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중독이라고 말하고 싶진 않지만, 나는 누구 못지않게 글에 대한 애착 혹은 읽기에 대한 애착이 있어 보인다. 읽고 싶어도 읽지 못하는 어이없는 상황에 빠져 고통을 겪은 한 남자의 이야기를 듣자하니 새삼 사람보다 글자를 사랑하는(?) 내 자신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여하튼, 읽기에 대한 애착이 위험한 일인지를 괜스레 묻지 않을 수가 없다.

 

일일이 다 사서 볼 수 없기 때문에 더더욱 학교 도서관, 지역 도서관 등등 회원 신분을 유지하는 한 얼마든지 책을 꾸준히 볼 수 있는 곳을 찾아다닌다. 아무리 책상 위가 복잡해도 그것이 책 때문이라면 그리 신경 쓰지 않는 습관이 있는 것은 책에 대한 강한 애착 때문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글자에 대한 애착이라고 해도 좋다. 책다운 책이 없을 때는 글자가 있는 것은 무엇이든 집어 들고 읽으려는 때가 실제로 적지 않다.

 

심심하거나 정말 피곤해서 가만히 있고 싶을 때도 가볍게 읽을 책을 들고서 쉬곤 하는 나는 가끔 글자가 서로 섞이는 현상을 실제로 겪기도 한다. 단순히 머리나 눈이 피곤해서 그런 것이라 여기긴 하지만, 여기서 본 글자와 저기서 본 글자가 뒤섞이고 이 때 생각한 것과 저 때 생각한 것이 또 다시 섞일 때면 확실히 나는 나 자신이 사라지는 것 같다고 여기게 된다. '책, 못 읽는 남자'를 걱정하기 전에 은근 슬쩍 나도 아픈 사람은 아닌가 생각해보는 조금 실없는 행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책, 못 읽는 남자'가 눈에 띄지 않는 고통을 안고 풀어낸 얘기에 난 숨을 고른다. 

 

'실서증 없는 실독증'... 쓰긴 하는데 읽진 못한다?

 

자신인 쓴 글을 읽지 못하는 고통을 겪게 된 하워드 엥겔이 겪게 된 병은 이른바 '알렉시아 사이니 아그라피아'. 이 어렵고 난처한 세 글자 병명은 달리 말하면 '실서증 없는 실독증'. 이름부터 난처한 이 병명은 '쓸 수는 있으나 읽을 수는 없는 상태'를 말한다. 조금 더 설명하자면, 눈으로 빤히 보고 그래서 읽긴 읽어도 뜻을 제대로 연결 짓지 못하는 것.

 

글 사이사이 말과 말 사이를 교묘히 잇는데 익숙해야 하는 추리작가 하워드 엥겔이 겪게 된 '실서증 없는 실독증'은 그로 하여금 자신이 쓴 글을 읽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게 문제였다.

 

이 사람 만큼은 아니지만, 글자를 분명히 보고 있는데도 그 뜻이 무엇인지를 전혀 알지 못할 때는 나 역시 내 머리를 쥐어짠다. 주변을 돌아본다. 눈을 비비고 내 손을 쳐다본다. 입으로 소리 내어 읽어도 전혀 말뜻이 떠오르지 않을 때는 한두 글자조차 몇 번이고 다시 읽곤 한다. 처음 보는 말이 아니라 늘 보던 글자인데도 전혀 '알아보지 못하는' 현상 말이다.

 

하워드 엥겔은 '실서증 없는 실독증'을 앓는 자기 모습을 보았을 때 어떤 기분을 느꼈을까. 지금 온갖 글자를 긁적이고 있는 나 자신을 이해하지 못할까 은근히 걱정하면서 하워드 엥겔이 겪었을 두렵고 떨리는 마음을 무작정 헤아려본다.

 

"토론토의 뜨거운 한여름 아침이었다. 나는 집에 있었다. 아들 제이콥은 아직 자고 있었고 나는 느린 걸음으로 현관까지 조간신문을 집으러 갔다. 바로 그때 우연히 내게 문제가 생겼음을 알게 되었다. 2001년 7월 31일 자 <글로브 앤드 메일Globe and Mail>에 실린 사진들과 표제, 부제 같은 조판은 여느 때와 다를 바 없었다. 달라진 점은 단 하나, 내가 더 이상 신문의 글자를 읽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중략)

