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28일 오마이뉴스가 주최한 2007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오마이뉴스 국내·외 시민기자들이 러시아, 폴란드 등 세계 각지의 미디어환경과 시민미디어의 역할 등에 관한 발제를 듣고 있다.
ⓒ 오마이뉴스 남소연

'모든 시민은 기자'이지만 운영되는 스타일은 나라마다 달랐다. 아직도 검열이 살아있는 러시아에선 전문 기자들이 일반 매체에 쓸 수 없는 걸 인터넷에 올렸고, 우크라이나에선 시민기자 사이트를 단순히 시민기자로 활동뿐만 아니라 시민기자들의 네트워크로도 활용했다. 폴란드에선 시민기자 사이트가 창간 6개월 만에 인기순위 20위로 올라서는 획기적인 성장을 했고, 에스토니아에선 뉴스 옆에 의견을 달 수 있게 했다.

2007년 세계시민기자포럼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및 에스토니아의 시민 저널리즘'에 대한 발제와 토론이 <오마이뉴스> 인터내셔널 토드 태커 상임편집자 사회로 28일 오전 9시40분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첫 번째로 열린 포럼에서 4개국 시민기자 사이트 운영자들은 자신들의 경험과 고충을 털어놨다.

러시아의 <레알노 인포 Realno info> 공동창간자인 로스티슬라프 뷜레그자닌(Rostislav Vylegzhanin)은 "기자들이 소속 매체에 올리지 못한 기사들을 <레알노 인포>에 올린다"며 "우리 사이트 편집장 승인 없이 기사를 쓰지만 정보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정보를 공개하기 전에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로스티슬라프 뷜레그자닌은 검열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인터넷 검열은 불가능하다"며 "그런데 일부 시민기자들이나 기고자들이 어떤 사이트에 가서 코멘트 한 것 때문에 체포된 적이 있어서 우리가 이 분들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우크라이나 <하이웨이 HighWay>의 세르히 다닐렌코(Serhiy Danulrnko) 편집장은 "<하이웨이>는 단순 신문이라기보다 사회 네트워크로 전문기자와 시민기자를 연결한다"며 "시민기자들은 우리 사이트에서 정보도 얻고 친구도 얻는다. 뿐만 아니라 전문 기자로 진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세르히 다닐렌코는 또 "인쇄매체는 <하이웨이>를 통해 기자를 모집하기도 하고 프리랜서로 활동할 기회도 제공한다"며 "우리 사이트는 사람을 위한 웹사이트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라며 <하이웨이>가 지닌 가교 역할을 강조했다.

폴란드 <비아도모시치 Wiadomosci> 창간자인 파베우 노바츠키(Pawel Nowacki)는 "우리는 <오마이뉴스>에서 영감을 받아 창간했고 창간 6개월 만에 웹사이트 순위 20위가 됐다"며 "시민저널리즘 관련 웹으론 폴란드에서 우리가 최초이고, 시민기자가 16살에서 70살까지 있다"고 밝혔다.

에스토니아의 알바르 룸베르그 <미누트 Minut,ee> 공동 편집자는 "미누트는 에스토니아에서 유일한 커뮤니티 포털로 시민기자란 자유를 활용하기 위해 뉴스 옆에 의견을 단 기사를 싣는다"며 "에스토니아에서도 블로그가 인기라 어떡하면 블로그가 지닌 힘과 우리가 통합할지 생각해볼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알바르 룸베르그는 또 "굉장히 중립적인 관계를 주류 언론과 유지하는데 가끔 주류 언론이 우리 이름은 빼고 우리 아이디어를 가져다 쓴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이날 발제와 토론 내용을 요약했다.

러시아, 로스티슬라프 뷜레그자닌 <레알노 인포> 공동 창간자

러시아에도 공용 미디어가 있다. 헌법에 따라 미디어 규정이 있다. 러시아 신문은 국영 당국이 통제한다. 독립 운영 매체는 얼마 안 된다. 지역 신문 중에 민간이 운영하는 신문이 있지만 아주 적다. 하지만 언론 자유가 서서히 퍼지고 있다.

오늘날 언론 자유가 없지 않느냐고 하지만 아니다. 러시아도 민주적으로 운영된다. 다만 언론이 시민을 위해 자유롭게 기사를 송부해야 하는데 이런 자유가 없다는 게 차이다. 정치적인 것도 그렇다.

