문제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20일 CBS 라디오 <김미화의 여러분>에 출연한 손 고문은 "국민에게 확실한 비전과 신뢰를 주는 것이 제 1야당의 책무"라며 "우리가 해서 안 되면 그 때 '힘이 부족하니 합치겠다'고 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안 원장을 향한 조기 입당론 등 단일화 문제를 지금 얘기할 때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안철수라는 소중한 자원이 함께 갈 수 있도록 모든 것을 열어놓는 마음의 자세와 당의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손 고문은 문재인 상임고문에 대해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 생전이나 사후에도 의리를 지켜 대통령을 지킨 분이다, 여러 면에서 훌륭한 당의 소중한 자산"이라고 평했다. 김두관 경남지사에 대해서도 "이장에서 시작해 군수, 장관, 도지사를 하는 등 풀뿌리 민주주의를 하신 당의 소중한 자산"이라고 말했다.

"이석기 애국가 발언, 분노가 치밀어 오르더라...정치인이 그래서야"

그는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의 애국가 발언에 대해 "분노가 치밀어 오르더라"라며 "과격한 운동권 학생이 그런 얘기를 해도 야단칠 일인데, 한 나라의 국회의원이 되는 사람이 이래가지고 어떻게 정치인이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겠느냐"고 질타했다.

그러면서도 정부여당의 종북주의 공격에 대해서 "국가관을 검증해야 한다는 얘기도 답답하다, 나와 다르면 색깔론을 뒤집어 씌우는 것"이라며 "사회가 좀 서로에게 너그러워졌으면 좋겠다"며 색깔론 공격을 경계했다.

조갑제씨가 <종북백과사전>에서 자신을 종북으로 규정한 데 대해서 그는 "내게까지 색깔론을 얘기하면 정신 이상자"라고 일갈했다. 그는 "실제 그런 사람이 있다"라며 "한나라당에 있을 때,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지지하고 대북 협력 사업을 했더니 '평양가서 살아라'는 얘기도 들었다"고 전했다.

그는 '멘붕(심리적 공항상태)'에 빠졌을 때를 묻자 "총선에 졌을 때"라 답했다. "당이 이겼다고 생각하니 기고만장해졌고 교만해졌다, (공천을) 전리품 챙기듯이 챙겼다"고 맹렬히 비판했다.

"민생은 똥이다... 잘 벌면 잘 흐르도록 해야 한다"

손 고문은 "민생은 똥이다"라는 파격적인 말을 하기도 했다. "개인도 잘 먹고 잘 싸야 건강하듯 나라 경제도 잘 벌면 잘 흐르도록 해야 한다"며 "(지금은) 쌓인 것들이 제대로 풀리지 않았다, 나라에서 번 돈을 서민과 중산층에 흘러가게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분배'를 통해 민생이 원활하게 풀려가야 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지지율이 낮은 것과 관련해 그는 "아프고, 아쉽고, 안타깝다"라며 "대선이 가까워 오면 국민들은 '누가 우리 사회를 편하게 해주고 어떤 사람이 일자리를 만들까'에 대해 더 냉정하게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결국은 이미지 대 콘텐츠 싸움에서 콘텐츠가 이길 것"이라며 낙관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내건 슬로건인 '저녁이 있는 삶'에 대해 손 고문은 "모든 국가 정책의 최종 목표는 가족의 행복에 있다"라며 "노동시간을 줄이면 일자리를 나눌 수 있어 그 자체가 복지 사회의 길이 된다, 저녁에 집에서 밥을 먹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발전하면서 개인이 자기 삶에 보람을 가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태그:#손학규 , #민주통합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