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훈풍이 불어오면 남녘의 여행지를 기웃거리며 봄맞이를 한다. 완도, 여수로의 남해안 여행길에 곡성에서 섬진강 물줄기를 바라봤지만 하동 방향의 섬진강이 눈에 밟혔다. 봄은 남도의 젖줄 섬진강에서부터 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봄철이면 섬진강가에 매화, 산수유꽃, 벚꽃, 개나리꽃이 지천이다. 휴일을 맞아 꽃향기를 맡으며 섬진강 주변의 청매실농원, 화개장터, 운조루, 상위마을과 전주의 한옥마을을 둘러보기로 했다.

ⓒ 변종만

봄의 여신이 섬진강가에서 화사한 미소로 유혹한다. 해마다 3월 말경이면 섬진교 건너편 다압면 도사리 언덕의 청매실농원(http://www.maesil.co.kr)에 하얀 눈꽃잔치가 벌어진다. 청매실농원은 매화가 만개하면 강 언덕이 온통 흰 눈으로 뒤덮인 것처럼 10만여 그루의 매화나무가 장관을 이루는 우리나라 최대의 매화 군락지다.

이곳에 나무를 심던 80여 년 전 매화가 섬진강의 명물이 되리라고 누가 짐작이나 했을까. 섬진강변 도로에 들어서면 농원으로 가는 차들이 줄을 잇는다. 언덕을 오르면 농원 입구에 좌판을 깔고 장사를 하는 할머니들과 청매실농원을 대표하는 장독대가 사람들을 맞이한다. 매화 사이로 난 산책로를 느릿느릿 걸으며 봄을 만끽한다. 나무 계단을 따라 산 중턱의 전망대에 오르면 농원의 매화동산, 초가집, 대숲, 항아리와 섬진강 건너편의 지리산 자락이 한눈에 들어온다. 매화가 만발한 농원과 섬진강이 한데 어우러지는 풍경이 멋지다.

화개장터
 화개장터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지리산 맑은 물이 섬진강과 만나는 남도대교 앞에 한때 삼남지방의 유명한 오일장이었던 화개장터가 있다. 관광객이 몰리고 상설시장으로 바뀌며 옛 모습이 많이 퇴색했지만 이곳저곳에서 전라도와 경상도의 구수한 사투리가 들려와 훈훈한 정을 느끼게 한다.

지역 색이 강하던 시절에도 이곳에서는 경상도와 전라도를 가리지 않고 물건을 사고팔며 정을 나눴다. 장터에 들어서면 옛날 시골의 정취가 물씬 느껴지는데 이곳의 특산품인 도토리묵, 재첩국, 산나물, 녹차 등이 주를 이룬다. 전통방식대로 호미, 낫 등 전통 농기구와 주방용 칼을 즉석에서 만들어내는 대장간도 구경거리다.

장터를 나와 섬진강 물줄기를 따라 19번 국도를 달리면 동학혁명에서 근대사까지를 다룬 우리민족의 대서사시 대하소설 토지의 배경이 되는 평사리의 최참판댁과 1745년에 강바람과 모래바람의 피해를 막기 위해 조성한 소나무 숲 하동송림(천연기념물 제445호), 화개천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며 벚꽃터널을 달리면 천년고찰 쌍계사가 가까이에 있다.

구례의 운조루

( 1 / 17 )

ⓒ 변종만

19번 국도를 따라 섬진강을 거슬러 올라가면 곡성에서 내려온 물길이 S자로 굽이치는 섬진강가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구름 속의 새처럼 숨어사는 집'을 뜻하는 운조루(http://unjoru.com)가 있다. 운조루(중요민속자료 8호)는 낙안군수를 지낸 유이주가 1776년 건축한 99칸 집으로 남아있는 60여 칸이 조선후기의 건축 양식을 알게 하는 역사적 유물이다.