러시아는 인터넷 보급률이 높지 않다. TV처럼 인터넷 영향력이 크지도 않다. 책이나 다른 것을 토론을 위해 많이 사용한다. 매스 미디어를 통해 보급되지 못하는 뉴스는 책으로 출간해 보급한다. 정치 지도자들과 시민들도 제가 창간한 <레알노 인포>를 통해 (자기 주장을) 한다. 러시아에서는 시민 저널리즘을 위한 사이트가 출간한 지 얼마 안 된다.

나는 작년 여름 모스크바에서 대학을 졸업했다. 졸업 논문도 이런 거였다. <오마이뉴스>에서 영감 많이 받았다. 그래서 처음 러시아에서 시민 저널리즘을 창간하겠다고 생각했다. 동일한 아이디어로 NGO들이 클럽 저널리즘이란 걸 창간했다.

<레알노 인포>를 만드는 데는 3개월 정도 걸렸다. 스폰서 찾고, 준비하고, 2개월은 직접 프로그램 작성했다. 작년 12월에 처음 <레알노 인포> 창간했다. '현실'이란 뜻이다.

<레알노 인포>의 기본 목적은 사람들에게 정보를 유포하는 것이다. 새로운 소식을 공포한다. 매스미디어를 통해 보고하거나 기사를 작성할 수 없는 기자들이 <레알노 인포>에 쓴다.

편집장 승인 없이 자유롭게 기사 쓸 수 있다는 게 원칙이다. 다만 이용자들은 윤리 강령을 준수해야 한다. 표준이 되는 러시아 언어로 작성해야 한다. 분야별로 구분돼 있는데, 리얼 블로그는 오른쪽에 이름 나와 있는데, 왼쪽엔 전문가들이 작성한 전문적인 논평을 보여준다.

<레알노 인포>에서 정보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정한 기준이 있다. 첫째가 윤리 강령이다. 정보 공개하기 전에 사용자들이 정보의 진위를 확인한다. 두 번째는 블로거의 등록 과정을 검토한다. 우리 사이트 규칙으로 공표한 게 있다. 무엇보다 블로거가 제공하는 뉴스는 이용자나 편집자가 재확인할 수 있다고 규칙을 만들었다. 그래서 양질의 정보와 소스를 제공하는데 노력을 많이 기울인다. 모든 요건을 충족하고 정보의 출처가 확실하다 싶으면 법규 준수했단 조건으로 게재한다.

<레알노 인포>엔 전문가들 코너가 따로 있다. 각 분야별로 전문가가 있다. 1면 왼쪽 코너에 항상 올라간다. 전문 지식을 갖고 쓴 사설도 있고 논평하는 코너도 있다. 이용자들은 전문가들에게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게 편집자다. <레알노 인포>엔 편집장이 3명 있다.

우린 아직 1년도 안됐다. <레알노 인포>엔 전국 각지에서 시민기자들이 활동한다. 월급 따로 지급하지 않지만 자원봉사로 기사 작성한다. 매일 15개 정도 기사를 게재한다. 매일 우리 사이트를 방문해서 기사를 읽는 독자가 천 명 정도 된다. 저널리즘 학과에서도 우리 사이트를 활용한다.

마지막으로 시민저널리즘 미래와 <레알노 인포>의 미래에 대해 말하겠다. 우린 많은 투자 없이 더 발전하려 한다. 투자자들이 3월 이후 투자 자금 대주지 않아서다. (웃음) 가능한 노력 기울인다. 더 성공시키려는 프로젝트가 성공할진 모르지만 노력한다. 러시아 시민저널리즘에 대해서는 낙관적이다. 앞으로 여정은 길다. 시민 저널리즘은 막 시작했다.

▲ 28일 오마이뉴스가 주최한 2007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오마이뉴스 국내·외 시민기자들이 러시아, 폴란드 등 세계 각지의 미디어환경과 시민미디어의 역할 등에 관한 발제를 듣고 있다.
ⓒ 오마이뉴스 남소연
▲ 28일 오마이뉴스가 주최한 2007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오마이뉴스 국내·외 시민기자들이 러시아, 폴란드 등 세계 각지의 미디어환경과 시민미디어의 역할 등에 관한 발제를 듣고 있다.
ⓒ 오마이뉴스 남소연
우크라이나, 세르히 다닐렌코 <하이웨이> 편집장

우크라이나는 동유럽, 유럽연합과 국경을 공유한다. 러시아와도 국경을 맞대고 있다. 우리 목표는 유럽연합(EU)에 가입하는 거다. 인구가 4600만 명이다. 인터넷 사용자는 500만 명밖에 안된다. 38퍼센트가 브로드밴드로 인터넷에 접속한다.

