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솜양지꽃이 곤충을 유혹하는데 성공했군요.
 솜양지꽃이 곤충을 유혹하는데 성공했군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아름다운 꽃들이 만발하고 있습니다. 시기를 놓치면 그 꽃을 감상할 수 없어 때에 맞추는 일이 중요합니다. 하여, 어제 여수시 고락산을 올랐지요.

이곳에서 만난 꽃들은 청미래덩쿨, 각시붓꽃, 제비꽃, 솜양지꽃, 양지꽃, 벚꽃, 진달래, 개진달래, 철쭉, 동백 등 다양한 꽃을 만났지요. 다양한 꽃을 보며 다소 엉뚱한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꽃은 식물의 번식을 위한 생식기입니다. 사람들은 꽃을 보며 '아름답다'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움직이는 동물의 생식기를 보면 아름답다는 표현을 쓰지 않습니다. 아이러니입니다.

대개 청미래덩쿨은 열매만 보지요. 그러나 이렇게 꽃도 있답니다. 한창 피어나고 있습니다.
 대개 청미래덩쿨은 열매만 보지요. 그러나 이렇게 꽃도 있답니다. 한창 피어나고 있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철쭉의 생식기는 꽃의 화려함으로 유혹하지요.
 철쭉의 생식기는 꽃의 화려함으로 유혹하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바람아 불어다오' 바람을 기다리는 왕벚꽃.
 '바람아 불어다오' 바람을 기다리는 왕벚꽃.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식물의 생식기인 꽃이 아름다운 이유

왜 그럴까? 그것은 움직이는 것과 움직이지 않은 것의 차이가 아닐까 싶군요. 한 자리를 지켜야 하는 식물들은 움직이는 동물 등 다른 방법으로 자손번식을 하는 방법을 동원해야 합니다.

하여, '식물의 생식기인 꽃이 아름다운 이유', 혹은 '아름다울 수밖에 없는 이유는 꽃을 피워 열매를 맺어야 하고, 자손을 번식해야 하는 치열한 생존의 결과로 아름답게 진화할 수밖에 없는 것이겠지요.

벌, 나비 등 곤충도 꾀어야 하고, 바람의 힘을 빌려야 하고, 때론 사람의 손을 빌리기도 하는 것이지요. 또 스스로 번식하지 못하더라도 아름다우면 사람들이 또 심을 것이기 때문 아니겠어요?

각시붓꽃은 현란함으로 곤충을 꾀지요.
 각시붓꽃은 현란함으로 곤충을 꾀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진달래와 비슷한 개진달래는 꽃수술 옆의 점들로 곤충을 유혹하지요.
 진달래와 비슷한 개진달래는 꽃수술 옆의 점들로 곤충을 유혹하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제비꽃은 수술 옆의 흰색이 눈을 현혹하지요.
 제비꽃은 수술 옆의 흰색이 눈을 현혹하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진달래는 수수함으로 시선을 사로잡지요.
 진달래는 수수함으로 시선을 사로잡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양지꽃은 순수한 노랑색으로 곤충의 시선을 사로잡지요.
 양지꽃은 순수한 노랑색으로 곤충의 시선을 사로잡지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다음과 U포터에도 송고합니다.



태그:#식물의 생식기, #꽃, #곤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