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시인 정종연이 첫 동시집 <이발하는 나무>(바보새)를 펴냈다
▲ 시인 정종연 시인 정종연이 첫 동시집 <이발하는 나무>(바보새)를 펴냈다
ⓒ 이종찬

관련사진보기

해마다 봄을 기다려요
내가 이발하거든요

너저분한 머리, 뻣뻣한 수염도 깎고
일 년에 한 번
새 옷으로 갈아입거든요

나이만큼 자라난 내 몸의 일부들이
봄바람 부는 그 소식에



둑 싹둑
해마다 이맘때면
또 싹둑

두 손 번쩍 들고
파란 하늘 뻗어 나가고 싶지만
요렇게 깔끔하게 다듬어진 내 모습
누구나 좋아하거든요

-'이발하는 나무들' 모두

아이들 마음과 하나 되기 위해 스스로 '어른 같은 아이'라 여기는 시인이 있다. 그는 네 계절이 지나는 동안 하늘과 별, 바다와 강, 바람과 비, 꽃과 나무, 풀벌레 등은 어떻게 바뀌는가를 아이들 마음에 심는다. 그는 길가에 핀 꽃 한 송이에서도 "길가에 꽃송이는 피곤하대요 / 가만히 내버려두면 / 되는 걸"(꽃송이의 바람)이라며 아이들 마음에 상처를 주는 어른들을, 꽃을 만지고 꺾는 이 세상 사람들에게 빗댄다.

시인 정종연이 그다. 그는 이번 첫 동시집 <이발하는 나무들>을 펴내게 된 까닭을 동시를 쓴 초등학교 4학년 막내딸 윤지에게서 찾는다. 시인 막내딸 윤지는 '우리 가족'이란 동시에서 "우리 가족은 / 늘 아름다운 꽃을 피워요 // 즐거울 때는 웃음꽃 / 기쁠 때는 미소꽃 / 화날 때는 사랑꽃 피우는 // 아빠꽃 엄마꽃 언니오빠꽃"이라 쓴다.

정종연 시인은 막내딸이 쓴 이 동시를 보면서 아이들이 이 세상을 보는 눈, 시가 아이들 마음을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깨친다. 그는 동시야말로 아이들 마음을 살찌우고 건강하게 자라게 하는 밑거름이라 여긴다. 따라서 그가 쓰는 동시는 막내딸 윤지에게 보내는 애틋한 사랑이자 이 땅 곳곳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보내는 더 큰 사랑이다. 
 
시의 바다에서 신나게 헤엄쳐 보세요

이 동시집이 지닌 특징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지나는 동안 우주 삼라만상이 변하는 모습을 아이들 눈으로 담고 있다는 점이다
▲ 정종연 첫 동시집 <이발하는 나무들> 이 동시집이 지닌 특징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지나는 동안 우주 삼라만상이 변하는 모습을 아이들 눈으로 담고 있다는 점이다
ⓒ 이종찬

관련사진보기

"저도 여러 분과 같은 어린이입니다... 겉모습은 어른 같은데 가슴속에는 수많은 친구들이 왁자지껄 떠들썩합니다... 시의 바다에서 신나게 헤엄쳐 보세요. 아름다운 마음을 가꾸는 동시를 소리 내어 읽으면 기쁨이 넘치고 즐거움이 샘솟는 착한 마음이 쑥쑥 자란다고 합니다. 한 편 한 편 읽고 또 읽으면서 한 번에 읽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읽으세요." -'시인의 말' 몇 토막    

시인 정종연이 첫 동시집 <이발하는 나무>(바보새)를 펴냈다. 이 동시집이 지닌 특징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지나는 동안 우주 삼라만상이 변하는 모습을 아이들 눈으로 담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네 계절이 지닌 독특한 모습과 그 속내를 동시란 거울에 환하게 비추며 아이들 마음속에도 대자연이 지닌 네 계절이 그대로 웅크려 있음을 노래한다.

이 동시집에는 모두 4부에 51편에 이르는 동시들이 백지에 첫 그림을 그리는 아이들 마음으로 다가온다. '산이 오라 하네' '담쟁이덩굴' '산골 여름 하늘' '꽃송이의 바람' '놀부 동네 흥부 동네' '귤 따기 체험' '별님 사는 하늘' '삼남매의 하루' '대보름 달맞이' '호숫가에서' '비 갠 어느 여름날' '별난 더위 사냥' '고추잠자리' '눈 내린 아침' 등이 그 시편들.

