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명박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씨와 대통령실이 공동으로 구입한 서울 서초구 내곡동 20-17번지 일대 저택의 입구. 청와대는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후 거주할 사저를 위해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씨와 대통령실이 공동으로 구입한 서울 서초구 내곡동 20-17번지 일대 저택의 입구. 청와대는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후 거주할 사저를 위해 매입했다고 밝혔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넓은 경호 부지 문제로 사저용 부지가 463㎡(140평)인데 반대 경호동 부지가 2143㎡(648평)이나 되기 때문이다. 사저 부지와의 비교를 떠나 경호동 부지 자체가 이렇게 넓어야 하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역대 전직 대통령의 퇴임 후 사저 경호동 부지 규모를 살펴보면,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울 상도동 경호시설 부지는 904㎡(274평), 김대중 전 대통령의 마포구 동교동 경호시설 부지는 228㎡(69평), 노무현 전 대통령은 1788㎡(541평)이다. 이는 전직 대통령 경호업무(김영삼 전 대통령은 경찰로 이관)를 담당하는 청와대 경호처가 밝힌 수치다.

언론을 통해 이 자료를 본 김경수 노무현재단 사무국장은 의아했다. 그가 아는 봉하마을 경호동 부지는 1157㎡(350평)뿐이었기 때문이다. 반면, 김영삼 전 대통령이나 김대중 전 대통령의 경우는 실제와 차이가 없었다.

이와 관련해 김 사무국장은 11일 <오마이뉴스>와 한 전화통화에서 "청와대 경호처에 문의한 결과, 봉하마을 경호원들의 (김해시) 진영읍내 숙소용 아파트 6채의 평수를 포함한 수치였다"고 전했다. 김 사무국장은 "이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부지의 규모가 크다는 비판을 희석시키기 위해 노무현 전 대통령의 봉하마을과 별 차이가 없다고 보이게 하려고 꼼수를 부린 게 아니냐"고 지적했다.

민주당도 11일 논평을 내고 "봉하 사저 경호 시설이 350평"인데도 "경호처가 541평이라고 언급한 이유가 무엇"인지 해명할 것을 요구했다. 이어 "해명이 없다면 내곡동에 매입한 경호시설의 규모 648평과 비교될 것이 두려워 봉하 사저 경호시설의 규모를 엿가락처럼 늘린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지난 11일 국회 운영위 국정감사에서 '내곡동 사저'의 경호시설 부지가 넓은 이유를 묻는 질문에 "648평 중 야산을 빼고 실제 경호시설 부지로 쓸 수 있는 평지는 350평 정도"라고 말했다.

하지만 내곡동 사저의 경우 경호요원들이 출퇴근할 수 있고 체력단련장이나 회의실 등을 자체시설이 아닌 청와대 경호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역시 과도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태그:#내곡동, #봉하마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