앞으로 갈 길이 멀다. 성장 잠재력은 크지만 아직 시장이 형성되진 않았다. 출발 기업이나 외국인 기업이 우크라이나 시장에 참여할 기회가 많다.

예전에 친구와 같이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신문을 발간했다. 여기서 한 단계 나아가 전국에서 발간하는 신문을 만들고자 했다. 우크라이나 사람이라면 누구나 관심 둘 것을 만들길 원했다. 그래서 <하이웨이> 웹사이트를 구축했다.

당시 책을 하나 샀는데, 책을 근거로 해서 그 사이트 코드를 개발했다. 이제는 전문 프로그래머가 있지만, 당시엔 컴퓨터 아는 사람 없어서 스크립트 개발하고 이게 어찌 돌아가는지 아는 사람 드물었다. 처음부터 비즈니스 프로젝트로 출발했다. 수익 내자. 아니면 다른 사람한테 이걸 팔아 투자 확보하자가 목표였다.

등록사용자 4천7백 명이 하루에 80개 기사를 올린다. 2만5천 명이 방문한다. 최대 25개 사이트로도 선정됐다.

등록 사용자라면 누구든 기사 작성할 수 있다. 모든 컨텐츠는 라이브라는 웹사이트에 뜬다. 회원은 읽은 기사에 표시한다. 앞으로 어떤 게 톱이 될지 결정한다. 표지에 게재되면 건당 15달러 지급한다.

<하이웨이>는 단순 신문이라기보다 사회적 네트워크다. 전문기자와 시민기자를 연결한다. 30%가 전문기자다. 우리 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찾고 신문에서 할 수 없는 걸 우리 사이트에서 한다. 시민기자들은 좋은 기사를 어떻게 쓸지 배우고 좋은 친구를 찾는다. 시민기자였다가 전문 기자, 편집자로 진출할 수 있다.

인쇄매체는 <하이웨이>를 통해 기자를 모집하기도 하고 프리랜서로 활동할 기회도 제공한다. 우리 사이트는 사람을 위한 웹사이트다.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다. 자신이 읽은 기사를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작은 돈이나마 보상해, 자신이 노력한 대가를 인정받는다는 것도 매우 좋다.

우리는 온라인 광고로 수익을 얻는다. 구인 서비스도 제공한다. 언론사들에게 기자를 찾을 수 있는 구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람들은 하이웨이에 돈보다 다양한 보상을 얻으려고 들어온다. 친구가 인터넷은 사람들이 더 인간적이 되게 해준다고 말했는데 내 생각도 그렇다. 인터넷을 통해 인간이 모두 지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생각한다.

폴란드, 파베우 노바츠키 <비아도모시치> 창간자

<비아도모시치>는 '24시간 신문'이란 뜻이다. 기사를 포함해 다양한 읽을거리로 구성된다.

시민저널리즘 뉴스24를 만들었는데 모회사가 있다. 폴라카 프레스다. 폴라카 프레스는 네덜란드에 있는 밸라웁스 그룹의 국제 지사다. 2600명이 모여 일한다. 그 중 760명이 기자다. 지역 일간지도 만든다. 그 중 우린 일부인 '뉴스24'를 창간했다.

어디에서 영감을 받았냐하면 <오마이뉴스>와 <아고라 아이턱 뉴스>에서다. 이들이 너무 성공해서 <비아도모치24>도 성공하고 싶어 창간했다. 폴란드 여론조사에서 가장 선호하는 웹사이트를 고르라고 했더니, 2, 3, 5, 8위가 모두 정보와 뉴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였다.

우리는 창간 6개월 만에 20위가 됐다. 시민저널리즘 관련 웹으론 우리가 최초다. 18위로 최근 또 올라갔다.

폴란드 국민이 3,800만 명이다. 34퍼센트가 인터넷 쓴다. 3년 뒤 1,900만 명이 인터넷 사용할 거라 본다. 현재 onet.pl이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인데 가장 큰 폴란드 신문사가 <가젯닷피엘>을 몇 년 전 창간했다.