할아버지 때부터
우리는
연인처럼 별을 사랑했다
별을 노래하고
별을 부러워하고
그리워 밤새우며 하나 둘 세면서
별을 우러러
별을 보면서
속삭이던 달콤한 사랑
-'별' 몇 토막

정종연 시인은 '별'을 바라본다. 그 '별'은 '지금의 나'가 아니라 시인이 어릴 때 바라보고 느꼈던 그 '별'이다. 그에게 있어 '별'은 어머니이자 누이이자 사랑하는 그 사람이자 꿈이다. 그가 어릴 때 노래하고, 부러워하고, 그리워 밤새 하나 둘 센 것은 '별'이기도 하지만 그 '별'은 이웃집 소꿉동무 순이 혹은 '지금의 나'일 수도 있다.      

서울하늘에 별이 없는 것이 아니라 '꿈이 없다

서울 하늘에는
왜 별이 없나요?
사람들이
다 따 버려서 없대요

왜 시골하늘에만
예쁜 별님이 살아요?
날마다 할머니가
닦아 놓아 그렇대요

-'별님 사는 마을' 모두

사실, 서울하늘에 별이 없는 것은 아니다. 서울 하늘에 별이 없는 까닭은 너무 많은 사람들이 성냥갑처럼 빼곡히 살면서 고된 세상살이에 부대끼다가 아름다운 '꿈'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시골하늘에만 / 예쁜 별님"이 사는 까닭은 도심으로 나간 자식을 행여나 행여나 기다리는 할머니, 그 반질반질한 꿈이 있기 때문이다.

정종연 시인이 펴낸 이번 첫 동시집에서는 유난히 '별'과 '하늘'이 많이 나온다. "밤하늘이 깔리면"(담쟁이덩굴)이라거나 "서산 마루에 만두 하나"(초승달), "누가 저 하늘의 창을"(파란 하늘), "은하가 꿈틀거리는 / 눈동자에"(은하수), "높은 산 오르는 / 눈동자들"(대보름 달맞이), "비 갠 뒤 하늘은"(비 갠 어느 여름날) 등이 그러하다.

왜 그럴까. 그 까닭은 별은 아이들 '반짝이는 꿈'이요, 하늘은 아이들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세상, 곧 미래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 세상에 있는 삼라만상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산이 오라 하네" "대나무숲" "괴천 곰돌이" "귤 따기 체험" "가을 산" "뜨개질" "텃밭" "호숫가에서" "고추잠자리" 등에서는 이 세상에 있는 물상이, 그 세상살이가 아이들 마음에 어떻게 담기는가를 잘 드러내고 있다.  

아이들 마음 곱게 어루만지는 아름다운 마음놀림

"비 갠 뒤 하늘은 / 아까 내린 장대비를 다시 담은 호수 / 검은 눈동자로 콕 찌르면 / 방울방울 쏟아질 듯 // 뭔 일일까 벌써 가을이 / 나는 초여름 창을 닫고 / 풀숲이 두꺼워진 벌판에 벌러덩 누워 / 콧노래 부르네" -'비 갠 어느 여름날' 모두

정종연 첫 동시집 <이발하는 나무들>은 길거리에 선 나무들이 말끔하게 이발을 하는 모습을 통해 게임과 비디오, 과외에 멍든 아이들 마음을 이발시킨다. 그는 아이들 눈으로 대자연을 느끼고, 아이들 마음으로 대자연을 받아들이고 노래한다. 그 노래는 아이들 마음을 곱게 어루만지는 부드러운 손놀림이자 아름다운 마음놀림이다.  

시인 임동확은 해설 ''고향의 말, 대지의 노래'에서 "정종연은 '글과 사람이 다르지 않는'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시인이 아니다"고 못 박는다. 그는 "그의 동시는 나 자신과 자연,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서 시인의 따뜻한 마음을 담아 그려진 것"이라며 "그는 자신 밖에 일어난 일들을 그저 무심히 지켜보는 데 만족하지 않고, 자신 밖에 일어난 일들과 자신의 마음의 변화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글로 표현되고 있다"고 평했다.

동화작가 고정욱은 "게임, 비디오, 컴퓨터, 학원, 과외... 어린이들을 병들게 하는 가슴 아픈 현실"이라며 "<이발하는 나무들>은 자연을 담아 동심을 치유하는, 작지만 강한 힘이 있다. 꽃과 나무, 새와 바람, 달과 하늘을 노래한 동시들이 따스한 햇살처럼 우리를 감싸주니까"라고 적었다.

시인 정종연은 1963년 전남 함평에서 태어나 2007년 계간 <만다라문학> 시인상과 2009년 <한국평화문학> 5집에 '홍매화', '매화꽃 피는', '보리밭' 등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지갑 속의 달> <이렇게 마주보고 있는데도>가 있다. 그린이 김민은 광주에서 태어나 어린이들을 위한 그림을 그리는 일을 하고 있다.


이발하는 나무들

정종연 지음, 김민 그림, 바보새(2011)


태그:#정종연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