텍스트를 해독하려고 느릿느릿 애써보았지만 내 눈이 도달한 지점 너머에는 단어나 단어들이 없었다. 내가 볼 수 있는 건 백지뿐이었다. 그것은 인쇄물이 아니었다. 활자들이 마치 뜨거운 수증기를 덮어쓴 듯했다. 글자들은 내가 판독하려 할 때마다 모양을 바꿨다. 한순간 'a'로 보이던 글자가 'e'로 보이다가 그 다음에는 'w'로 보였다. 만취한 나머지 눈이 어릿한 채로 주말을 보내는 기분이었다. 평평한 체커 판이 마치 옵아트op-art로 그린 것처럼 올록볼록하게 보였다."(<책, 못 읽는 남자>, 65)

 

하워드 엥겔은 재활원에서 받은 '기억 공책'에 잠시 있다 사라지는 기억들을 추슬러 모으며 글자와 의미 사이에 다리를 놓아가려 노력했다. 베니 쿠퍼맨이라는 이름을 지닌 자신만의 탐정을 만들어 내기도 했던 하워드 엥겔은 "홀로 온 힘을 다해 나의 주인공 베니 쿠퍼맨을 곤경에 빠뜨렸다 구하면서 <기억 공책Memory Book>을 끝마"치기도 했다. 그는 쓰기와 읽기가 끊어진 상태를 잇기 위해 노력하듯, 곳곳이 끊어지고 엉망이 된 조각난 삶들을 잇기 위해 노력했다. 이 '책, 못 읽는 남자'는 삶을 읽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수없이 땀을 쏟았다.

 

<책, 못 읽는 남자>(알마 펴냄, 2009)는 '쓸 수만 있는' 하워드 엥겔이 쓰고 '읽을 수 있는' 다른 사람이 대신 읽어주어 퇴고를 돕는 과정을 수없이 거쳐 탄생했다. 자신이 쓰고도 뜻을 헤아리지 못하는 통에 긴 호흡으로 글을 쓸 수 없었다. 추리작가 하워드 엥겔은 자신이 겪는 병을 인식하고 인정한 뒤 그것을 이겨내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천천히 밟아갔다. 짤막한 기억 단편들을 그때그때 기록으로 남겨 전체 기억을 엮어가는 것처럼 책은 그렇게 만들어졌다.

 

"그러고 보면 제대로 글을 쓸 수 없으리라 생각하면서도 나는 매일 같이 글쓰기 연습을 한" '책, 못 읽는 남자' 하워드 엥겔. 그는 "혼란과 더불어 사는 법을 익혔"지만 "나의 글 읽기는 여전히 느리고 답답"하다고 고백했다. 사실, 보아도 보는 것이 아니고 읽어도 읽는 것이 아닌 상황에서 모든 것이 복잡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도 그는 그 모든 상황에 과감히 뛰어들어 한 발작 한 발작 내딛었다.

 

'책, 못 읽는 남자' 하워드 엥겔은 끊어진 삶을 잇고 또 읽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그렇게 그는 끊어질 듯 위태로운 삶에서도 긴 호흡을 유지하며 애써야 할 필요성을 제 몸으로 보여주었다. 화끈한 결말이나 시원한 해결로 끝맺지는 않지만, 책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그는 새삼 자신이 수없이 되돌아보고 기억하고 또 되돌아보고 기억하며 앞으로 내딛었던 짧은 순간들을 새삼 확인시켰다.

 

'에필로그'는 "이 글을 쓰는 지금은 2007년 겨울이다"로 시작한다. 별로 중요치 않은 말일 수 있지만, 조각난 삶을 연결짓기 위해 노력한 그를 생각하자니 결코 가볍게 넘길 말이 아니다. 그런 그를 보며, 나는 무책임하게 내버려둔 조각난 삶들을 모으려 노력해야겠다는 다짐을 해보기도 한다.

 

"전 뼛속까지 작가입니다"고 말했던 그는 마음 짠한 투병기로만 기록되었을지 모를 이 책을 '뜻이 많은' 작품으로 만들어내었다. 그렇게 그 책을 '뜻 있는' 책으로 인정하면서 나는 더불어 내 삶도 늘 '뜻이 있는' 삶이기를 조심스레 바란다.

덧붙이는 글 | <책, 못 읽는 남자> 하워드 엥겔 지음 / 배현 옮김 / 알마 펴냄 2009. 7. / 9,500원
(원서) The Man who forgot how to read by Howard Engel(2007)


책, 못 읽는 남자 - 실서증 없는 실독증

하워드 엥겔 지음, 배현 옮김, 알마(2009)


태그:#책, 못 읽는 남자, #하워드 엥겔, #알렉시아 사이니 아그라피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