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로 비판하며 양국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게 된다.
▲ 마오쩌둥과 흐루시초프의 만남 서로 비판하며 양국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게 된다.
ⓒ 김대오

관련사진보기

"그리워하는 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는 피천득의 <인연>처럼 애틋하고 소중히 간직하고 싶은 인연이 있는가 하면 만날수록 엉키고 꼬여만 가는 악연 또한 세상에는 존재한다.

소련과 중국의 최고 지도자였던 니키타 흐루시초프(Nikita S. Khrushchyov)와 마오쩌둥(毛澤東)의 만남이 그런 경우다. 그들은 네 번 만나는데 마지막 세 번은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

1953년 3월 5일, 스탈린 사망 이후 권력을 잡은 흐루시초프는 1954년 9월 29일 신중국 성립 후 대규모 대표단을 이끌고 직접 중국을 방문했다. 10월 13일까지 이뤄진 마오쩌둥과의 첫 번째 만남은 그보다 더 좋을 수 없었다.

같은 사회주의 국가로서 대외관계에서 긴밀한 공조를 다짐하는 동시에 소련은 중국에 대한 경제, 군사, 과학기술 방면의 대대적인 원조를 약속하며 밀월관계를 더욱 굳건히 다졌다.

1957년 11월 2일,마오쩌둥이 중국대표단을 이끌고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이뤄진 두 번째 만남도 그리 나쁘지는 않았지만 수정주의자와 교조주의자의 길은 조금씩 멀어지고 있었다. 소련의 지원이 절실했던 마오쩌둥은 그 간극을 힘겹게 봉합하며 11월 14일 러시아혁명 40주년 기념식에 참가한 12개 사회주의국가 대표와 64개국 공산당원에게 이렇게 호소했다.

"흐루시초프 라는 연꽃은 비록 아름답지만 그래도 푸른 잎들이 그 꽃을 받들어주어야 하고 마오쩌둥이라는 연꽃은 아름답지 않기 때문에 더 더욱 푸른 잎들이 그 꽃을 감싸주어야 한다.(你赫鲁晓夫这朵荷花虽好, 也要绿叶扶持。我毛泽东这朵荷花不好,更要绿叶扶持)"

이 말은 소련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진영이 더욱 연대해야 하며 또 중국은 경험이 부족하고 경제적으로 낙후되어 있기 때문에 소련의 지원이 더 더욱 절실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즉 수정주의 노선을 걷는 소련이지만 여전히 소련을 사회주의의 '큰 형님(老大哥)'으로 모실 테니 도와달라는 것이었다.

경제적 실리 앞에 자존심을 굽힌 마오쩌둥이었지만 그의 인내력은 오래 가지 못했다. 세 번 째 만남인 1958년 7월 31일 중국을 방문한 흐르시초프가 1958년 8월 23일 진먼다오(金門島) 포격전으로 고조된 양안(兩岸) 긴장국면과 취약한 중국 해군력을 감안하여 중-소 연합함대 구상을 제의하자 마오쩌둥은 더 이상 참지 못하고 내정간섭이자 소련의 대국 이기주의라며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당시 스탈린 격화운동을 통해 사회주의적 교조주의에서 벗어나 서방과의 화해를 생각하고 있던 흐루시초프와 계급투쟁과 대약진운동을 통한 사회주의 건설의 가속화를 주장하던 마오쩌둥, 두 사람의 견해차는 너무 확연해져 있었던 것이다.

1959년 9월 15일 흐루시초프가 미국 백악관을 방문한 직후인 9월 30일 마오쩌둥과의 네 번째 마지막 만남은 그야말로 최악이었다. 두 개의 중국을 인정하는 듯 한 흐루시초프에 대해 마오쩌둥은 제대로 된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닌 '부르조아화된 수정주의자'라고 비난했고 10월 3일 소련으로 돌아가는 길에 흐루시초프는 마오쩌둥에 대해 '싸움닭(好鬪的公鷄)', '낡은 장화(舊套鞋)', '싸우지 않아도 사이가 나쁜 사이(不戰不和)' 라고 불쾌감을 나타냈다.

1950년대 중국과 소련 최고 지도자의 네 번의 만남, 그것은 밀월관계에서 갈라섬으로 갈라섬에서 분쟁으로 그리고 확실한 결별의 단계로 이어졌고 그 묘한 악연은 1960년의 소련 기술자 중국 철수와 1969년 3월의 무력분쟁으로 이어지며 양국관계를 최악의 상황으로 몰고 가게 되었다.


태그:#마오쩌둥, #흐루시초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중국 베이징에서 3년, 산둥성 린이(臨沂)에서 1년 살면서 보고 들은 것들을 학생들에게 들려줍니다. 거대한 중국바닷가를 향해 끊임없이 낚시대를 드리우며 심연의 중국어와 중국문화를 건져올리려 노력합니다. 저서로 <중국에는 왜 갔어>, <무늬가 있는 중국어>가 있고, 최근에는 책을 읽고 밑줄 긋는 일에 빠져 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