<비아도모시치>는 6천 명 유저 가운데 1천 명이 최소 한 개 정도 기사를 쓴다. 대부분 기자다. 16세에서 70살까지 있는데 18세에서 30세는 대개 기자가 되기 위한 사이트로 활용한다.

우리 사이트는 기자들이 경력을 적게 돼있다. 우리에게 은행계좌도 알려준다. 기사 원고료를 보내기 위해서다. 기사가 쓸만하면 원고료를 주고, 다른 사이트에 판매도 한다. 판매금의 50%를 지급한다.

편집자는 소견을 작성해준다. 편집시스템은 편집자가 텍스트를 수정한다. 불필요하면 삭제도 하고 편집자가 필자들만 볼 수 있게 만든다. 여러 방법을 통해 기자들과 연락한다. 기사에 시민기자들은 반드시 (자기) 사진 넣어야 한다. 기자별로 구분 방법이 있다. 팬 하나면 초보자, 팬 두 개면 리포터, 이런 식으로 팬 다섯 개까지 넣어 구분한다.

편집자가 매일 7시부터 밤12시까지 일한다. 편집자는 모든 걸 총괄한다. 기자들에게 상도 준다. 매주 최고 기사엔 상을 준다. 책도 주고 CD도 주고 다른 데 글을 팔아서 판매금의 50%를 지급한다.

가장 큰 문제는 저작권이 무시되는 거다. 다른 사이트에서 우리 기사를 베낀다.

2006년에 시민기자 대회를 했다. 폴란드 인터넷 블로거, 최고 시민기자상을 시상했다. 2007년 7월에 처음으로 경쟁한다. 우리도 폴란드 인터넷 사이트 최고 정보사이트 상을 받았고, 상도 여러 개 받았다. 창간 6개월 만에 이런 상 받았다.

우리 미래? 모든 시민은 기자다.

▲ 28일 오마이뉴스가 주최한 2007 세계시민기자포럼에서 오마이뉴스 국내·외 시민기자들이 러시아, 폴란드 등 세계 각지의 미디어환경과 시민미디어의 역할 등에 관한 발제를 듣고 있다.
ⓒ 오마이뉴스 남소연
에스토니아, 알바르 룸베르그 <미누트> 공동편집자

우린 <오마이뉴스>나 대규모 사이트와 다르다. 규모 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에스토니아를 잠깐 소개하자면 에스토니아는 고유 언어가 있고, 인구는 130만 명으로 6년 전 독립국가 됐다. 우리는 6년 전 사이트를 시작해 4년 전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처음에는 대중 언론을 통해 제공되지 못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출발했다가 여러 측면으로 활동을 넓혀갔다. 언론답지 못하다고도 할 수도 있지만, 뉴스 옆에 강력한 의견을 단 기사를 싣는다. 우린 전문기자가 아니라서 시민기자란 자유로움을 활용하기 위해서다.

우린 에스토니아에서 유일한 커뮤니티 포털이다. 주요 테크니컬 아이디어는 슬래시닷에서 빌려왔다. 이젠 계속 빌리기보다 독자적 아이디어를 확보하고 반영하려고 노력한다.

3명이 창업했다. 현재 100명의 열성적인 기고자가 활동한다. 이들은 5번 이상 기고한 사람이다.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시민기자 가운데 100개 이상 기고한 이도 있다. 등록한 사용자가 8천명이다. 우린 일주일에 70에서 100개 정도 뉴스를 게재한다. 우리의 목표는 세계를 바라보는 대안적 시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토론할 기회 있다. 우리 사이트에서 논평은 중요하다. 기사보다 더 파급 효과를 불러오는 경우가 많았다.

개인 자산으로 운영한다. 예산도 많지 않다. 취미 차원으로 운영한다할 수 있는데, 적극적 기고자들한테 약간 보상하지만 비공식 차원에서 이뤄진다. 유럽연합으로부터 자금을 받았으면 좋겠지만….

우린 시민저널리즘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한다. 민주주의란 가치를 같이 전파하는 거다. 그런데 기고자에게 적극적으로 활동할 동기를 부여하는 게 필요하다. 기고자 없으면 뉴스도 없다.

에스토니아에선 굉장히 중립적인 관계를 주류 언론과 유지한다. 그런데 간헐적으로 그쪽에서 우리 아이디어를 가져다 쓰면서 우리 이름은 아예 빼버리고 게재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 껄끄러운 일이 있었다. 그것만 빼면 굉장히 중립적인 관계다.

