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주당 비주류 모임인 민주연대 공동대표 이종걸 의원은 3일, 여야간의 미디어관련법 합의와 관련해, "당 지도부는 이번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고 거취를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며, 사실상 지도부 사퇴를 요구해 파장이 예상된다.

 

미디어관련법을 다루는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소속인 이종걸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 출연해 "(지도부가) 스스로 판단하기 전에 우리가 어떤 이야기를 하는 것은 참 복잡하고 참 어려운 일"이라면서 이같이 밝히고, "이번 여야 합의안은 한나라당의 입장을 백퍼센트 들어줬다는 점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종걸 의원은 "당 지도부가 의원직 사퇴 주장 등 당내 분위기를 협상과정에서 왜 협상의 힘으로 사용하지 않았는지 의문"이라며, "지도부는 김형오 국회의장의 행보를 예상하면서 순진한 태도를 보였다"고 정면 비판했다.

 

이종걸 의원은 사회적 논의기구를 통한 여론수렴과 관련해, "시간표는 이미 한나라당으로 넘어간 만큼, 향후 논의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그러나 협상 동력을 활용하는 등, 최대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이종걸 의원은 현 지도부의 당 운영방식을 과거 5공 시절 민한당과 비교함으로써 민주당 내 주류와 비주류 간 감정의 골이 더욱 깊어지는 양상이다.

 

이 의원은" 이게 예전의 민한당, 우리 역사상 잠시 있었던 정당이지만, 대표적으로 여당에 100% 협조하면서 이제 자기 생존을 해왔던 정당으로 보고 있는데, 이번에 (당 지도부가) 그런 (민한당) 방식을 택한 것 같은데 과연 무슨 뜻이 있었는가"라며 사실상 여당과의 물밑 거래 의혹을 제기했다.

 

한편 이날 이종걸 의원은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의 4월 재·보선 출마문제와 관련해, "어느 지역에서 출마하는가는 부차적인 문제"라며 "정치적 경륜이 있는 인사가 재·보선을 통해 국회로 빨리 돌아와야 한다"고 강조해 정동영 전 장관 재보궐 출마가 민주당 내 쟁점현안으로 재부각될 조짐이다.

 

이 의원은 "오늘날 이런 사태도 발생했지만 어떻게 보면 정치적 역할을 하는 정치인이 좀 우리 민주당에 부족한 거 아니겠나? 이럴 때일수록 오히려 새로운 인물도 물론 좋지만 이런 정치적 경륜과 그런 어려운 시기를 뛰면서 당을 극복했던 경험을 갖고 있는 정치인이 빨리 우리 당으로 들어와 왕성한 정치활동을 재개하는 것이 좋은 시기, 좋은 조건"이라며 정동영 전 장관의 당 지도부 복귀 필요성을  강조했다.


태그:#이종걸 , #정동영 , #민주당, #미디어법, #입법전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