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60여일간을 이어져온 촛불집회가 5일 40여만명이 참가한 촛불대행진에서의 '국민승리선언'을 계기로 중대한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박원석 광우병국민대책회의 상황실장은 6일 기자들과 만나 "국민대책회의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를 다루기 위한 연대 기구였다"며 "향후 이명박 정부의 독선적인 정책추진, 반민주적인 의사결정에 대해 국민대책회의를 넘어서는 (연대의) 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원석 상황실장은 "지난 60일여간 국민승리를 확인했다"며 이같이 말하고 "앞으로 미국산 쇠고기 불매운동도 벌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문제에만 국한하지 않고 미국산 쇠고기 불매운동은 물론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각종 정책의 문제점에 대응할 범국민적 연대기구로의 확대를 모색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국민대책회의 넘어서는 범국민적 연대의 틀 필요"

 

박원석 실장은 '6·10' 이후 최대 인파가 몰린 전날(5일) 촛불집회와 관련 "60일째 촛불집회를 열면서 두 번이나 100만명이 모였다"고 상기시킨 뒤, "독선적 정책을 추진했을 때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어떤 정부도 국민을 뜻을 거스르면 안 되고, 독선적이고 일방적인 정책을 추진하면 안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향후 국정운영을 할 때 국민의 뜻을 반영해야 한다"며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대운하, 의료 민영화, 공기업 민영화 등에 대해 1차적인 제동이 걸렸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쇠고기 재협상을 실시해야 하는 당위성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이명박 정부는 머뭇거리지 말고 국민의 뜻을 받아들여야 하고, 이 문제를 조속해 마무리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실장은 촛불집회에 참여하며 장외투쟁을 벌이고 있는 야당에 대해서도 '조속히 국회가 열려야 한다'며 등원을 주문했다. 그는 "여야간 가축법 개정에 합의한 후, 국회를 조속히 개원해 가장 먼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서도 "국회가 물가 등 민생문제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촛불민심이 정치권으로 수렴돼야 한다는 뜻이냐"는 질문에는 "아니다, 범국민적 촛불대행진을 개최해 다시 한번 재협상을 촉구할 것"이라며 "향후 진로나 방향은 모두 열려 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의원은 국회로, 종교인은 교회·사찰로, 학생은 학교로..."

 

촛불집회를 이끌고 있는 국민대책회의가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고 있는 것에 대해 청와대측은 "촛불집회 중단"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민주당이 전당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가 선출되고, 마침 (국민)대책회의 내부에서도 건전한 논의가 일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상당히 바람직하고 다행"이라고 평가했다.

 

이 대변인은 이어 "이를 계기로 의원님들은 여의도 국회로, 종교인들은 교회와 사찰로, 학생들은 학교로, 주부는 가정으로, 어린이는 엄마 품으로, 그리고 방송은 국민의 품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나라가 전반적인 제자리 찾기에 나서면서 정부의 노력을 지켜봐달라고 호소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촛불시위 관련 수배·연행자들 문제에 대해서는 "법과 질서에 관한한 계속해서 원칙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해, 촛불집회에 대한 강경 기조를 유지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한 관계자는 "그동안 1000명에 가까운 (촛불시위) 검거자 중 실제로 구속영장 신청은 13명밖에 안되고, 단순 가담자, 경미한 사람은 이미 불구속 기소하거나 훈방했다"며 "새삼스럽게 무슨 원칙에 변화가 올 일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그러나 상황이 크게 바뀌면 상황에 맞는 유연한 조치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과 질서를 지켜나가겠다는 원칙은 지켜나가겠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촛불-청와대' 면담이 무산된 까닭은?

 

이 대변인은 또 전날 밤 종단 대표와 국민대책회의 관계자가 쇠고기 재협상 등 5개 요구사항을 청와대 쪽에 전달하려다가 무산된 것과 관련 "'시위를 중단하겠다'는 전제가 자기들 내부 의견 조율 과정에서 제대로 조율이 안돼 생긴 일"이라고 주장했다.

 

국민대책회의측에서 먼저 시위를 중단하겠다며 "그 전제로 5개의 요구사항을 전달하겠다"고 제안했고, 청와대 측에서는 거절할 이유가 없어 수용했는데, 나중에 대책회의측 내부에서 촛불시위 중단 여부를 두고 이견이 있었다는 것이 이동관 대변인의 설명이다.

 

이 대변인은 "(시위를 중단하지 않는다면) 굳이 우리가 모양을 갖춰서 받을 필요는 없는 것 아니냐는 결론을 냈고, 저 쪽에서 그러면 오지 않겠다고 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나 국민대책회의측은 "청와대가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다"며 반박했다. 장대현 홍보팀장은 "청와대가 진정성이 있다면 책임있는 당국자가 나와서 만나야 할 것 아니냐. 청와대는 그걸 거부했다"며 "청와대가 국민대책회의의 요구를 거절하고, 소통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장대현 팀장은 또 "청와대에서 우리에게 내분이 있다는 등의 얘기를 했는데, 그건 청와대에서 만나지 못한 것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언론플레이"라며 "또한 '우리가 촛불을 끝낼테니 면담하자'는 언론보도도 사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태그:#광우병대책회의, #촛불집회, #청와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법조팀 기자입니다. 제가 쓰는 한 문장 한 문장이 우리 사회를 행복하게 만드는 데에 필요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이나 페이스북 등으로 소통하고자 합니다.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사실 너머의 진실을 보겠습니다. <오마이뉴스> 선임기자(지방자치팀)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