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옹기들로 장식되어 있는 모습이 정겹다. 다양한 크기의 옹기를 이용하여 아름답게 꾸며져 있었다. 이색적이었다.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위한 장식이라면 그런 의도는 분명 성공적이었다. 달리는 자동차를 멈춰지게 할 정도로 눈에 돋보였기 때문이다. 야트막한 언덕길에 조성되어 있는 집은 사람들의 마음을 끄는 힘을 가지고 있었다.

 

 

  전북 전주에서 진안군으로 들어가는 한적한 공간에 자리 잡고 있었다. 길어지고 있는 가을에 옹기로 조성된 집은 잘 어울리고 있었다. 가을의 멋을 한껏 높여주고 있었다.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설렌다. 아직도 내 마음에는 낭만에 대한 욕구가 넘쳐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무엇이라 정확하게 표현할 수는 없지만, 흥이 일어난다.

 

  옹기.

 

  서민들의 그릇이다. 보통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아주 중요한 살림 도구이다. 물건을 보관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도구이다. 그래서 서민들의 삶이 배어 있는 물건이기도 하다. 특정한 집에서만 사용하는 생활용품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필요한 살림살이이다. 사람들의 애환이 듬뿍 쌓여 있는 물건들이기도 하다.

 

  언제부터인가 옹기가 우리의 생활에서 멀어졌다. 플라스틱이 출현하면서부터 옹기의 사용이 뜸해진 것이다. 편리성에 밀려서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줄어들었다. 급기야 옹기들을 모아놓고 관리하던 장독대마저 사라졌다. 시나브로 멀어진 장독대와 함께 옹기는 우리들의 삶에서 멀어진 것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옹기도 멀어지고 있다.

 

 

  옹기가 서민들의 생활도구였다면 자기는 상류계층의 전유물이었다. 투박한 옹기에 비해서 자기는 그 느낌부터가 확연히 다르다. 고급스럽고 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때문이 단순 비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렇지만 서민에게 있어서 자기는 그림의 떡과 같다.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옹기였다.

 

  옹기는 숨 쉬는 항아리다. 그 과학적 원리가 확인되니, 옹기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김치 냉장고도 바로 이런 옹기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라고 하니, 옹기를 만든 조상들의 지혜에 감탄하게 된다. 우리의 역사와 함께 해온 옹기이기에 더욱 더 정감이 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옹기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고향을 떠올리게 된다.

 

  옹기와 고향.

 

  그리움의 대상이다. 살기가 힘들고 외로워질 때면 의지하고 싶어진다. 의지처가 되는 것이 바로 고향이다. 애틋한 마음이 아롱아롱 모아져 쌓인 것이 바로 그리움이다. 옹기를 보게 되니, 고향이 그리워진다. 어머니의 사랑이 절실해진다. 평생을 장독대의 옹기를 닦으면서 살다 가신 어머니의 손길이 그리워진다.

 

 

  내일 모레가 추석이다. 고향에 가도 어머니는 계시지 않는다. 그러나 어머니의 사랑이 배어 있고 숨결을 느낄 수 있다. 가는 길이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고향에 가야겠다. 자동차가 막혀 가는 길이 험하여도 상관없다. 아니 밀리는 도로가 더욱 더 정겹다. 조금도 힘들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옹기를 바라보면서 마음은 이미 고향으로 향하고 있었다.<春城>

 

덧붙이는 글 | 데일리언에도 보냈습니다.


태그:#옹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