에스토니아에서도 블로그가 큰 인기다. 블로그와 우리가 통합할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우리 사이트와 블로그는 목표가 같을 수도 있지만 비전과 실행 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자금 충당도 중요한 문제다. 비즈니스 모델 차원에서 광고주 찾는 것도 문제다. 질문을 갖고 이 자리에 참석했다. 여러분들에게 궁금한 걸 들었으면 좋겠다.

질문과 답

- 로리 오코너다. 러시아에 묻겠다. 시민기자가 작성한 기사를 어찌 수정하나? 거짓으로 기사 작성하면?
로스티슬라프 뷜레그자닌(러시아) = "나와 에르나 세비나가 같이 일한다. 다른 프로젝트도 같이 한다. 돈을 벌기 위해서다. 자립해야 하니까. 정보는 확인한다. 우리 사이트에 게재한 정보를 확인하지만, 우리가 대부분 이용자를 다 안다. 이런 정보를 확인하는 게 아주 쉽다. 이젠 쉬워지지 않는다. 정확성을 확인하기 어렵다. 현재는 모든 정보가 다 정확하다 가정하지 않고 확인한다."

세르히 다닐렌코 = "우린 확인하고 필요하면 변경한다. 문장도 수정하고 사실도 확인한다. 모든 기사는 라이브로에 게재하고 커뮤니티에서 이 기사를 평가한다. 의사소통도 하고 표시도 한다. 누가 '이 기사는 표절했다'거나 '정확하지 않다'고 하면 편집자들이 기사가 톱에 올라가기 전에 수정한다."

- 네팔에서 온 시민기자다. 러시아 <레알노 인포>측에 질문하겠다. 검열 이야기다. 전통적인 미디어는 검열을 받는다. 인터넷에서도 검열이 있을 수 있나?
로스티슬라프 뷜레그자닌(러시아) = "인터넷 검열은 불가능하다. 시민들이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데 일부 경우에는 그 시민기자들이나 기고자들이 어떤 사이트에 가서 논평한 것 때문에 체포된 적이 있다. 정부 관행이 그래서 그런 게 아니라 3번이나 4번 정도 간혹 그런 사건이 있었다. 우리가 이 분들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이스라엘에서 온 요나탄이다. 두 개는 기존 언론사에서 돈 받는다. 문제는 없나? 기존 언론사가 영향력을 행사하진 않나?
세르히 다닐렌코(우크라이나) = "미디어 홀딩사로부터 압력을 받지는 않는다. 과거와 똑같은 방식으로 작업한다. 활동에 대한 보고서를 투자자들한테 제출하지만 그쪽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진 않는다. 미디어 홀딩사 내에 있는 다른 언론사와 경쟁은 없다. 다른 미디어와 협력한다. 시민저널리즘이 전문 저널리즘과 결합하는 것도 훌륭한 비즈니스 모델이라 생각한다."

파베우 노바츠키(폴란드) = "미래에 대한 투자로 생각한다. 압력은 전혀 없다."

- 한국의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다. <오마이뉴스>도 편집자와 시민기자의 마찰이 많은 걸로 안다. 혹시 그런 마찰은 없나?
세르히 다닐렌코(우크라이나) = "모든 기사들은 라이브 섹션에 출판한다. 커뮤니티에서 평가한다. 편집자는 거기에 관여 안 한다. 우린 톱기사만 결정한다. 그것도 커뮤니티 순위를 통해서 결정한다. 순위 5위 안에 들면 편집자는 이걸 첫 페이지에 배치하기로 결정하기만 한다. 커뮤니티가 편집자 결정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드물다. 만일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커뮤니티에서 포럼을 발간해 편집자가 왜 이런 결정했는지를 물을 수 있다."

파베우 노바츠키(폴란드) = "시민기자들에게 팬 하나부터 팬 5개까지 다양한 편집권을 주기 때문에 그렇게 문제 풀어간다. 또 편집자가 수정한 내용을 기자에게 보여주고 작성한 기자가 동의해야 수정한다."

로스티슬라프 뷜레그자닌(러시아) = "편집자와 시민기자 사이에 마찰은 굉장히 드물다. 마찰 발생하면 공개적으로 토론한다. 그래서 결론에 도달한다."

#세계시민기자포럼#러시아#레알노 인포#하이웨이#미누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