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저우룬파(朱潤發)와 같은 복장을 하고 전신사진 옆에 선 오태근씨.
 저우룬파(朱潤發)와 같은 복장을 하고 전신사진 옆에 선 오태근씨.
ⓒ 김동환

관련사진보기


8월 9일 토요일 오후 2시. 섭씨 33도를 넘는 뜨거운 날씨에 서울 서대문구의 드림시네마 앞에는 트렌치코트를 입고 선글라스를 낀 한 남자가 나타난다. 입에는 성냥개비, 오른손에는 장난감 권총을 들었다. '영화 촬영 중인가' 싶어 주위를 둘러보지만, 카메라는 눈에 띄지 않는다.

"<영웅본색>을 너무 좋아해서 이렇게 입고 왔다"는 오태근(37)씨. "영화관에서 <영웅본색>을 다시 본다니 첫사랑을 만나는 기분이 든다. 행복하다"고 말한다.

서울에 남은 유일한 단관 극장인 드림시네마(구 화양극장)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드림시네마는 <더티댄싱><고교얄개><벤허><미션>에 이어 올해 다섯 번째 작품인 <영웅본색>의 상영을 지난 8일부터 시작했다. <영웅본색>의 재상영과 함께 일주일 동안 영화 속 저우룬파(朱潤發)의 패션인 롱코트에 선글라스, 성냥을 물고 나타나는 관객을 무료입장시키는 이벤트를 시작한 것. 트렌치 코트를 입고 나타나는 관객들은 그 때문이다.

드림시네마의 상징인 손으로 그린 간판
 드림시네마의 상징인 손으로 그린 간판
ⓒ 김동환

관련사진보기


오씨처럼 <영웅본색>을 보기 위해 드림시네마를 찾은 관객은 오후 3시 상영인 1회에만 100여명. 6월 <미션>을 상영할 때는 하루 평균 100여명의 관객이 드림시네마를 찾았다. 이 중에는 김태양(29), 전호진(27)씨 부부처럼 지방에서 영화를 보기 위해 서울로 상경한 사람들도 있다.

"지금 광주에서 올라오는 길"이라는 김태양씨는 "어렸을 때 극장에서 보지 못하고 비디오로만 봐서 늘 아쉬웠는데 이번에 이렇게 영화관에서 상영하게 되었다고 해서 쉬는 날을 틈타 올라오게 되었다"고 말한다.

개봉작이 아니고 이미 한번쯤은 영화를 미리 본 사람들이 영화에 대한 애정으로 극장을 찾다 보니 상영 후 기립박수가 흔하게 나온다. 다른 멀티플렉스 극장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풍경이다.

올해만 드림시네마를 다섯 번째 찾는다는 김진욱씨(30)는 "단관이기 때문에 운이 나쁘면 영화를 보기 위해 1시간 이상 기다려야 하지만 그 시간이 별로 지루하지 않다"고 말한다. 실제로 로비에서 영화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손에는 책 한 권씩이 들려있다. 오늘 처음 드림시네마를 찾는다는 김한중(26)씨는 "우연히 얘기를 듣고 오게 되었다"며 "극장이 무척 아늑해서 좋다. <영웅본색>을 잘 모르지만 재미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다시 보고 싶은 옛날 영화' 보여주는 옛 극장의 풍모

드림시네마의 간판을 그리는 지하실. <고교얄개> 재개봉때 쓰였던 간판이 보인다.
 드림시네마의 간판을 그리는 지하실. <고교얄개> 재개봉때 쓰였던 간판이 보인다.
ⓒ 김동환

관련사진보기


원래 드림시네마는 재개발 구역 안에 있어 올 초 폐관될 예정이었다. 그래서 폐관 작품으로 잡았던 것이 영화 <더티댄싱>. 하는 김에 폐관 이벤트로 쓰기 위해 고물상에서 과거 <더티댄싱>이 상영될 때 쓰이던 극장표를 구해왔고 관람료도 3500원씩 받았다.

입소문을 듣고 매일 100여명에 가까운 관객들이 이어졌다. 그러던 중 애초 재개발 계획이 갑작스럽게 몇 년 후로 밀리는 바람에 올 1월까지만 상영할 예정이었던 <더티댄싱>을 4월까지 계속 상영하게 된 것. "그때부터 '다시 보고 싶은 옛날 영화'를 컨셉으로 상영작을 꾸리게 됐다"는 것이 드림시네마 김은주 대표의 설명이다.

"3∼40대 관객이 향수를 느끼는 1980∼90년대 영화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김 대표의 말처럼 극장 곳곳에는 그 시절 '옛날 극장'의 풍모를 재생해 놓았다.

우선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손으로 그려진 간판. 영화관 지하 창고에서 세 명의 화공이 달라붙어 그린다. 극장 입구에는 과거 '너무 야해서' 사용을 금지당했던 <더티댄싱>의 첫 간판이 작게 걸려있다. 극장 안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노래는 극장 로비에 있는 DJ부스에서 LP로 재생하는 것. 영화를 기다리는 관객들이 신청곡을 신청하면 즉석에서 LP판을 틀어주기도 한다고.

드림시네마의 DJ부스
 드림시네마의 DJ부스
ⓒ 김동환

관련사진보기


어머니와 함께 오랜만에 극장을 찾았다는 김지윤(27)씨는 "요즘 영화관 같지 않다고 어머니께서 좋아하신다"며 "다음 작품이 걸리면 또 함께 올 생각"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영화를 보고 나가는 관객 중 "다음 작품은 뭐냐"고 묻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 DJ부스를 담당하고 있는 김현주씨의 말이다. <영웅본색>과 관련한 전시품 가운데 적지 않은 물품이 드림시네마에 관심을 갖게 된 일반 관객들의 협찬(?)이라고 한다.

김 대표는 "3∼40대가 향유할만한 문화 공간이 없는 것이 아쉽다"며 "<영웅본색>에 이어 여름에는 <영웅본색> 2편과 <첩혈쌍웅> 등 홍콩 누아르를, 11월에는 틸 슈바이거 감독의 <노킹 온 헤븐스 도어>(knoking on heaven's door)를 재개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김동환 기자는 <오마이뉴스> 8기 대학생 인턴기자입니다.



태그:#드림시네마, #영웅본색, #단관극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