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신 : 19일 오후 6시 3분]

 
천정배 질문 도중 퇴장... 전병헌-한선교 '설전'
 
민주당 천정배 의원 :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조중동 광고 불매운동 게시글을 삭제하고 MBC <PD수첩>에 사과 명령을 내린 근거가 뭐냐?
 
박명진 방통심의위원장 : 이 자리에서 회의에서 나온 얘기를 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한 것같다.
 
최근 들어 정부에 비판적인 네티즌들과 방송프로그램에 잇달아 불리한 결정을 내린 방통심의위원장의 답변 태도가 국회 문방위의 논란거리가 됐다.
 
천정배 의원은 "방통심의위의 결정들을 보면 권력의 입맛에 맞지 않는 표현 행위와 방송을 탄압하고 빅브라더로 가는 게 아닌지 걱정된다"며 방통위 결정의 근거를 물었지만 박명진 위원장은 "그 문제에 대해 헌법소원이 제기된 상태이고, 위원들이 한 얘기를 이 자리에 전하는 것도 부적절하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천 의원이 "굉장히 중요한 문제인데, 위원장의 답변을 들어야겠다"고 재차 촉구했지만, 문방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은 나경원 의원(한나라당 간사)이 박 위원장의 답변 없이 회의를 그대로 진행시켰다.
 

격분한 천 의원은 '불공정' 의사진행과 박 위원장의 답변 태도를 문제 삼으며 회의장을 퇴장했고, 민주당 간사 전병헌 의원과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이 설전을 벌였다.
 
KBS 사장의 '보복인사' 논란도 계속 이어졌다.
 
민주당 최문순 의원이 "KBS 중견 기자·PD들의 성명을 보니 '가위나 핀셋으로 환부를 잘라내듯 해당자를 찍어내는 정확성에 혀를 내두를 정도'라고 되어있더라"고 의견을 묻자 이병순 사장은 "본부장과 팀장에게 '자기 시스템에 맞게 하되 학연·지연 등 정실인사를 배제하라'는 인사원칙을 제시했다"는 답변을 되풀이했다.
 
최 의원이 "김종률 보도본부장이 '이념을 프로그램에 반영한 사람에게 책임을 물었다'는 얘기까지 했는데도 문제가 없다는 말이냐"고 다그쳤지만, 이 사장은 "아직까지 보도본부장으로부터 그런 내용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피해갔다.
 
이 사장은 "KBS <시사투나잇> 폐지가 확정적이냐"는 질문에도 "내용을 잘 알지 못한다. 특정 프로의 존폐를 얘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답했다.

 

 

[1신 : 19일 오후 3시]

 

이병순 사장 "KBS 급여일 맞추기 위해 '야밤' 인사"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는 19일 KBS 이병순 신임사장을 출석시킨 가운데 반정부 성향 직원들에 대한 '보복 인사' 문제를 집중추궁했다.

 

야당 의원들이 "KBS가 17일 인사 발령을 낸 95명중 47명이 이 사장에 반대한 사원들"(창조한국당 이용경)이라고 문제점을 지적한 반면, 여당 의원들은 "이제야말로 정권교체의 의미가 있다"(한나라당 정병국)며 신임 사장을 지원했다.

 

이 사장은 질의응답 과정에서 "현재 KBS 사옥 앞에서 대규모 출근저지 투쟁이나 업무방해를 하는 세력이 없다"며 "KBS가 안정된 상태"라고 밝혔다.

 

자유선진당 김창수 의원이 "KBS 사내게시판에 인사 내용을 올린 시간이 17일 밤9시45분이었는데, KBS 인사는 원래 밤중에 하냐"고 묻자 그는 "결재 시간은 저녁 7시40분이었는데, 회사 급여일이 매월 20일이기 때문에 급여일에 맞추기 위해 근무시간이 조금 지난 시간에 인사를 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KBS 사원행동 소속 직원들의 반발에 대해 "일부 불평을 표시하는 기자·PD들이 있다"고 하면서도 "이른바 사원행동은 법정단체가 아니고, 직원 인사에 사장이 일체 개입하지도 않았다"고 강조했다.

 

김창수 의원: 이번 인사에서 KBS의 신뢰도나 영향력 1위를 유지하는 데 효자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는 <시사기획 쌈>과 <미디어포커스> 팀장이 지방이나 비제작부서로 발령 났는데, 본부장이나 팀장이 인사안을 올린 후에야 그걸 알았나?

이병순 사장: 일부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 그러나 KBS가 새로운 체제로 출범하면서 본부장과 팀장에게 자율성을 위임한다는 생각에 (인사를) 철저히 위임했다.

 

그러나 이번 인사로 부산방송총국으로 발령조치된 김용진 전 탐사보도팀장이 사내게시판에 "탐사팀원들에 대한 인사는 권력의 사주를 받아 자행한 KBS 저널리즘에 대한 청부 살해 사건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경영진을 비난하는 등 사내 갈등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여야, 유재천 이사장 불출석 놓고 공방

 

야당 의원들의 따가운 비판과 달리 여당 의원들은 이 사장에게 격려의 말을 아끼지 않았다.

 

한나라당 정병국 의원은 "전혀 자격도 경영능력도 없는 사람이 코드인사로 사장하는 걸 보면서 무력감을 느꼈는데, 이제야말로 정권 교체의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라며 "국회가 사장 인사를 문제삼는 것이야말로 KBS의 독립성을 침해하고 편성권에 관여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정 의원은 이어 "5공 신군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조성된 현재의 공영방송 구조는 모호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며 "BBC를 반면교사 삼아 뼈를 깎는 심정으로 구조조정을 해내야 KBS 수신료도 현실화될 수 있다"고 주문했다.

 

한편, 여야는 회의 시작부터 유재천 KBS 이사장의 불출석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

 

민주당 등 야당은 최근의 KBS 사태에 유 이사장의 책임이 있는 만큼 반드시 출석시켜야 한다며 유 이사장의 출석을 촉구했지만 한나라당의 거부로 무산됐다.

 

민주당 전병헌 의원은 "유 이사장은 쿠데타가 아니고선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KBS사옥에 경찰력을 진입시키고 사장 교체 기습작전을 밀어붙인 인물"이라며 "KBS의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이지만 KBS의 공신력을 훼손시켰다는 지적이 있는 만큼 이사장이 회의에 출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나경원 의원은 "오늘은 업무보고와 결산심사를 받는 자리이니 KBS의 견제기구인 이사장을 부르는 것은 맞지 않다. 향후 국정감사에서 증인을 요청하도록 하자"고 맞섰고, 같은 당 안형환 의원도 "정연주 전 KBS 사장 선임 당시에도 이사장은 출석하지 않았다"며 "오늘 상임위는 정치적 공세를 하는 자리가 아니다"고 거들었다.

 

 

[관련기사]

☞ KBS 기자 "냄새 지독한 보도본부... 저도 인사 내주십시오"

☞ "이병순 사장, 대학살 시작했다"... 40여명에 보복성 기습인사

☞KBS 중견 PD 50여명 "부당인사 철회해야"


태그:#이병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