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국금속노동조합 울산지부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는 산재사고에 대한 대책 등을 촉구하며 거리홍보전을 벌이기도 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울산지부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는 산재사고에 대한 대책 등을 촉구하며 거리홍보전을 벌이기도 했다.
ⓒ 금속노조 현대중 사내하청지회

관련사진보기


현대중공업 산재사망사고 일지

- 이○○(해양공사1부) : 해양서관 앞 PE장, 2006년 12월 16일 추락, 1월 10일 사망.
- 천○○((주)세영) : 3도크 LPG선, 3월 28일 화재로 인한 질식사(추락).
- 주○○((주)안강) : 건설장비 2공장, 4월 16일 사망(협착).
- 김○○(건조2부) : 선대 동쪽 PE장, 5월 7일 추락, 5월 24일 사망.
- 김○○(조일건설) : 미포만 방파제 공사장, 7월 17일 사망(압착).
- 김○○(성우산업개발(주) : 엔진주조공장, 7월 28일 추락(사망).
- 전○○((주)해왕) : 건설장비 1공장 지붕, 8월 20일 추락(사망).
- 정○○(신우산업개발) : 용연공장 PE장, 9월 15일 전도사망.
- 장○○((주)화인) : 특수선 도장1부, 9월 20일 협착사망.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또 산재사망사고가 발생했다. 노동계는 조선산업의 호황 속에 노동자들의 죽음 행렬이 멈추지 않고 있다고 보고 있다.

20일 오후 5시경 하청업체 (주)화인 소속 장아무개(52)씨의 사망사고까지 올해만 10여건이다. 사망하지는 않았지만 이곳에서 올해 발생한 각종 산재사고는 수십건이다.

현대중공업노동조합 홈페이지 산업안전담당 게시판에 정리되어 있는 산재사고 일지를 보면 그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산재사고는 추락과 협착, 전도, 교통사고 등 다양하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지회장 조성욱)는 20일 발생한 장씨 사망사고와 관련한 보고서를 통해 “죽지 않고 다치지 않고 일하고 싶다, 더 이상 우리 하청노동자를 죽이지 마라”고 호소했다.

현대중노조는 이날 사고에 대해 “트렌스포터를 4안벽 동편에서 서편 방향으로 후진하던 중 트렌스포터 뒤편에 있던 장씨가 좌측 뒷바퀴에 협착된 것”이라고 밝혔다.

금속노조 지회는 “철판적재장에서 작업 도중 트렌스포터에 깔려 사망하는 중대재해가 발생했다”면서 “또 다시 하청 노동자가 억울한 죽임을 당했다. 트렌스포터는 앞뒤 4명의 신호수가 배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고 장씨가 잘못해서 사망한 것처럼 선동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 금속노조 현대중 사내하청지회

관련사진보기


닷새 전에도 산재사망사고 발생

현대중공업에서는 불과 닷새 전에도 산재사망사고가 났다. 지난 15일 현대중공업 용연공장에서 그라인더 작업을 하던 정아무개(35·신우산업)씨가 블록 밑에 쓰러져 있는 것을 동료가 발견해 병원으로 옮겼지만 숨졌다.

지난 3월 28일 발생한 하청노동자 천아무개(29)씨가 사망했는데, 금속노조 지회는 이날 상황에 대해 “화재가 발생한 3도크 1800호선 LPG선은 진수를 앞두고 있었다. 진수식을 앞둔 현장은 전쟁터였다. 표준안전작업은 서류상으로만 존재하고 현장에는 혼재작업이 강행되었다. 잔업 특근 철야를 해서라도 진수식 날짜를 맞춰야 했다”고 설명.

금속노조 지회는 산재은폐도 있다고 주장했다. 금속노조 지회는 “지난 7월 한 노동자는 일을 하다가 허리를 다쳤고 ‘요추염좌 추간판탈출증’ 등의 진단을 받았는데, 당연히 산재신청을 해야 함에도 공상처리되었다. 그 노동자는 무재해 포상을 받기 위해 ‘퇴사자’ 처리되어야 했다”고 밝혔다. 또 “무재해 100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직영 하청노동자들이 치료받을 권리를 박탈 당한 채 산재은폐에 신음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속노조 지회는 현대중공업 안에 들어와 작업하는 건설회사에서 발생하고, 현대중공업 소속이지만 다른 지역의 작업장에서 발생한 사고까지 포함해 10건에 이른다고 밝혔다. 금속노조 지회는 거의 대부분 협력․하청업체 소속 노동자가 희생된 것이라 보고 있다.

ⓒ 금속노조 현대중 사내하청지회

관련사진보기


중대재해 막을 방법은?

중대재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금속노조 지회는 “무재해운동 폭로와 현장통제․노동강도 강화 분쇄, 적정 여유인력 확보와 표준안전작업, 노동시간 단축과 위험작업에 대한 작업중지권 쟁취뿐만 아니라 ‘다치면 치료 받을 수 있는 권리’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현대중공업 사측과 노동조합, 부산노동청 울산지청도 산재사고 줄이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부산노동청은 지난 5월 한 차례 재해감독을 벌였으며, 회사에 대해 52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최길선 대표이사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기도 했다.

부산노동청 울산지청 관계자는 “노동부에서는 감독도 하고 과태료 부과와 대표이사 입건 등 나름대로 특단의 조치를 취하고 대책도 세우고 있다”면서 “워낙 수주가 많다보니 한계가 있고, 회사 안에서도 같이 대책을 세워 실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중 사측 관계자는 “사후보다는 사전에 안전사고 예방에 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생산보다 안전이 우선이 기본방침이다. 아침 작업 시작 전부터 안전교육을 철저히 하고 있다”면서 “작업자의 신체 리듬을 점검하고 숙취가 해소되지 않았을 경우 등 여러 사정이 있으면 월차로 유도하고 있다”고 설명.

'생산보다 안전이 우선'-'덤핑 수주 등이 원인'

그는 “회사 안의 하루 근무자가 총 2만4000여명이다. 100% 무사고가 되면 좋지만, 사업 구조상 사고는 늘 산재해 있고,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수주 물량과 노동강도는 다르다. 중대재해는 대체로 협력사 소속이 많다. 우리 직원들은 평균 18년 정도 근무했기에 사전 예지능력이 뛰어나지만 협력사는 안전의식이 약간 부족한 게 사실이다. 사내 교통적발 건수만 봐도 80%가 협력사 직원들이다”고 덧붙였다.

최금섭 금속노조 울산지부 사무국장은 “현대중공업의 산재사고는 철저하게 노동자의 안전보다는 이윤추구가 먼저라는 게 근본 원인이다. 안전시설이나 노동자의 생명권․건강권에 대해 회사가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있어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대중은 계속해서 수주를 엄청나게 했으며, 그것도 덤핑 수주를 많이 했다. 그래서 많은 하청업체들이 단가를 과격하게 낮추고 있다. 하청업체들은 단가를 맞추기 위해 숙련공을 쓰지 않고 근속이 짧은 노동자를 쓰고 무리한 작업을 한다. 영세한 하청업체들이 안전에는 신경을 쓰지 못하고 납품공기를 맞추기 위해 무리한 작업을 하다 보니 일어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태그:#현대중공업, #산재사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