7년간의 대공사를 거쳐 완공된 이 집에는 눈여겨봐야 할 것이 많다. 큰사랑채에서 안채로 들어가는 문간에 오래된 쌀뒤주가 있다. 원통형 뒤주의 아랫부분 직사각형 마개에 양식이 없는 사람은 누구든 뒤주를 열고 쌀을 마음대로 퍼가라는 '타인능해(他人能解)'가 새겨져있다. 뒤주가 안채에서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것도 눈치 보지 않고 배고픔을 해결하라는 주인의 배려다.

집안의 행랑채에는 죽은 사람을 모셔 두는 가빈터가 있다. 조선시대 상류층에서 집안에 설치했던 가빈터는 사람이 운명하면 3일 지나 입관한 후 모셔 3개월 동안 안치했다가 출상하는 빈소(殯所)다. 협문으로 연결된 가옥, 높은 곳에 위치해 시원한 대청마루, 뒷마당에서 오르는 다락 등 집안을 돌아보는 내내 마음이 편안하다.

이곳에도 옥에 티가 있다. 도난당한 호랑이 머리뼈 대신 말 머리뼈를 내걸은 솟을대문 입구에서 할머니 한 분이 지키고 서있다. 물건 파는 사람으로 오인하게 하는 이 분이 입장료를 받는다. 입장료를 받아 관리해야 하지만 징수방법에 문제가 있다. 청주 상당산성이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어 옛 모습 그대로의 복원이 가능하게 만든 상당산성도가 이곳에 있지만 공개하지 않아 실물을 볼 수 없는 아쉬움도 컸다.

산동의 산수유꽃
 산동의 산수유꽃
ⓒ 변종만

관련사진보기


전남 구례의 산동. 옛날 중국 산동성의 처녀가 지리산으로 시집오며 가져온 산수유 때문에 생긴 지명이다. 철따라 꽃맞이 나가는 세상이 될 줄 누가 알았을까. 산수유 꽃 조형물이 언덕위에서 내려다보는 산동은 봄이면 노랗게 꽃망울을 터뜨린 산수유 꽃을 보기 위해 상춘객들이 몰려드는 우리나라 최고의 산수유 군락지다.

지리산온천관광단지에서 가까운 산동면 위안리 하위마을부터 산수유 꽃이 노란 세상을 만든다. 지리산 계곡의 울퉁불퉁 제멋대로 생긴 바위에서 정감이 느껴지는 상위마을에 이르면 산수유 꽃이 세상을 온통 노란색으로 칠해놓고 무릉도원을 만든다. 봄철에는 산수유 꽃 축제에 참여해 고로쇠 수액과 산나물을 채취하고, 가을철에는 산수유 열매따기와 산수유 차 만들기 체험도 할 수 있다.


최근에 개통한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구례에서 전주를 1시간 거리로 가깝게 만들었다. 전주문화관광(http://tour.jeonju.go.kr)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는 대로 전주한옥마을은 1930년 전후 일본인들의 세력 확장에 대한 반발로 완산구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한옥촌이다.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전통 한옥 700여 채가 당시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한옥마을을 들어서는 순간 감탄사가 저절로 나온다. 곡선의 기와와 처마 등 우리 것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 현장이라 외국인들이 즐겨 찾는 명소가 되었다. 판소리·등 전통 공연 관람, 전통 공예품이나 명품 감상, 막걸리나 청주의 제조과정 관람과 시음, 숙박하면서 한옥의 장점 체험 등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도 크다.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신 경기전(사적 339호), 황산에서 왜구를 토벌한 이성계가 연회를 열었던 오목대와 이목대, 1914년에 준공된 서양식 근대건축물 전동성당(사적 제288호), 대성전·명륜당 등 16동의 건물로 이뤄진 전주향교(사적 제379호), 옛 전주읍성의 남쪽문인 풍남문(보물 제308호)이 가까이에서 이웃하고 있다.


태그:#청매실농원, #화개장터, #구례 운조루, #상위마을, #전주한옥마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일상은 물론 전국의 문화재와 관광지에 관한 사진과 여행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