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박 전 대표는 1일 국회 본회의 참석에 앞서 본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자신의 대북정책에 대해 밝혔다.  미국의 외교안보전문지 < Foreign Affairs>9·10월호에 실린 자신의 기고문('A New Kind of Korea')에 대해 설명하는 형식이었다.

 

그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원칙을 지키려고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발전적 대북 정책을 위해서는 한 단계 업그레이드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한반도 평화정착과 번영이라는 목표는 같지만, 유연할 때 더 유연하고 단호할 때는 더 단호함으로써 안보와 교류, 남북관계와 국제공조 사이의 균형을 잡아간다는 접근 방식에서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한나라당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전술핵 재배치 문제에 대해 "최선의 대안은 아니다"라며 "'한반도 비핵화'는 미래세대를 위해서도 반드시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박 전 대표에 대한 비판 강도를 높이고 있는 정몽준 전 대표의 '전술핵 재배치'주장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외교안보분야는 모든 나라에서 '제왕학'의 핵심과목이지만 우리나라는 더 그렇다. 분단국이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가 자신의 대북정책을 밝힌 것에 대해 대선행보에 시동을 걸었다는 해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다.

 

이틀 연속 현안 발언

 

그런데 당장 더 주목되는 것은, 그가 전날 당에 '복지당론 정립'을 촉구한데 이어 이틀 연속으로 그것도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입을 열었다는 점이다.

 

박 전 대표는 그동안 현 정권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이명박 대통령과의 회동이나 외국 방문 등을 빼면 공식적인 기자간담회를 하지 않아왔고, 기자들과의 만남도 최소화했다. 그래서 보통 본회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기다리고 있는 기자들에게 짧게 몇 마디 하는 식으로 발언해왔다.

 

이같은 변화에 대해 한 '친박'(박근혜계)의원은 "박 전 대표가 움직이기 시작했다"며 "서울시장 보궐선거 지원의 문도 열어놓았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박 전 대표가 어제 '서울시장 보궐선거'지원의사를 묻는 질문에 명확히 NO라고 하지 않은 것도 이를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한나라당에서는 박 전 대표가 이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것에 대해, 주민투표 방관에 대한 책임론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친이계는 물론 친박진영내부에서도 지나쳤다는 목소리가 나왔고, 여론조사 상으로도 지지도가 5%포인트 이상 떨어져 20%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박 전 대표가 '무조건' 서울시장 보선 지원에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가 '요구'한 대로 복지에 대한 한나라당 당론이 우선 정리돼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 더 있다.한나라당이 서울시장 보선 이슈를 복지에 집중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또 다른 친박의원은 "전임시장이 무상급식문제로 사퇴함에 따라 치러지는 보궐선거의 이슈를 또 복지문제로 가져가는 것은 선거에 불리할 뿐 아니라 박 전 대표가 나서기도 부담스럽게 될 것"이라며 "복지 이슈 하나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태그:#박근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