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1일 류코쿠대학 국제문화학부에서 한글학회 김종택 교수 초청강연이 있었습니다. 그동안 국제문화학부에서는 한글학회 성기지 선생님, 우석대학 김경주 교수님, 부경대학 신은주 선생님, 익산 줄풍유 이정호 선생님 등 여러 인사를 초청하여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김종택 한글학회 회장님은 고대 한국어 연구자로 고대 한국어에 정통한 언어학자입니다. 김종택 회장님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기원이라는 제목으로 현재 전혀 다르게 보이는 한국어와 일본어가 한 뿌리에서 나왔다는 사실을 여러 단어의 사례를 들어서 설명했습니다.

 

한국말 <해>는 일본말로 <히>라고 합니다. 한국말로 <별>은 일본말로 <호시>라고 합니다. 한국말 <다리>는 일본말로 <하시>라고 합니다. 한국말로 <피>는 일본말로 <지>라고 합니다. 한국말로 <밭>은 일본말로 <하타>라고 합니다. 한국말로 <구름>은 일본말로 <구모>라고 합니다. 한국말로 <바구니>는 일본말로 <하코>라고 합니다. 한국말로 <뫼(산)>는 일본말로 <모리>나 <야마>라고 합니다. 한국말로 <섬>은 일본말로 <시마>라고 합니다. 한국말 경상도 사투리에서 여자를 뜻하는 말에 많이 보이는 할매, 어매, 아지매 등에서 보이는 <매>는 일본말 공주를 뜻하는 <히메>에서도 똑같이 보입니다.

 

한국말과 일본말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그것은 한반도와 일본이 교류하면서 영향을 주고 받기 이전부터 일본에 살던 선주민들이 있었을 것이고 그들의 말 역시 일본어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일본 건국 신화가 기록된 「일본서기」(712 년) 신대기(神代記)에 보이는 여러 지명 들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에 있는 지명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橿原>벌은 가시벌, 가조라는 말이고, <高天原>은 마치마, <曾尸茂梨>는 소시무리, 우두산, 우혜, <宮廷들>은 고만리(古万里)들, 안들, <宮趾>는 궁배미 등등입니다.

 

그동안 한국어와 일본어가 가장 가까운 친척관계라는 사실은 쉽게 문장 구조나 문법을 통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한글학회장님의 강연을 통해서 학생들은 한국어와 일본어가 비슷하다는 사실을 언어학적인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덧붙이는 글 | 박현국 기자는 류코쿠(Ryukoku, 龍谷) 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김종택, 한국어와 일본어의 기원, 발표요지.
김종택, 일본왕가의 본향은 거창이다. 거창박물관, 2005.11


태그:#류코쿠(RYUKOKU, 龍谷) 대학, #한글학회, #김종택 회장님, #김리박 지회장님, #한국말과 일본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제가 일본에서 생활한지 20년이 되어갑니다. 이제 서서히 일본인의 문화와 삶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한국과 일본의 문화 이해와 상호 교류를 위해 뭔가를 해보고 싶습니다. 한국의 발달되 인터넷망과 일본의 보존된 자연을 조화시켜 서로 보듬어 안을 수 있는 교류를 기대합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