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부평안경의 역사, 부평안경 1호점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안경은 지난 1984년에 발견된 것으로 1590년에 조선통신사로 일본을 다녀온 김성일의 안경이라고 한다. 조선에 안경이 전래된 후 자체적으로 안경을 제작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조선안경이 바로 경주 ‘남석안경’이다.

남석안경은 경주 남산에서 캐낸 수정을 가공해서 만든 안경알로 다른 수정에 비해 경도가 강하고 모든 제작이 수작업이라 가격도 비싸고 귀했으며, 유리렌즈와 달리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주어 최고의 안경으로 꼽혔다.

하지만 광학유리의 발전과 한국전쟁 이후 서구식 안경의 대량보급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경주 남산 국립공원의 수정 채굴이 불가능해져 지금은 ‘남석안경’의 맥이 끊겼다.

경주 남석안경처럼 수정을 가공하던 시대는 끝났지만 유리를 일일이 깎고 다듬어 안경알을 손수 만들어서 부평뿐 아니라, 인천을 넘어 김포·강화지역 사람들에게 훤한 세상을 선물한 사람. 부평안경원(사장 김동근·45)의 창업자인 김국철(74) 선생이다. 1991년부터 김 선생의 아들인 김동근 사장이 대를 이어 부평안경원을 운영하고 있다.

부평안경원 김동근 대표. 어릴때 부터 안경만드는 아버지일을 거들었다고 하는 그는 자기가 안경사 될거라고는 생각도 안해 봤다고 한다.
 부평안경원 김동근 대표. 어릴때 부터 안경만드는 아버지일을 거들었다고 하는 그는 자기가 안경사 될거라고는 생각도 안해 봤다고 한다.
ⓒ 김갑봉

관련사진보기

이곳 안경점에서 태어난 김 사장은 “내가 63년생인데, 가게 문을 연 것은 태어나기 전이라고 듣기만 했다. 정확하게 기억나진 않는다”며 “다만 가게를 열기 전 아버지께서는 노점에서 안경 만드는 일을 시작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지금은 광학기술이 발달해 시력검사하고 그에 맞는 렌즈를 조제·가공하는데 즉, 안경 하나 만드는 데 15분이면 되지만 당시에는 일일이 유리를 깎아 만들었다고 한다”고 전했다. 

지금 대부분의 안경알은 플라스틱이다. 하지만 플라스틱 안경알이 렌즈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불과 10여년 전만 해도 유리렌즈였다. 또한 지금은 자동화기기를 통해 금방이면 안경이 만들어지지만 김국철 선생이 안경을 만들던 때는 시력검사 후 안경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꽤 걸려 안경점이 없던 강화나 김포에서는 안경을 맞추기 위해 새벽부터 길을 나섰다고 한다.

김동근 사장에 의하면 당시에는 하나의 안경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꽤 오래 걸려서 부평에 나온 김에 시장에 들러 술 한 잔씩 하기 마련이라 취하면 언제 올 줄 몰라 가게 문을 닫지도 못하고 아침까지 기다리기도 했다고 한다. 그렇게 기다리면서 손님을 맞았고 또 그렇게 하는 것이 세상 사는 덤이었다고 한다.

김 사장은 원래 대학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했다. 그런 그가 안경사 일을 배우게 된 데는 부친의 부탁이 있었다고 한다. 안경사제도가 도입된 것이 88년 서울올림픽이 개최되던 때라 당시 김국철 선생은 반세기 넘게 안경을 만들어 왔음에도 불구, 안경사 자격을 다시 따야 했기 때문에 김 사장이 안경사 공부를 해서 안경사가 돼 아버지와 함께 이 일을 하게 됐다고 한다.

사실 대를 이어 이 일을 할 계획은 없었다고 한다. 중학교를 마치고 집에 오면 늘 가게 앞은 안경을 맞추기 위해 줄을 선 사람들로 붐볐고, 김 사장도 가방을 내려놓기가 무섭게 드라이버를 들고 안경을 조립해주는 일을 맡았다고 한다. 김 사장은 “지금은 아침 9시 반에 문 열어 9시에 닫지만 그때는 아침 7시 반에 문을 열고 자정이 돼야 문을 닫았기 때문에 힘든 일이라는 생각에 대를 잇겠다는 생각은 정말 없었다”고 미소 지으며 당시를 전했다.

부평안경원. 정확한 시작년도는 김 선생이 노상에서 안경을 만들 때로 보면 족히 반세기가 넘는다. 부평안경원을 찾는 고객 중에 4대에 걸쳐 이곳만 고집하는 손님이 있는 걸 보면 짐작이 간다. 아이 둘을 키우고 있는 김 사장. “하고 싶은 아이가 있다면 나 또한 이 일을 내 자식에게 대를 잇게 해 부평 안경의 역사를 잇게 하고 싶다”고 말하는 그의 말 속에서 묵묵히 부평을 지키고 있는 숨결을 느낄 수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부평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안경, #부평, #부평안경원, #김동근, #부평신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