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나라당의 '대주주'인 이재오 전 의원이 "박근혜 전 대표 입에서 '이젠 당에 들어와야 하지 않느냐'는 화합의 메시지가 없다면 당에 들어갈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입각설'에 대해선 "생각이 없다"고 말해, 내각보다는 '여의도'로의 복귀를 바랐다.

 

자신의 지역구인 서울 은평을의 재·보선이나 전당대회 등 정식 절차를 밟아 복귀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친박' 진영의 분위기를 볼 때, 박 전 대표가 이 전 의원의 복귀를 바란다는 의사를 밝힐 가능성은 낮다.

 

"박근혜 전 대표의 '복귀 희망' 메시지 있어야"

 

이 전 의원은 지난 18일 오전 <오마이뉴스>와 전화통화에서 "당에서 (친박의) 이의 없이 '당을 위해서 좀 들어왔으면 좋겠다'고 추대를 한다면 (복귀를) 생각해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들어갈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최근 여권에선 이 전 의원의 '복귀'가 새삼 화두로 떠오른 상태다. 박희태 대표가 '출마 전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다. 당 일각에선 박 대표의 사퇴로 비게 될 선출직 최고위원 1석에 그를 '합의 추대'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이제는 이재오가 당에 들어와서 같이 잘 해보자는 ('친박'의) 적극적인 분위기가 없다면 이번에 최고위원을 할 생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자신의 복귀가 갈등의 불씨가 되길 바라지 않는 뜻에서다.

 

그는 더 구체적으로는 '친박' 진영의 대표격인 박근혜 전 대표의 '화합 메시지'를 복귀의 '제1 전제조건'으로 내세웠다.

 

이 전 의원은 '박 전 대표에게서 '이젠 당에 들어와서 같이 잘 해보자'는 말이 있어야 복귀할 수 있다는 말이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박 전 대표의 입에서 '이 전 의원이 들어와야 하지 않느냐'는 말이 나와야 들어갈 수 있는 것 아니겠나. 화합이란 게 혼자 할 수 있는 것이냐"고 되물었다.

 

"박근혜 만나고 싶다 밝혔는데, '화답'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지난 총선의 공천 파동으로 자신에게 붙은 '분란의 불씨'란 오명을 떼어내고 싶은 속내다. 그러나 최근 냉랭한 친박 진영의 분위기를 볼 때, 박 전 대표의 입에서 '복귀 희망' 발언이 나오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게다가 벌써부터 친박 진영에선 "이 전 의원이 당에 들어오면 분란이 일어나기 때문에 차라리 입각을 하는 게 낫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허태열 최고위원)이라며 내심 경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전 의원은 "나는 이미 당 화합을 위해 최고위원직을 한 번 버렸던 사람"이라며 "억지로 (최고위원을) 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자신의 복귀로 혹시라도 계파 갈등이 도드라진다면, 복귀를 안하니만 못하단 판단으로 보인다.

 

한 측근은 "이 전 의원은 자리에 미련이 없는 사람"이라며 "자신의 복귀가 '타협의 산물'이라거나 '분란의 소지'로 비쳐지는 걸 원치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 전 의원은 해묵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박 전 대표와의 회동도 바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측근은 "이 전 의원이 '공개적으로 박 전 대표를 만날 용의가 있다는 뜻을 여러 차례 했다. 나는 지난날을 잊고 마음을 열었는데 박 전 대표가 '화답'을 해야 화합이 되는 것 아니냐'고 토로하더라"고 전했다.

 

이재오 "정정당당하게 당에 들어갈 것"

 

이 전 의원의 또 다른 뜻은 당당하게 당에 복귀하고 싶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최근 이 전 의원은 주위에 "굳이 무리해서 복귀하지 않아도 재선거 기회가 오면 내 지역구에 나가서 정정당당하게 주민들의 심판을 받고 (당에) 들어가면 되는 것이다. 사람이 때가 아니면 기다릴 줄도 알아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 전 의원 측은 '입각설'에 대해선 여전히 손을 내저었다. 한 참모는 "이 전 의원은 장관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본인이 아니라도 할 사람이 많다고 생각한다"며 "당에서 행정부도 감시하고 서민 고충도 대변하면서 정권의 신뢰를 높이는 게 본인의 역할로 본다"고 설명했다.


태그:#이재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