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구의 한 사학재단이 각종 비리의혹을 받고 있는 것과 관련 대구지역 37개 시민사회단체가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여는 등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리복지시민연합,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24일 오전 10시30분 대구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구영남공고가 지난 수년 동안 각종 공사와 운영에 있어 인건비를 부풀리거나 부적절한 회계집행을 통해 정부의 지원금을 착복했다"고 비판하며 대구시 교육청의 철저한 감사를 촉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최순영 민주노동당 의원이 2007년 국정감사에서 확보한 회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학교는 국공립학교에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회계처리를 해왔으며 횡령을 비롯한 부정이 일상적으로 이뤄졌다는 의혹이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런 의혹이 있음에도 관리감독기관인 대구시교육청은 철저한 감사는 고사하고 사학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서슴지 않는 등 무사안일하고 방관자적 태도로 일관해왔다”고 시교육청을 비난했다.


은재식 우리복지시민연합 사무처장은 “도저히 학교에서는 있어선 안되고 범죄단체에서나 있을 법한 각종 비리의혹에 대해 대구시 감사를 지켜본 뒤 감사원 조사청구는 물론 검찰고발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시교육청이 국정감사에서 영남공고문제로 의원들의 질타를 받은 후 정기감사를 8개월이나 앞당겨 오는 1월 28일부터 실시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 “대구시교육청의 영남공고에 대한 감사 전 과정과 그 결과를 철저히 지켜볼 것”이라고 전제한 뒤 “부실감사 또는 봐주기식 감사로 귀결된다면 더 이상 시민사회가 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시민단체 등이 밝힌 영남공고의 각종 의혹은 충격적이다. 우선 교내에 설치한 분수대의 경우, 통상 지름 6~7m정도의 원형콘크리트 분수대가 3천여만원의 공사비로 충분한데도 7800만원이나 들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이마저도 공개입찰의 요건을 피하기 위해 공사를 4개로 분리해 각각의 업체와 수의계약 하는 이해하기 어려운 행태를 보였다는 것.


뿐만 아니라 학교시설 임대료 가운데 연간 2천만원 정도의 금액이 8년 이상 세입누락 되었는가 하면 업무용차량을 이사장의 개인승용차로 사용했다. 차량유지비 또한 고스란히 교비에서 지출했다. 법인직원 인건비 명의로 교육청의 지원금이 나가고 있으나 이 직원들의 실체가 분명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시설공사에 있어서도 길이가 6~7m에 불과한 도서관 복도의 환경개선사업을 한다며 850여만원을 들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도서관은 지난 2004년에도 8천여만원의 공사비를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920여만원을 들였다는 전등교체공사의 경우 전등 89개를 교체하면서 무려 43명의 내선전공이 일한 것으로 돼 있다. 이에 따르면 한 명의 전공이 고작 전등 3개를 교체한 것이 된다.


그런가하면 전자실습실과 학과실에 선풍기 110대를 설치하면서 내선전공을 무려 44명이나 쓴 것으로 회계처리 했다. 이와 관련 시민단체들은 명백히 인건비 명목의 횡령이 분명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학법개정의 절대적 이유로 꼽혔던 사학재단의 비리문제로 심한 홍역을 앓은 바 있는 교육계는 이번 영남공고 비리의혹에 대한 대구시교육청의 감사결과에 예의 주시하고 있다.


태그:#사학재단 비리의혹, #대구시교육청, #우리복지시민연합, #영남공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지역신문인 달신문에서 약 4년, 전국아파트신문에서 약 2년의 기자생활을 마쳤으며 2007면 10월부터 대구시 달서구 이곡동에 소재하는 외국인근로자쉼터에서 재직중에 있슴. 인도네시아 근로자를 비롯해 우즈베키스탄 외국인 근로자들의 인권보호와 사고수습 등의 업무를 하고 있슴.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