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25일 충남 당진군청 기자실이 술렁였다. 일부 출입기자들간 고성이 오갔다.  

모 건설업체가 당진군 출입기자 간사를 통해 건넨 떡값이 자신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게 다툼의 이유였다.

당시 다툼을 지켜본 아무개 기자에 따르면 모 출입기자가 해당 건설업체에 확인한 결과 2007년 건네진 떡값은 출입 기자별로 차등 지급됐고, 이후 기자단 간사를 통해 건네진 돈은 일부 기자들끼리만 나눠가졌다는 것.

구체적으로 해당 건설사는 2007년 추석 무렵부터 지금까지 모두 세 차례에 걸쳐 촌지를 건넸다. 하지만 정확한 금액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2007년 추석 무렵 50만 원을 받았다는 일부 출입기자의 증언으로 볼 때 기자들이 1차로 나눠 가진 돈만 적어도 수 백만 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중 2, 3차 떡값의 경우 몇몇 기자들이 중간에 유용해 '배달사고'를 일으켰다는 주장이다.

이 같은 내용은 31일 <당진시대> <당진투데이> 등 당진지역 일부 주간 지역신문에 보도되면서 공론화됐다.   

이에 대해 해당 건설사는 돈을 건넨 사실을 시인했다. 하지만 인사치레로 명절 때 건넨 떡값으로 일부 언론에서 제기한 '로비성 거액'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오마이뉴스>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인사치레로 돈을 건넨 것은 2007년 추석 무렵과 지난 해 구정 전후와 지난 해 가을 무렵 등 모두 세 차례"라며 "모두 회사 회장과 제가 인사하러 가서 인사치레로 기자단 모임 간사를 통해 건넨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회장님이 언론사 출신이라 '생활이 어려운 기자들의 고충을 잘 이해한다'면서 개인적으로 건넨 것으로 전혀 부정한 돈이 아니다"며 "기자들끼리 말싸움하다 불거진 일로 우리 회사가 오르내려 매우 황당하다"고 말했다.

그는 "회장님이 개인적으로 전달해 정확한 금액은 모른다"며 "하지만 체면치레로 건넨 돈으로 일부 주간지역신문에 보도된 수 천만 원대는 아닌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떡값 수수논란이 일자 군청 일간지 출입기자들은 의미를 축소하고 있다.

당진군청에 출입하는 한 기자는 "몇 푼 안 되는 돈이지만 일부 기자가 명절 떡값으로 나온 돈을 착복해 괘씸한 생각이 들어 문제를 제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별일도 아닌 것을 일주 지역주간신문사가 부정한 '거액의 로비성' 돈을 받은 것처럼 부풀려 놓았다"며 "가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에 대해 대전충남민주언론시민연합은 주재기자들이 시대착오적인 행태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다며 사법처리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이 단체의 이기동 매체감시팀장은 "돈을 건넨 건설업체도 문제지만 돈을 받고도 아무런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지역 주재기자들의 태도가 더 큰 문제"라며 "주고받은 돈의 액수를  떠나 금품을 주고받는 관행이 지속되는 자체가 용인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지역 주재기자들의 고질적 악폐가 뿌리 뽑힐 수 있도록 수사기관에 철저한 진상조사와 함께 사법기관에 엄중한 처벌을 요구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돈을 건넨 해당 건설사는 현재 당진 지역에서 대규모 아파트 건설 사업 등을 벌이고 있다.


태그:#당진군청, #지열주재기자, #떡값수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