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구시교육청이 대구시에도 16.1%의 학생들에게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히자 전교조를 비롯한 학부모단체들이 사실 왜곡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대구시교육청이 대구시에도 16.1%의 학생들에게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히자 전교조를 비롯한 학부모단체들이 사실 왜곡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대구시교육청(교육감 우동기)이 시민사회단체의 "대구만 무상급식을 하지 앟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지난 3일 보도자료를 내고 대구시도 평균 16.1%의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히자, 전교조를 비롯한 학부모단체 등이 나서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며 교육감의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구했다.

대구시교육청은 보도자료에서 "5월 말 현재 무상급식 비율이 서구가 27.1%로 가장 높고, 남구는 26.5%, 중구는 23.1%에 이르고 있으며 수성구가 가장 낮은 10%"라고 밝히고 오는 2014년까지 전체 학생의 40%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또 친환경 우수 식재료비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대구시에서 12억2,500만원, 교육청에서 1억 9800만원을 지원하고, 이번 추경예산에 조리종사원 109명의 인건비 16억원을 편성해 급식의 질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대구만 무상급식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는 일부 시민단체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일부 시민단체에서 의무급식을 실시한다고 주장하는 타 지역 모 자치단체의 경우 전체 학생에 대한 무상급식 비율이 10% 정도에 불과한데 우리는 16.1% 정도"라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초등학교 일부 학년에 전면 무상급식을 할 경우 그 혜택은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건이 양호한 일부 지역에만 돌아갈 것"이라며 "오히려 지역간 학력격차 해소 등 교육격차를 줄이는 정책을 우선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교조를 비롯한 49개 단체로 발족한 '친환경 의무급식 실현과 기숙사 건립 중단을 위한 대구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는 즉각 반발하는 성명을 내고 "대구시교육청의 무상급식 16.1%의 진실은 선별적이고 잔여적 급식"이라며 "사실관계를 심각히 왜곡함은 물론 시민들의 친환경 의무급식(무상급식) 요구를 교묘히 빠져나가고자 하는 술책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하고 "보편적 의무급식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운동본부는 또 "지난해 지방선거 이후 다른 지역은 의무급식을 확대하고 있는 반면 대구시만 유독 기존의 선별급식만 고집하면서 의무급식 확대를 위한 예산을 전혀 투입하지 않고 있다"며 "소수를 위한 특권교육의 상징이면서 학교교육의 파행이 예상되는 일반고 기숙사 건립 예산 276억원을 의무급식 예산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운동본부는 대구시교육청을 항의 방문해 사실을 왜곡하고 대구시민을 기만한 대구시교육청은 책임을 지고 교육감의 즉각적인 사과와 정정보도를 요구하고 기숙사 건립 대신 의무급식 예산 확보를 촉구했다.

운동본부 조정아 공동집행위원장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의무급식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대구시교육청이 시민을 상대로 하는 사기극을 벌이고 있다"며 "오는 10일까지 정정보도를 낼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평생체육건강과 홍종호 사무관은 "실무진에서 조금 경솔하게 자료를 낸 것이 맞다"며 무상급식의 개념에 대한 혼동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공보실과 협의해서 공식적인 해명을 하려 한다"고 말했다.


태그:#무상급식, #대구시교육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